오메프라졸

약물의 종류
(로섹에서 넘어옴)

오메프라졸(영어: omeprazole)은 소화성 궤양 질환, 소화불량, 위식도 역류질환, 역류성 인후두염, 졸링거-엘리슨 증후군(Zollinger-Ellison syndrome)에 사용하는 약물로, 양성자 펌프 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다.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속한다. WHO 필수 약물 중 항궤양제로는 오메프라졸과 라니티딘이 있다.

Omeprazole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6-methoxy-2-[(4-methoxy-3,5-dimethylpyridin-2-yl)methanesulfinyl]-1H-1,3-benzodiazole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73590-58-6
ATC 코드 A02BC01
PubChem 4594
드러그뱅크 DB00338
ChemSpider 4433
화학적 성질
화학식 C17H19N3O3S 
분자량 345.4 g/mol
SMILES eMolecules & PubChem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35–76%[1][2]
단백질 결합 95%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Hepatic (CYP2C19, CYP3A4)
생물학적 반감기 1–1.2 hours
배출 80% Renal
20% Faecal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미국 식품의약국: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B3(오스트레일리아)C(미국)
법적 상태
  • AU: S4 (처방전 필요)
  • UK: OTC
  • US: OTC
투여 방법 Oral, IV

효능

편집

위산 분비를 억제하여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을 완화한다.[3]

작용 기전

편집

오메프라졸을 포함하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는 모든 제제가 비슷한 구조다. 양성자 펌프 억제제는 위의 벽세포에 존재하는 양성자 펌프에 비가역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위산이 분비되지 못하게 한다.

 

특징

편집

양성자 펌프 저해제는 산성환경에서 활성화된다. 일반적인 경우 공복 시 위액의 pH는 1.2~1.8이고 식사 후에는 3.5~5.0이다.[4] 따라서 아침 첫 식사 30~60분 전에 복용해야 한다.[5][6] 양성자 펌프 저해제는 간에 존재하는 효소인 시토크롬 P450에 의해 대사된다. 따라서 시토크롬 P450과 관련있는 약물과 함께 투여할 경우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7]

각주

편집
  1. Prilosec Prescribing Information Archived 2010년 2월 16일 - 웨이백 머신. AstraZeneca Pharmaceuticals.
  2. Vaz-Da-Silva, M; Loureiro, AI; Nunes, T; Maia, J; Tavares, S; Falcão, A; Silveira, P; Almeida, L; Soares-Da-Silva, P (2005). “Bioavailability and bioequivalence of two enteric-coated formulations of omeprazole in fasting and fed conditions”. 《Clin Drug Investig25 (6): 391–9. doi:10.2165/00044011-200525060-00004. PMID 17532679. 
  3. 조영환 서울중앙병원 약제팀장 Archived 2015년 4월 2일 - 웨이백 머신.
  4. 생물약제학과 약동학(약제학분과회 공저) 24p.
  5. 약물치료학1 제3개정(한국임상약학회편) 443p.
  6. 약은 식후 30분에? 약물 따라 달라요 Archived 2015년 4월 2일 - 웨이백 머신, 건강포털 코메디닷컴 기사.
  7. 클로피도그렐+PPI 병용, 여전히 '혼란' Archived 2015년 4월 2일 - 웨이백 머신, 쿠키뉴스.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오메프라졸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