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수엘라출혈열
베네수엘라출혈열(Venezuelan hemorrhagic fever, VHF)은 바이러스성 출혈열의 일종으로, 인수공통감염병이다. 1989년에 사람에게서 처음 감염사례가 발견되었다. 중부 베네수엘라의 일부 시골 지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아레나바이러스과에 속하는 과나리토바이러스(Guanarito mammarenavirus, GTOV)에 의해 발생한다. 주 매개체로는 짧은꼬리사탕수수쥐(Zygodontomys brevicauda)가 있으며,[1] 이 쥐의 침이나 호흡기 분비물, 소변, 혈액을 통해 나온 감염체가 에어로졸의 형태로 존재하는데 이를 흡입하면 감염될 수 있다.[2] 사람간 감염도 가능하나 드물다.
과나리토바이러스 | ||
---|---|---|
생물 분류ℹ️ | ||
역: | 바이러스 | |
계: | 리보바이러스계 | |
문: | 네가르나바이러스문 | |
강: | 엘리오바이러스강 | |
목: | 분야바이러스목 | |
과: | 아레나바이러스과 | |
속: | 맘마레나바이러스 | |
종: | 과나리토바이러스 | |
동의어 | ||
Guanarito mammarenavirus |
베네수엘라출혈열 | |
---|---|
진료과 | 감염병 |
증상
편집라싸열이나 다른 아레나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는 아르헨티나출혈열, 볼리비아출혈열등과 매우 유사하다.[3] 초기에는 발열과 불쾌감이 나타났다가 이후 출혈이나 경련으로 이어진다.[4] 때때로 혈관 손상, 출혈 체질(bleeding diathesis), 발열, 다발성 장기 부전이 나타나기도 한다. 베네수엘라출혈열만의 증상은 따로 없어서 의료적 증상만으로 어떤 질병이 베네수엘라출혈열인지 구분하기는 어렵다.[5] 치사율은 30%에 달하며, 베네수엘라 포르투게사주와 바리나스주에서는 풍토병이 되었다.
현재 별다른 치료법과 예방 방법은 없으며, 상용화된 백신도 존재하지 않는다.[5] 항바이러스제인 리바비린을 투여해 작지만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다. 대한민국의 법정 감염병에서 "집단 발생의 우려가 커서 발생 또는 유행 즉시 방역대책을 수립하여야 하는 감염병"을 의미하는 제1군 감염병인 남아메리카출혈열 중 하나이다.[6]
바이러스
편집질병이 주로 과나리토마을에서 발견되어 지역의 이름을 따 과나리토 바이러스라 한다. 아레나바이러스는 외피를 가지며, 단일 가닥 안티센스 RNA 두 개를 유전체로 가진다.[3] 아레나바이러스는 항원의 특성을 바탕으로 구세계 아레나바이러스(Old World - )와 신세계 아레나바이러스(New World - )로 구분된다. 림프구성 맥락수막염 바이러스와 라싸바이러스이 구세계 아레나바이러스로 분류된다. 신세계 아레나바이러스는 A, B, C의 세가지 분류군으로 나뉜다. 과나리토 아레나바이러스는 이들 중 분류군 B에 속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 의해 생물 안전도 4급으로 분류되었다.[7]
숙주
편집베네수엘라 서부가 원산인 짧은꼬리사탕수수쥐가 주 숙주로, 커다란 풀이 많이 자라는 풀밭, 경작지, 인가, 건물 구석에서 주로 서식한다.[8] 농촌 지역의 인구·생태적 변화가 인간과 설치류간 접촉 빈도를 증가시켰고, 이에 따라 베네수엘라출혈열이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8]
역사
편집1989년 9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포르투게사주에서만 618건의 감염사례가 발견되었는데, 이들 중 일부를 제외하면 전부 포르투게사주의 과나리토마을의 근로자나 거주민이었다. 치사율은 23.1%로 나타났다.[8] 에어로졸의 형태로 감염되기 때문에 1989년 첫 사례가 나타난 직후부터 생화학 무기로 생물전에 사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1999년에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생물학 무기에 대한 추가적인 대응 조치의 일환으로 생물학 테러의 잠재적 병원균을 분류하였다.[5] 바이러스성 출혈열을 유발하는 아레나바이러스는 필로바이러스속과 함께 가장 위험성이 큰 A군으로 분류되었다. A군은 가장 위험성이 심각한 병원균에 대한 분류군이다.
2013년 3월 24일, 텍사스 대학교 의학부 갤버스턴 국립 연구소(Galveston National Laboratory)에서 이 바이러스가 들어있는 시약병 한개가 사라졌다.[9]
각주
편집- ↑ Salas R, de Manzione N, Tesh RB, 외. (October 1991). “Venezuelan haemorrhagic fever”. 《Lancet》 338 (8774): 1033–6. doi:10.1016/0140-6736(91)91899-6. PMID 1681354.
- ↑ Milazzo ML, Cajimat MN, Duno G, 외. (December 2011). “Transmission of Guanarito and Pirital viruses among wild rodents, Venezuela”. 《Emerging Infect. Dis.》 17 (12): 2209–15. doi:10.3201/eid1712.110393. PMC 3311192. PMID 22172205.
- ↑ 가 나 Radoshitzky SR, Kuhn JH, Spiropoulou CF, 외. (February 2008). “Receptor determinants of zoonotic transmission of New World hemorrhagic fever arenaviruses”. 《Proc. Natl. Acad. Sci. U.S.A.》 105 (7): 2664–9. doi:10.1073/pnas.0709254105. PMC 2268193. PMID 18268337.
- ↑ de Manzione N, Salas RA, Paredes H, 외. (February 1998). “Venezuelan hemorrhagic fever: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studies of 165 cases”. 《Clin. Infect. Dis.》 26 (2): 308–13. doi:10.1086/516299. PMID 9502447.
- ↑ 가 나 다 Hruby, D.E., Bolken, T.C., & Dai, D. (2011). U.S. Patent No. 7,872,037 Archived 2012년 1월 8일 - 웨이백 머신. Corvallis, OR: Siga Technologies, Inc.
- ↑ “국가법령정보센터”. 2020년 4월 25일에 확인함.
- ↑ (May 19, 2011).Special Pathogens Branch.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ttps://www.cdc.gov/ncidod/dvrd/spb/mnpages/disinfo.htm
- ↑ 가 나 다 Fulhorst CF, Cajimat MN, Milazzo ML, 외. (2008). “Genetic diversity between and within the arenavirus species indigenous to western Venezuela”. 《Virology》 378 (2): 205–13. doi:10.1016/j.virol.2008.05.014. PMC 2583173. PMID 18586298.
- ↑ “Virus vial missing from Galveston lab”. 《ETX News》. 2013년 3월 24일. 2013년 3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