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코나졸

이미다졸계 항진균제

미코나졸(miconazole)은 링웜, 어루러기, 피부칸디다증 치료에 사용하는 항진균제이다.[2] 링웜이 몸통에 생기는 체부백선, 사타구니에 생기는 샅백선, 발에 생기는 무좀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2] 크림이나 연고 형태로 피부나 질에 도포한다.[2][3]

미코나졸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RS)-1-(2-(2,4-Dichlorobenzyloxy)-2-(2,4-dichlorophenyl)ethyl)-1H-imidazole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22916-47-8
ATC 코드 A01AB09 A07AC01 D01AC02 G01AF04 J02AB01 S02AA13
PubChem 4189
드러그뱅크 DB01110
ChemSpider 4044
화학적 성질
화학식 C18H14Cl4N2O 
분자량 ?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피부 도포 후에는 <1%
단백질 결합 88.2%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CYP3A4
생물학적 반감기 20~25시간
배출 주로 대변
처방 주의사항
임부투여안전성 ?
법적 상태
  • AU: S2 (약국에서만 취급) 국소 제형 schedule 2, 질 투여와 경구 칸디다증 사용 시 schedule 3, 그 외는 schedule 4
  • UK: POM (Prescription only)
  • US: OTC / Rx-only[1]
투여 방법 국소 투여, 질 투여, 입술밑 투여

흔한 부작용은 도포한 부위의 국소 가려움증이나 자극이 있다.[2] 임신 중 사용해도 태아에게 안전하다고 여겨진다.[4] 미코나졸은 이미다졸 계열에 속한다.[2] 진균 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인 에르고스테롤을 잘 합성하지 못하게 해서 진균을 죽인다.[2]

특허 출원은 1968년, 의료용 사용 승인은 1971년에 이루어졌다.[5]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6]

각주

편집
  1. “Oravig- miconazole tablet”. 《DailyMed》. 2022년 1월 1일. 2022년 8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6월 20일에 확인함. 
  2. “Miconazole Nitrate”.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6년 1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8일에 확인함. 
  3. “Miconazole Monograph for Professionals”. 《Drugs.com》. 2022년 7월 22일. 2022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6월 20일에 확인함. 
  4. Hamilton R (2015). 《Tarascon Pocket Pharmacopoeia 2015 Deluxe Lab-Coat Edition》. Jones & Bartlett Learning. 180쪽. ISBN 9781284057560. 
  5. Fischer J, Ganellin CR (2006).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영어). John Wiley & Sons. 502쪽. ISBN 9783527607495. 2016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1. WHO/MVP/EMP/IAU/2019.06. License: CC BY-NC-SA 3.0 I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