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6일
날짜
9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9번째(윤년일 경우 250번째) 날에 해당한다.
8월 - 9월 - 10월 |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2023년 기준 모두 보기 |
9월 6일 | |
2024년: 금요일 | 2023년: 수요일 |
2022년: 화요일 | 2021년: 월요일 |
2020년: 일요일 | 2019년: 금요일 |
2018년: 목요일 | 2017년: 수요일 |
2016년: 화요일 | 2015년: 일요일 |
2014년: 토요일 | 2013년: 금요일 |
2012년: 목요일 | 2011년: 화요일 |
2010년: 월요일 | 2009년: 일요일 |
2008년: 토요일 | 2007년: 목요일 |
2006년: 수요일 | 2005년: 화요일 |
2004년: 월요일 | 2003년: 토요일 |
2002년: 금요일 | 2001년: 목요일 |
2000년: 수요일 | 1999년: 월요일 |
1998년: 일요일 | 1997년: 토요일 |
1996년: 금요일 | 1995년: 수요일 |
1994년: 화요일 | 1993년: 월요일 |
1992년: 일요일 | 1991년: 금요일 |
사건편집
- 394년 - 프리기두스 전투(Battle of the Frigidus):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가 찬탈자 유게니우스(Eugenius)를 제압했다. 그를 서방황제로 추대한 갈리아의 섭정 아르보가스트는 패주했지만 이틀 후 자살했다.
- 1592년 - 청주 전투 발발.
- 1620년 - 청교도 149명, 메이플라워 호에 승선, 아메리카 대륙으로 항해 시작
- 1776년 - 허리케인이 과들루프를 강타해 6000명 이상의 사상자 발생
- 1901년 - 미국의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이 무정부주의자에 피격 당하다.
- 1945년 - 건국준비위원회 조선인민대표자회의, 서울 중앙청에서 조선인민공화국 수립 발표
- 1950년 - 대한민국 국군, 여군 창설.
- 1951년 - 한국 전쟁: 매슈 리지웨이 유엔군 사령관, 정전회담 장소로 판문점 제의
- 1960년 - 일본 친선사절단 내한
- 1965년 - 파키스탄, 인도와 전쟁상태 선포
- 1970년 - 팔레스타인 인민 해방 전선, 유럽 상공에서 뉴욕행 민간 여객기 4대를 납치
- 1976년 - 빅토르 벨렌코 망명 사건이 일어나다.
- 1977년
- 1979년 - 소비에트 연방의 지하 핵실험으로 시베리아에서 강도 7.1의 지진 기록
- 1981년 -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 근해서 제1영산호가 화물선과 충돌로 침몰. 선원 18명 실종.
- 1984년 - 전두환 일본 방문. 히로히토 일본 천황, 과거의 한일관계에 대해 유감 표명
- 1991년 - 발트 3국 독립.
- 1992년 -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여성 대표, 종군위안부 문제 공동대처 결의
- 2007년
- 2012년 - 세계 3대 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피치(Fitch Ratings)사는 대한민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에서 AA-로 한 단계 상향 조정했다. 이는 IMF 외환 위기 전과 같은 것으로 국가신용등급이 일본보다 높기는 이번이 사상 처음이다.
- 2014년 - 제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제주유나이티드와 전남드래곤즈와의 K리그 클래식 24라운드 경기에서 제주유나이티드의 박수창이 K리그 최초로 전반 4득점 해트트릭 기록을 세움.
- 2022년 - 태풍 힌남노가 부산에 상륙하여 큰 피해를 주었다.
문화편집
탄생편집
- 1517년 - 포르투갈의 화가 프란시스코 데 홀란다
- 1620년 - 이탈리아의 여류 작곡가 이사벨라 레오나르다
- 1666년 - 러시아의 차르 이반 5세
- 1757년 - 프랑스의 군인 질베르 뒤 모티에 드 라파예트.
- 1766년 - 영국의 화학자 존 돌턴.
- 1903년 - 대한민국의 동요작곡가 윤극영.
- 1906년 - 러시아의 수학자 안드레이 니콜라예비치 티호노프.
- 1926년 - 일본의 소설가 호시 신이치.
- 1933년 - 대한민국의 언론인 이규태.
- 1945년 - 일본의 만화가 나가이 고.
- 1949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전재희.
- 1957년 - 포르투갈의 정치인 조제 소크라테스.
- 1958년 - 대한민국의 군인 전인범.
- 1959년 - 타이완의 배우 양구이메이
- 1960년
- 1961년 - 대한민국의 가수 박강성.
- 1966년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성민.
- 1976년
- 1978년 - 일본의 축구 선수 사와 호마레.
- 1980년
- 1982년 - 대한민국의 방송인, 전 레이싱 걸 김시향.
- 1984년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채솔이.
- 1988년
- 1983년 - 대한민국의 희극인 정승환.
- 1989년 - 대한민국의 배우 김소은.
- 1990년 - 대한민국의 가수 ZE:A의 하민우.
- 1992년 - 대한민국의 배우 금새록
- 2006년 - 일본 황실,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의 장남 히사히토 친왕
사망편집
- 110년 - 일본의공주 히하키토 무야타
- 394년 - 로마의 왕위 찬탈자 유게니우스.
- 952년 - 제61대 일본 천황 스자쿠.
- 972년 - 교황 요한 13세.
- 1956년 - 대한민국의 화가 이중섭.
- 1969년 - 브라질의 전 축구 선수 아르투르 프리덴라이히.
- 1994년 - 대한민국의 헌법학자 박일경.
- 1998년 - 일본의 영화감독 구로사와 아키라.
- 2007년 -
- 2018년 - 미국의 배우 버트 레이놀즈.
- 2019년 - 대한민국의 그래픽 디자이너 조영제.
- 2019년 - 짐바르웨의 제2대 대통령 로버트 무가베.
- 2020년 - 대한민국의 목사 신소걸.
- 2020년 - 미국의 야구선수 루 브록.
- 2020년 - 미국의 영화배우 케빈 돕슨.
- 2020년 - 카자흐스탄의 사격선수 세르게이 벨랴예프.
- 2020년 - 뉴질랜드의 수학자 본 존스.
- 2021년 - 미국의 영화배우 마이클 K. 윌리엄스
- 2021년 - 프랑스의 영화배우 장폴 벨몽도.
기념일편집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