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조선인민위원회

1946년부터 1948년까지 한반도 북부에 존재한 정부
(북조선 인민위원회에서 넘어옴)

북조선인민위원회(北朝鮮人民委員會, 영어: People's Committee of North Korea)는 소련의 6개월 간의 군정이 끝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모태가 된 기관으로, 사실상의 정부로서 운영되었다. 그래도 이때까지는 아직 태극기를 사용하였고 대한민국애국가가 사용되었으나, 1948년 7월 10일부터는 태극기를 폐지했고 인공기로 교체했으며 애국가를 개정했다.

북조선인민위원회
北朝鮮人民委員會

1947년~1948년
국가애국가
정치
정치체제사회주의
위원장김일성
역사
 • 소련 군정
 •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 설치
 • 북조선인민위원회 설치
 • 인공기 교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
 • 소련 철수
 • 1945년 10월 3일
 • 1946년 2월 16일
 • 1947년 2월 22일
 • 1948년 7월 8일
 • 1948년 9월 9일
 • 1948년 12월 25일
지리
면적127,038 km2
인문
공용어사실상 조선어
인구
인구 밀도113명/km2
경제
통화
종교
국교공식 종교 없음
기타
소련군정은 끝났으나 공산국가의 시초단계 상태일 뿐 정식국가가 아니다.

개요

편집
 
북조선인민위원회 때에 김일성 사진과 태극기

김일성이 이끄는 조선로동당에 의해 1946년 2월 9일에 38도선 이북 소군정 지역에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北朝鮮臨時人民委員會)[1]가 건설되었다. 임시인민위원회는 1946년 2월 9일에 조직하여 약 1년 동안 활동하였다. 위원장 김일성(金日成), 부위원장 김두봉(金枓奉), 서기장 강양욱(姜良煜) 외에 여러 부서의 국장을 두어 사실상의 정부조직이었다.[2][3][4][5][6][7]

 
1946년 2월 8일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 성립 경축 대회. 아래로 드리워진 현수막에 "림시인민위원회는 우리의 정부이다."라고 쓴 것이 또렷이 보인다.

1946년 3월 8일부터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는 무상 몰수, 무상 분배하는 토지개혁과 전 산업을 당소유화 등을 단행하기도 했다. 이 후 남북한 지역 간에는 상호 접촉이 두절되었고, 각각의 사회 내에서 단독 정부 수립을 주장하는 단체들이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미국, 소련 간에는 냉전으로 불리는 전세계적인 체제 경쟁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1947년 2월 22일에 북조선인민위원회(北朝鮮人民委員會)로 개칭되었다.[8]

구성

편집

행정부에 해당하는 인민위원회는 중앙에 중앙인민위원회와 지방에 지역인민위원회가 각각 존재했다. 지역인민위원회는 각 도별로 도 인민위원회가 있고, 시·군·구에는 각각 시·군·구의 인민위원회를 설치한다. 도의 인민위원회와 시·군·구의 인민위원회는 도와 시·군·구의 행정 활동을 감사, 감찰한다.

국기 교체

편집

태극기는 1948년 7월 9일까지 사용했으며 7월 10일에 인공기로 교체하게 되었고 애국가를 교체하게 되었다. 이후에는 한반도 북쪽에는 영영 태극기를 찾을 수 없었으며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고 1948년 9월 9일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주요 사업

편집
  • 1946년 2월 8일: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 설립
  • 1946년 3월 8일: 북조선 토지개혁
  • 1946년 7월 30일: 북조선남녀평등권법령 발표
  • 1946년 8월 10일: 전 산업 당소유화에 대한 법령 발표
  • 1946년 11월 3일: 인민위원회 선거
  • 1947년 2월 22일: 북조선인민위원회 설립
  • 1948년 8월 25일: 조선최고인민회의 총선거
  •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김일성을 수상으로 함.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학중앙연구원
  2. 1946년 2월 16일자 정로(正路, 노동신문의 전신) 특집판의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관련 기사 : 미군정청의 영역
  3.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北朝鮮臨時人民委員會) 조직, 인민정부 진용 자유신문 1946년 2월 20일
  4. 北朝鮮 臨時人民委員會 樹立, 委員長 委員二十五人等 部署決定 Archived 2018년 7월 1일 - 웨이백 머신 중앙신문, 1946.02.20
  5. 북선위원회진용(鮮委員會陣容) Archived 2018년 6월 28일 - 웨이백 머신 공업신문 1946.02.21 1면
  6. 북한연표 해설목록 :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월 9일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는 위원장 김일성(金日成) 이하 위원 23명이 선출되면서 정식으로 발족하였는데, 그 성원은 위원장 김일성(金日成), 부위원장 김두봉(金枓奉), 서기장 강양욱(姜良煜) 외 무정(武亭), 최용건(崔庸健), 이문환(李文煥), 한희진(韓熙珍), 이순근(李舜根), 이봉수(李鳳洙), 한동찬(韓東燦), 장종식(張鐘植), 윤기녕(尹基寧), 방우용(方禹鏞), 최용달(崔容達), 홍기주(洪箕疇), 현창형(玄昌炯), 이기영(李箕永), 강진건(姜鎭乾), 박정애(朴正愛), 홍기황(洪基璜), 강영근(姜永根), 방수영(方壽永), 김덕영(金德永)이었다.

  7. 정해구,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북조선인민위원회 연구 國史館論叢 第54輯, 국사편찬위원회, 1994-08-20
  8. 북한연표 해설목록 : 북조선인민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