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파리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토론 문서에 글을 남길 때는 해당 글 맨 뒤에 꼭 서명을 넣어 주세요. 위키백과에서 쓰는 서명 방식은 이름을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물결표 4개(--~~~~)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9월 3일 (일) 01:52 (KST)답변

元, 圓 라는 한자가 정확히 어느 한자에서 유래합니까? 편집

어느 한자에서 유래하는지 정확히 밝혀야 유래라는 용어를 쓸수 있습니다.--Okorea 2007년 2월 19일 (월) 13:03 (KST)답변

圓, 円, 元 모두 둥글다라는 뜻을 가지고 발음도 같은 일종의 변이자들입니다. 환(圜)도 발음은 다르지만 둥글다는 뜻이므로 圓과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영문 위키피디아 en:Renminbi, en:Yen, en:South Korean won, en:Korean won에 나온 어원에 대한 내용들을 참조하세요. --시간 파리 2007년 2월 19일 (월) 13:24 (KST)답변
그렇다면 에 뜻의 유래(둥글다, 발음이 비슷하다.)를 적는것이 좋겠네요. 원의 한자 유래를 다 적자면 위안에도 써야하고 북조선 원에도 써야하고 남한 원에도 써야하는데 그렇게 하는 것은 비효율적인듯 하네요.--Okorea 2007년 2월 19일 (월) 13:34 (KST)답변
지금의 대한민국의 원도 비록 공식적으로는 한자 표기를 하지 않지만 圓에서 유래되었다는 사실은 명백합니다. 따라서 한중일의 화폐단위들은 모두 같은 한자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부 사람들이 왜 애써 이런 사실을 부정하려고 하는지 이해가 안 됩니다. 지금의 원이 한자에서 유래된 것이 아니라면 그 어원을 제시해 주세요. 그렇지도 않으면서 편집 분쟁을 계속 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합니다. --시간 파리 2007년 2월 19일 (월) 14:30 (KST)답변
누가 부정했나요? 애초에 부정확한 어휘를 사용하여 오해를 부른것은 생각하지 않으십니까?--Okorea 2007년 2월 19일 (월) 14:34 (KST)답변
저는 Okorea님을 지칭하여 말한 것도 아니니 오해 마십시오. 또한 "모두 같은 글자를 쓰는 셈이다"라는 표현이 부정확하지도 않고 제가 쓴 문장도 아닙니다. "모두 같은 글자를 쓴다"는 것이 아니라 "쓰는 셈이다"라는 것은 결국 어원상으로 모두 같은 글자를 쓰는 것이라는 겁니다. 그런데도 대한민국의 원에 대한 언급까지 완전히 삭제하는 행위야말로 (Okorea님을 지칭하는 것이 아닙니다) 편집 분쟁을 초래한 것이 아닐까요? --시간 파리 2007년 2월 19일 (월) 14:53 (KST)답변
저를 지칭했다고 가정하고 쓰는 것이 아니니 걱정마세요. 그리고 대한민국 원에 대한 언급을 지운 것은 저입니다. 그냥 저를 비난하고 싶으시면 하세요. (굳이 인터넷에서까지 예의차리려는 모습을 보니 안타깝네요 -_-. 위안, 원에 대한 언급을 지운것은 문서 제목과 맞지 않는다고 보였기 때문입니다. 제 생각엔 엔, 위안, 원의 어원은 동음이의어 문서인 에서 다루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기분 나쁘셨다면 죄송하고, 어원을 찾은건 님이니 이제부턴 함부로 지우지 않겠습니다.--Okorea 2007년 2월 19일 (월) 14:59 (KST)답변
제가 언급한 삭제 부분은 Okorea님의 편집이 아닌 [1] 이 편집에서 대한민국의 원에 대한 설명이 삭제된 걸 말합니다. Okorea님이 그 문장을 삭제하신 기록은 찾을 수가 없네요. --시간 파리 2007년 2월 19일 (화) 15:25 (KST)답변
위안, 원의 어원은 해당 문서에 써 주시기 바랍니다. --Okorea 2007년 2월 19일 (월) 14:45 (KST)답변
핵심은 그게 아니죠. 한중일 화폐 단위가 모두 같은 어원을 공유한다는 내용을 서술하는데 왜 개별적으로만 서술해야 하고 종합적인 내용을 적으면 안 되는 겁니까? 엔화를 설명하는 문서에서 어원을 같이하는 다른 화폐의 내용을 서술하면 안 됩니까? --시간 파리 2007년 2월 19일 (화) 15:03 (KST)답변
알았습니다. 되돌려 놓았습니다. 님의 생각이 그렇다면 어쩔 수 없는거죠. 그리고 주제넘게 고친것 죄송합니다.--Okorea 2007년 2월 19일 (화) 15:04 (KST)답변
그런데 한가지 이해 안되는것이 있습니다. 圓에서 어떻게 圓이 유래합니까? (제가 진짜 궁금한건 그것입니다.) 단순히 한자가 같은 것 뿐인데 어원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Okorea 2007년 2월 19일 (화) 15:10 (KST)답변
圓의 둥글다라는 뜻에서 화폐 단위의 뜻이 유래했다고 이해하면 바르게 이해한겁니까?--Okorea 2007년 2월 19일 (화) 15:12 (KST)답변
단어의 어원을 설명할 때 그런 방식의 서술은 아주 흔합니다. 예를 들어 "영어의 image란 단어는 프랑스어 image에서 유래한 것이다"라고 하는 것과 비슷하죠. --시간 파리 2007년 2월 19일 (화) 15:25 (KST)답변

