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네이션
이 문서에는 기여자 고유의 독자적인 연구 또는 확인되지 않은 내용이 담겨 있을 수 있습니다. (2020년 9월 22일) |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2020년 9월 22일) |
마이크로네이션(영어: Micronation)은 매우 작은 지역 내에서 국가의 요소를 갖추지 못하고 독립 국가임을 주장하는 주체를 가리킨다. 일부 공동체에서는 실제 독립을 선포하였다고 주장하면서 통화나 국기, 여권, 메달, 우표, 이외에도 상징물이나 법률, 정부 등을 만들어 운영하기도 한다. 하지만 마이크로네이션은 한 나라의 영토, 영해, 영공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용어편집
마이크로네이션(micronation)은 1990년대에 출현한 신조어이다. 이 용어는 19세기부터 존재했으나 인정받지 못했던 몇 가지 종류의 정치적 주체들에게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마이크로네이션의 한국어 번역은 하나로 통일되어 있지 않고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2006년 1월에 한국어 위키백과의 한 사용자가 처음 초소형 국민체라는 번역어를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이후로[1], 《조선일보》가 이를 따라서 초소형 국민체(超小型 國民體)[2]라고 표현했고, 《동아일보》는 초소형 공동체(超小型 共同體)[3], 《연합뉴스》는 초소형 국가체(超小型 國家體)[4]라는 번역어를 사용하였다. 이후에 초소형국민체라는 본 문서의 제목은 위키백과의 관련 규정에 의해 원어인 micronation을 그대로 가져다 쓴 마이크로네이션이라고 변경되었으나, 대한민국 내에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의 영향으로 '초소형국민체', 줄여서 '초국' 이라는 표현이 널리 쓰이고 있다.
마이크로패트롤로지(영어: Micropatrology, 아주 작은 것을 뜻하는 마이크로(micro)와 교부학을 뜻하는 패트롤로지(patrology)의 합성어)는 마이크로네이션과 극소 국가, 미승인 국가를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마이크로네이션 관련 취미를 가진 활동가로부터 만들어졌다. 한국에도 많은 마이크로네이션이 존재한다.
목록편집
- 시랜드 공국
- 헛리버 공국
- 노바 로마
- 모라크 송기라티 메아드스 공화국
- 휴머니티 왕국
- 몰로시아 공화국
- 무라와리 공화국
- 미네르바 공화국
- 북수단 왕국
- 비르타윌 제국
- 빙하 공화국
- 산호해 제도 게이 앤드 레즈비언 왕국
- 서웨스타티카 대공국
- 세보르가 공국
- 소제 공화국
- 아라모하나 독립국
- 아라우카니아 파타고니아 왕국
- 아스가르디아
- 아에리칸 제국
- 아우터 발도니아 공국
- 아크지블란드
- 엔넨키오 왕국
- 엘레오레 왕국
- 영국령 서플로리다
- 애틀랜티움 제국
- 영원한 루키나 독립국
- 옘틀란드 공화국
- 와이 공국
- 우주피스 공화국
- 나미나라 공화국 (강원남이섬)
- 탐나라 공화국 (제주남이섬)
- 라도니아
- 라코타 공화국
- 러블리 왕국
- 러시아 제국
- 런디 왕국
- 레돈다 왕국
- 로즈섬 공화국
- 리버랜드 자유 공화국
- 콘치 공화국
- 쿠겔무겔
- 타볼라라 왕국
- 탈로사 왕국
- 프리타운 크리스티아니아
- 플란드렌시스 대공국
- 필레티노 공국
- 그랜드 대공국
- 누토피아
- 뉴 아프리카
- 뉴 유토피아
- 란르우스트
- 리프레쉬멘트 섬
- 만주국 임시 정부
- 만주국 정부
- 바로첼란드
- 발티오 왕국
- 버트랜드
- 베이스노리아
- 붐분가
- 빅스랜드 공국
- 세당 왕국
- 생 투알
- 아브람 대공국
- 아우터 월드 왕국
- 오스티네시아 제국
- 온갈 공국
- 이카리아
- 왈라치아 왕국
- 자유지
- 쥬신 공화국
- 코뉴웨 공화국
- 트리니다드 공국
- 팔바도무스 공화국
- 페리로쟈
- 포빅 주권국
- 포야이스
- 프레도니아
- 프리도니아 공국
- 폰티냐
- 노비디아
- 이노부탄 왕국
- 쳄 로멘고
- 칼리스 공화국
- 벨라스트라나 공화국
- 키리셜 공화국
- 포를사도즈아르매다제국
- 엘리니아 공화국(현 포를사도즈아르메다제국)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A7%88%EC%9D%B4%ED%81%AC%EB%A1%9C%EB%84%A4%EC%9D%B4%EC%85%98&oldid=233309
- ↑ 조인원 기자, 〈(조선일보 창간 90주년 특집: 2030 미래를 가다-3) 나홀로 만든 국가, 사고 팔고 대여한다〉, 《조선일보》, 2010년 3월 16일.
- ↑ 김아연, 〈‘낚시의 귀재’ 누리꾼들도 낚였다?〉 Archived 2014년 1월 6일 - 웨이백 머신, 《동아일보》, 2008년 12월 24일.
- ↑ 이상학 기자, 〈'독립공화국' 남이섬, 지도에 없는 국가와 교류〉, 《연합뉴스》, 2012년 3월 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