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6은 메이저 5개 지역 14개팀, 국제 와일드카드 2팀이 출전한다. 메이저 지역은 서미 시즌 우승팀과 지역별 챔피언십 포인트 1위팀은 그룹 스테이지에 직행하고(LMS은 서머 시즌 우승팀만 직행), 차순위팀들은 각 지역별 대표 선발전을 통해서 1팀을 선발한다. 국제 와일드카드는 8개 지역이 출전하여 상위 2팀만이 그룹 스테이지에 진출한다.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의 시즌별 순위에 따라 챔피언십 포인트가 주어지며,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6의 우승 팀, 챔피언십 포인트 1위가 자동 진출하고, 챔피언십 포인트 2위부터 5위까지의 팀이 지역 선발전을 거쳐 한 팀이 진출하여 총 3팀이 진출한다. 대한민국은 1번 시드 1개, 2번 시드 2개를 배정받았다.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리그의 시즌별 순위에 따라 챔피언십 포인트가 주어지며,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 리그 서머 2016의 우승 팀, 챔피언십 포인트 1위가 자동 진출하고, 챔피언십 포인트 2위부터 5위까지의 팀이 지역 선발전을 거쳐 한 팀이 진출하여 총 3팀이 진출한다. LPL은 1번 시드 1개, 2번 시드 2개를 배정받았다.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 유럽의 시즌별 순위에 따라 챔피언십 포인트가 주어지며,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 유럽 서머 2016의 우승 팀, 챔피언십 포인트 1위가 자동 진출하고, 챔피언십 포인트 2위부터 5위까지의 팀이 지역 선발전을 거쳐 한 팀이 진출하여 총 3팀이 진출한다. LCS EU는 2번 시드 2개, 3번 시드 1개를 배정받았다.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 북아메리카의 시즌별 순위에 따라 챔피언십 포인트가 주어지며,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 북아메리카 서머 2016의 우승 팀, 챔피언십 포인트 1위가 자동 진출하고, 챔피언십 포인트 2위부터 5위까지의 팀이 지역 선발전을 거쳐 한 팀이 진출하여 총 3팀이 진출한다. LCS NA는 1번 시드 1개, 2번 시드 1개, 3번 시드 1개를 배정받았다.
리그 오브 레전드 마스터 시리즈의 시즌별 순위에 따라 챔피언십 포인트가 주어지며, 리그 오브 레전드 마스터 시리즈 서머 2016의 우승 팀만 자동 진출하고, 챔피언십 포인트 1위부터 4위까지의 팀이 지역 선발전을 거쳐 한 팀이 진출하여 총 2팀이 진출한다. LMS는 1번 시드 1개, 2번 시드 1개를 배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