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 표준

사실상 표준(事實上標準), 사실상의 표준관습, 관례, 제품이나 체계시장이나 일반 대중에게 독점적 지위를 가진 것을 말한다. 공식적 표준(데 유레 스탠더드)과 반대되는 말로, 영어권에서는 데 팍토 스탠더드(라틴어: de facto /di ˈfæktoʊ/[*] + 영어: standard /ˈstændərd/[*])라고 부른다.

보통 기업간 치열한 경쟁을 통해 시장에서 결정되는 비 공식적 표준이다.[1] 한편 '사실상 표준'과 관련된 사례는 곧잘 시장의 독과점 문제와 연결되곤한다.

예제편집

  이 문단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되어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비교편집

사실상 표준과 공식적 표준 비교[1]

구분 공식적 표준 사실상 표준
표준화 결정 표준화 기관(ISO, ITU 등) 시장 (관련기업)
표준화 열쇠 표준화 기관이 강제 시장 점유율, 참여 기업수
단일표준 제공여부 원칙적 단일표준 단일화 시장경쟁에 위임
표준 제정속도 느림 빠름
표준화와 사업화 표준화 우선 사업화 우선

각주편집

  1. 이진영 (2004년 2월). “사실상의 표준 부각과 대응방안”. 《한국통신학회》 (한국통신학회논문지).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