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황새
먹황새는 황새목 황새과의 한 종으로, 한국에서는 드문 겨울철새이다.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황새목 |
과: | 황새과 |
속: | 황새속 |
종: | 먹황새 |
학명 | |
Ciconia nigra | |
Linnaeus, 1758 | |
먹황새의 분포 | |
![]() | |
보전상태 | |
![]()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 ![]() 멸종위기Ⅰ급: 현재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해 있음 평가기관: ![]()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 |
---|---|
먹황새(먹황새) | |
천연기념물 제200호 | |
지정일 | 1968년 5월 31일 |
소재지 | 전국 일원 |
천연기념물 먹황새(먹황새) | 국가문화유산포털 |
생태편집
몸길이는 약 96cm로 머리·목·윗가슴·등은 검은색으로 광택이 나고 배는 흰색이며, 다리와 부리는 붉은색이다. 눈 주위는 피부가 드러나 있으며 붉은색을 띤다. 내륙의 평야, 논이나 산악의 작은 골짜기에 서식한다. 인적이 드문 곳의 소나무 등의 고목 위나 암벽이 움푹 들어간 곳에 둥지를 틀고 3-5월에 흰색 알을 3-5개 낳으며 민물고기·갑각류·곤충을 잡아먹는다. 한국·유럽·아프리카·러시아·중국에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 제200호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섹스ㅔ 서는 1968년까지 안동시 도산면 강송리 절벽에서 서식한 것을 끝으로 발견되지 않았으나, 최근 몇 년간 전라남도 함평군에서 겨울을 나는 모습이 발견되었다.[3]
각주편집
- ↑ 국립생물자원관. “먹황새”.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대한민국 환경부.
- ↑ 국가생물다양성센터. “Ciconia nigra (Linnaeus, 1758) 먹황새”. 《국가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 ↑ “먹황새, 함평 대동지 월동”. 《함평·로컬 타임즈》. 2010년 1월 13일. 2018년 8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이 글은 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