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토어군보르네오섬, 민다나오섬, 마다가스카르의 약 스무 개 언어로 이루어진 어군이다. 바리토강의 이름을 땄다. 마다가스카르의 공용어인 말라가시어가 여기에 속한다.

바리토어군
지리적 분포보르네오섬 남부, 마다가스카르, 민다나오섬
계통적 분류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바리토어군
하위 분류
글로톨로그grea1283  (확대 바리토어군)[1]

바리토어군은 Hudson (1967)[2]이 처음 제안하였다. 그는 바리토어군이 동바리토어군, 서바리토어군, 마카함어군(바리토·마카함어군)으로 나뉜다고 주장했다. 일부 학자들은 바리토어군이 실제로는 분기군이 아니라 언어동조대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Adelaar (2005)는 북보르네오어군이나 말레이숨바와어군처럼 전통적이지 않은 분기군을 옹호하면서도 바리토어군은 인정하지 않는다.

확대 바리토어군

편집

로버트 블러스트(2006)는 사마바자우어군 역시 어휘적으로 바리토 지역에서 유래하였으나, 다만 기존의 하위 분류에는 속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3] 에스놀로그도 여기에 동의하며 바리토어군과 사마바자우어군을 묶어 확대 바리토어군이라 부른다.

Smith (2017, 2018)[4][5]는 확대 바리토 연결체가 다음과 같이 분류되며 바삽어가 확대 바리토어군의 자매 언어라고 주장하였다. 이를 바삽·확대 바리토어군이라 부른다.

각주

편집
  1.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Greater Barito linkage〉.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Hudson, Alfred B. 1967. The Barito isolects of Borneo: A classification based on comparative reconstruction and lexicostatistics. Data Paper no. 68, Southeast Asia Program, Department of Asian Studies,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3. Blust, Robert. 2006. 'The linguistic macrohistory of the Philippines'. In Liao & Rubino, eds, Current Issues in Philippine Linguistics and Anthropology. pp 31–68.
  4. Smith, Alexander. 2017. The Languages of Borneo: A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Archived 2023년 7월 20일 - 웨이백 머신.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Hawai‘i at Mānoa.
  5. Smith, Alexander D. 2018. The Barito Linkage Hypothesis, with a Note on the Position of Basap. JSEALS Volume 11.1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