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지하철 1호선
베이징 지하철 1호선(중국어: 北京地铁1号线)은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를 동서로 운행하는 도시 철도이다. 베이징 지하철 중 가장 먼저 세워진 지하철 노선이다.
베이징 지하철 1호선 北京地铁1号线 | |
---|---|
![]() | |
![]() 왕푸징 역에 정차한 1호선 DKZ4형 전동차 | |
기본 정보 | |
운행 국가 | ![]() |
종류 | 도시 철도 |
체계 | 베이징 지하철 |
상태 | 영업 중 |
기점 | 핑궈위안 역 |
종점 | 쓰후이 동역 |
역 수 | 26 |
개통일 | 1969년 10월 1일 |
운영자 | 베이징 지하철 운영 유한공사(北京市地铁运营有限公司) |
노선 제원 | |
영업 거리 | 30.4km |
궤간 | 1,435 mm(표준궤) |
선로 수 | 2 |
전철화 | 직류 750볼트 (가오징 - 스후이둥) |
개요
편집1호선(통칭 중국어 간체자: 一线, 병음: yī xiàn 이셴/일선[*])은 베이징 시가지를 동서로 관철하는 노선이다. 지상에 병행하고 있는 대로는 장안제(중국어 간체자: 长安街, 정체자: 長安街)로 불리는 북경 제일의 주요 거리로 서부(구청~난리스루)에는 시내 버스 337번 계열이, 동부(궁주펀~스후이, 이중 푸싱먼 ~ 스우히둥 구간은 푸바선(复八线)으로 부르고 있다.)에는 시내 버스 1, 4번 등의 계통이 병행해 운행하고 있다. 평일에도 혼잡하여, 톈안먼시 역, 톈안먼둥 역이나 왕푸징 역 등 시 중심부의 다른 노선과 환승이 되지 않는 역에서는 교통체증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1호선 동쪽으로는 베이징 지하철 바퉁 선과 연결된다. 노선색은 같은 색을 쓰지만 차량 신호체계 등 문제로 직결 운행을 하지 않고 별도의 노선으로 운행된다. 바퉁선은 베이징에서 출퇴근 시간대에 가장 혼잡한 노선으로, 특히 1호선과 환승되는 쓰후이 역, 쓰후이둥 역의 혼잡도가 심하여, 이 때문에 1호선과 바퉁선의 직결운행이 논의되고 있지만,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헤이스터우 역(54호역), 가오징 역(53호역), 푸서우링 역(52호역)은 역이 중국인민해방군 베이징 군구에 있어서 일반에 개방되지 않고, 지하철 관계자 전용 열차가 하루에 여러 번 왕복 한다. 복선 전철화되어 있는 다른 1호선 노선과 달리 헤이스터우-가오징 구간은 비전철 단선이다. 헤이스터우 역 이후로 군 전용 선로를 계속 따라나가면 중국철도총공사에서 운영하는 싼자뎬 역(三家店站)에 이른다.
노선 정보
편집- 영업 거리 : 30.4km
- 궤간 : 1,435 mm(표준궤)
- 역수 : 26개 역 (비공개역 제외시 23개 역)
- 복선 구간 : 전 노선
- 전기 구간 : 가오징~스후이둥 (직류 750V, 제3궤조 방식)
- 지상 구간 : 스후이~스후이둥
- 주행방향 : 우측통행
역 목록
편집역 번호 | 역명 | 중국어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 | 헤이스터우 (54호) | 黑石头 | 펑사 철로(丰沙铁路) | - | - | 베이징시 | 스징산 구 |
101 | 가오징 (53호) | 高井 | - | - | |||
102 | 푸서우링 (52호) | 福寿岭 | - | - | |||
103 | 핑궈위안 | 苹果园 | ■ 베이징 지하철 6호선 (공사중) ■ 베이징 지하철 S1선 (공사중) |
0.0 | 0.0 | ||
104 | 구청루 | 古城路 | 3.7 | 3.7 | |||
105 | 바자오 놀이공원 | 八角游乐园 | 2.0 | 5.7 | |||
106 | 바바오산 | 八宝山 | 1.9 | 7.6 | |||
107 | 위취안루 | 玉泉路 | 1.5 | 9.1 | 하이뎬 구 | ||
108 | 우커숭 | 五棵松 | 1.8 | 10.9 | |||
109 | 완서우루 | 万寿路 | 1.8 | 12.7 | |||
110 | 궁주펀 | 公主坟 | ■ 베이징 지하철 10호선 | 1.3 | 14.0 | ||
111 | 군사박물관 | 军事博物馆 | ■ 베이징 지하철 9호선 | 1.2 | 15.2 | ||
112 | 무시디 | 木樨地 | 1.1 | 16.3 | |||
113 | 난리스루 | 南礼士路 | 1.4 | 17.6 | 시청 구 | ||
114 | 푸싱먼 | 复兴门 | ■ 베이징 지하철 2호선 | 0.4 | 18.0 | ||
115 | 시단 | 西单 | ■ 베이징 지하철 4호선 | 1.6 | 19.6 | ||
116 | 톈안먼 서 | 天安门西 | 1.3 | 20.9 | |||
117 | 톈안먼 동 | 天安门东 | 0.9 | 21.8 | 둥청 구 | ||
118 | 왕푸징 | 王府井 | ■ 베이징 지하철 8호선 (공사중) | 0.8 | 22.6 | ||
119 | 둥단 | 东单 | ■ 베이징 지하철 5호선 | 0.8 | 23.4 | ||
120 | 젠궈먼 | 建国门 | ■ 베이징 지하철 2호선 | 0.8 | 24.6 | ||
121 | 융안리 | 永安里 | 1.4 | 26.0 | 차오양 구 | ||
122 | 궈마오 | 国贸 | ■ 베이징 지하철 10호선 | 0.8 | 26.8 | ||
123 | 다왕루 | 大望路 | ■ 베이징 지하철 14호선 (공사중) | 1.4 | 28.2 | ||
124 | 쓰후이 | 四惠 | ■ 베이징 지하철 바퉁 선 | 1.5 | 29.9 | ||
125 | 쓰후이 동 | 四惠东 | ■ 베이징 지하철 바퉁 선 | 1.7 | 31.6 |
연혁
편집- 1965년 7월 1일 - 1호선 착공.
- 1971년 1월 15일 - 궁주펀 역 ~ 난리스루 역 ~ 창춘제 역 ~ 베이징 역 간 개통.[1][2]
- 1973년 4월 23일 - 1호선 서단 - 핑궈위안 역 ~ 궁주펀 역 개통.
- 1977년 - 일반 민간인에 공개.
- 1980년 - 외국인 이용 허용.
- 1987년 12월 28일 - 난리스루 역 ~ 푸싱먼 역 개통으로 2호선과 환승 연결.
- 1992년 12월 12일 - 1호선 동단 푸바선(复八线) - 푸싱먼 역 ~ 시단 역 개통.
- 1999년 9월 28일 - 1호선 동단 푸바선 - 톈안먼시 역 ~ 스후이둥 역 개통.
- 2000년 6월 28일 - 시단 역 ~ 톈안먼시 역 개통으로, 동단의 두 구간 직결.
- 2021년 8월 29일 - 베이징 지하철 바퉁선과 직결 운행 실시.
차량
편집현행 차량
편집과거 차량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