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 (항성)

(사냥개자리 베타에서 넘어옴)

카라(Chara)는 사냥개자리에 있는 황색 왜성이다. 바이어 명명법에 의하면 사냥개자리 베타로 읽는다. 겉보기 등급은 약 4.26 으로[1] 사냥개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이다. 연간 연주시차는 118.49 밀리초각으로[2] 이로부터 계산한 이 별과 지구 사이 거리는 약 27.53 광년이다.

카라
명칭
다른 이름 카라, 아스테리온, 사냥개자리 베타, 사냥개자리 8, BD +42 2321, FK5 470, HD 109358, HIP 61317, HR 4785, SAO 44230.[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사냥개자리
적경(α) 12h 33m 44.54482s[2]
적위(δ) +41° 21′ 26.9248″[2]
겉보기등급(m) 4.26[1]
절대등급(M) 4.64[3]
위치천문학
연주시차 118.49 ± 0.20 밀리초각[2]
성질
광도 1.151 ± 0.018 L[4]
나이 53억[5] ~ 71억 년[3]
분광형 G0 V[1]
추가 사항
질량 1.025 ± 0.050 M[6]
표면온도 5,653 ± 72 K[4]
중원소 함량 (Fe/H) –0.21 [m/H][7]
표면 중력 (log g) 4.60[7]
자전 속도 2.9 ± 0.4[8]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밝은 별인 코르 카롤리(Cor Caroli)와 함께 카라는 이 별자리를 구성하는 사냥개들 중 '남쪽 개'를 이루는 일원이다. 이 별의 고유 명칭은 카라로 원래는 '남쪽 개' 전체를 뜻하는 단어였으나, 이후 이 별 하나만을 일컫는 이름이 되었다. 카라(χαρά)는 그리스어로 기쁨, 즐거움을 뜻한다.[9]

관측 편집

카라의 겉보기 등급은 4.26으로 별자리 내에서 두 번째로 밝다. 분광형은 G0 V로 태양과 비슷한 G형 주계열성에 해당된다. 1943년부터 이 별은 G0 V 분광형의 기준별로 지정되었으며 비슷한 다른 별의 분광형을 결정하는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10] 이 별의 스펙트럼에는 채층에서 단독 이온화된 칼슘(칼슘 II)의 매우 약한 방출선이 발견되며, 이는 비슷한 스펙트럼 현상을 보이는 다른 별들의 표본이 된다.(칼슘 II의 방출선은 항성의 채층 활동을 측정하는 지표가 되며, 쉽게 탐지할 수 있다)[11]

카라는 태양보다 근소하게 중원소 함량이 적다.[7] 이는 헬륨보다 무거운 원소의 함량이 태양에 비해 낮음을 뜻한다. 그러나 이 별은 질량, 밝기, 연령 등 여러 면에서 태양과 비슷하기 때문에, 유사 태양으로 불린다.[12] 물리적으로 카라의 질량은 태양보다 3% 정도 더 무겁고 반지름은 12% 더 크고, 15% 더 밝다.[4]

카라의 우주 속도 요소는 (U, V, W) = (–25, 0, +2) km/s이다.[12] 이 별은 예전에는 분광쌍성으로 여겨졌으나 이후 연구로부터 쌍성임을 입증하지는 못했다.[13] 또한 2005년 이 별 주위에 갈색 왜성 하나가 돌고 있으리라는 기대 아래 관측이 이루어졌으나 관측 당시 천문장비의 민감도 범위 내에서 어떤 동반천체의 증거도 발견하지 못했다.[14]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 편집

2006년 천문학자 마가렛 턴불은 카라를 외계 문명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후보들 중 하나로 지목했다.[15] 태양과 비슷한 물리적 특징 때문에 우주생물학자들은 카라를 태양으로부터 32.6 광년 이내 있는 별들 중 우주 생물학적으로 가장 흥미로운 천체 목록에 올려놓았다.[12] 그러나 2009년 기준으로 이 별을 도는 행성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6]

문화 관련 편집

중국 천문학에서 카라는 태미원의 상진(常陳, 황제의 호위대)을 이루는 6개 별(카라, 사냥개자리 알파, 사냥개자리 10, 사냥개자리 16, 사냥개자리 2, 큰곰자리 67) 중 하나이다.[16] 이 중 카라는 '상진사'(常陳四, 상진 중 네 번째 별)로 표기한다.[17]

참고 문헌 편집

  1. “bet CVn -- Spectroscopic binary”.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0년 7월 4일에 확인함. 
  2.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3. Holmberg, J.; Nordström, B.; Andersen, J. (July 2009), “The Geneva-Copenhagen survey of the solar neighbourhood. III. Improved distances, ages, and kinematic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01 (3): 941–947, arXiv:0811.3982, Bibcode:2009A&A...501..941H, doi:10.1051/0004-6361/200811191. 
  4. Boyajian, Tabetha S.; 외. (February 2012), “Stellar Diameters and Temperatures. I. Main-sequence A, F, and G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746 (1): 101, arXiv:1112.3316, Bibcode:2012ApJ...746..101B, doi:10.1088/0004-637X/746/1/101. . See Table 10.
  5. Barry, Don C.; Cromwell, Richard H.; Hege, E. Keith (1987). “Chromospheric activity and ages of solar-type stars”. 《Astrophysical Journal, Part 1》 315: 264–272. Bibcode:1987ApJ...315..264B. doi:10.1086/165131. 
  6. van Belle, Gerard T.; von Braun, Kaspar (April 2009). “Directly Determined Linear Radii and Effective Temperatures of Exoplanet Host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694 (2): 1085–1098. arXiv:0901.1206. Bibcode:2009ApJ...694.1085V. doi:10.1088/0004-637X/694/2/1085. 
  7. Luck, R. Earle; Heiter, Ulrike (2006). “Dwarfs in the Local Region”. 《The Astronomical Journal》 131 (2): 3069–3092. Bibcode:2006AJ....131.3069L. doi:10.1086/504080. 
  8. Herrero, E.; 외. (January 2012), “Optimizing exoplanet transit searches around low-mass stars with inclination constraints”, 《Astronomy & Astrophysics》 537: A147, arXiv:1110.5840, Bibcode:2012A&A...537A.147H, doi:10.1051/0004-6361/201117809. 
  9. Kaler, Jim. “Beta Canum Venaticorum”.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2007년 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2월 6일에 확인함. 
  10. Garrison, R. F. (December 1993), “Anchor Points for the MK System of Spectral Classification”, 《Bulletin of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25: 1319, Bibcode:1993AAS...183.1710G, 2019년 6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4일에 확인함. 
  11. Herbig, G. H. (1985). “Chromospheric H-alpha emission in F8-G3 dwarfs, and its connection with the T Tauri stars”. 《Astrophysical Journal》 289 (1): 269–278. Bibcode:1985ApJ...289..269H. doi:10.1086/162887. 
  12. de Mello, G. P.; del Peloso, E. F.; Ghezzi, L. (2006). “Astrobiologically Interesting Stars Within 10 Parsecs of the Sun” (PDF). 《Astrobiology》 (abstract) 6 (2): 308–331. arXiv:astro-ph/0511180. Bibcode:2006AsBio...6..308P. doi:10.1089/ast.2006.6.308. PMID 16689649. 2008년 5월 5일에 확인함. 
  13. Morbey, C. L.; Griffin, R. F. (1987). “On the reality of certain spectroscopic orbits”. 《Astrophysical Journal, Part 1》 317: 343–352. Bibcode:1987ApJ...317..343M. doi:10.1086/165281. 
  14. Carson, J. C.; 외. (2006). “The Cornell High-Order Adaptive Optics Survey for Brown Dwarfs in Stellar Systems. I. Observations, Data Reduction, and Detection Analyses”. 《The Astronomical Journal》 130 (3): 1212–1220. arXiv:astro-ph/0506287. Bibcode:2005AJ....130.1212C. doi:10.1086/432604. 
  15. “Stars searched for extraterrestrials”. PhysOrg.com. 2006년 2월 19일. 2008년 5월 4일에 확인함. 
  16. 中國星座神話, written by 陳久金. Published by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ISBN 978-986-7332-25-7.
  17.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Archived 2009년 9월 29일 - 웨이백 머신, Hong Kong Space Museum. Accessed on line November 23, 2010.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