재버워키 번역 편집

언젠가 이 말씀을 드리려고 했었는데, 잊어버리고 지나간 모양입니다.

재버워키의 번역은 어딘가에 있는 한국어 번역을 참고한 것인가요? --Puzzlet Chung 2007년 4월 13일 (금) 11:32 (KST)답변

한국에서 번역 출판된 책에서는 그런 식으로 번역한 경우를 본 적이 없어서 인용하거나 참고할 번역본도 없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나름대로 번역을 해 본 겁니다. 혹시 이것이 위키백과의 NOR 정책에 위반 될까요? 저는 그냥 그 시를 원작의 취지를 살려서 한국어로 번역한다면 이렇게 할 수도 있다는 예를 든 것이었습니다. --시간 파리 2007년 4월 13일 (금) 14:13 (KST)답변

사용자가 직접 참여한 번역이라면 위키책이나 위키자료집에 더 어울릴 것 같습니다. 특히 위키자료집 쪽 관리자 분이 허락한다면 그쪽으로 옮기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Puzzlet Chung 2007년 5월 14일 (월) 08:10 (KST)답변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요, 사용자의 번역이니까 안 된다는 규칙이 이해가 안 되네요. 다른 언어판의 재버워키 번역도 (특히 일본어판) 새로 번역을 한 경우로 보입니다. 어차피 저작권이 말소되거나 GDPL에 따르는 재버워키의 한국어 번역판이 없는 상황에서 인용할 자료가 없다면 영어 원작을 적절히 한국어로 번역해서 올리는 건 당연하다고 봅니다. 또한 한국어 위키백과의 상당수의 내용도 결국 편집자의 번역에서 이루어진 것 아니던가요? 아니면 분량 때문에 시 전체를 다 올리는 것이 위키백과에는 맞지 않고 위키 자료집에 올려야 한다는 건가요? --시간 파리 2007년 5월 14일 (월) 08:56 (KST)답변

신조어를 신조어로 번역했고, 신조어를 만들고 선택하는 데에 개인의 주관과 창의가 들어가 있다는 점에서 사실을 기술한다는 백과사전의 취지와 거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Puzzlet Chung 2007년 5월 19일 (토) 07:25 (KST)답변

틀:LaTeX 편집

저렇게 하면 L이랑 A가 너무 붙지 않나요? 그리고 A는 다른 글자에 비해서 작고요. ―에멜무지로 (discusión · contribuciones · información · registro · e-mail) 2007년 5월 19일 (토) 11:10 (KST)답변

원래 LaTeX에서 정의된 바로는 A가 superscript 사이즈이고 커닝은 -.36em입니다. 그런데 IE에서 보면 -.36em 커닝은 너무 붙어 보이네요. 폰트를 크게 해서 보면 어느정도 볼만 하지만 보통 크기는 너무 붙어서 -0.20em정도로 수정했습니다. 이 정도면 정확한 LaTeX 로고와는 다르지만 화면과 프린팅 모두 어느정도 볼만한 정도입니다. --시간 파리 2007년 5월 19일 (토) 11:39 (KST)답변

한글의 이중 모음 문서들 편집

우연히 보다가 그내용이 위키백과의 내용의 발음을 근거로 한것을 발견하고 모두 되돌렸습니다. 예를 들어서 ㅞ의 중세 발음은 ㅔ문서의 ㅔ의 중세발음을 근거로 하고 있습니다.Hanguler 2007년 10월 17일 (수) 15:01 (KST)답변

위키백과의 내용의 발음을 근거로 했다는 것이 정확히 무슨 의미인지 이해가 되지 않네요. 다음은 제가 수정한 부분에 대한 설명입니다. 아무도 중세 한국어의 정확한 모음 발음을 알지 못합니다. 특히 'ㅓ'의 발음은 현대 한국어의 'ㅓ'와는 달랐을 것이라고 추측이 되고 그 발음에 대해서는 여러 설들이 있는데 원래 문서에서는 마치 정확한 중세 발음을 확정해서 기술하고 있어서 저는 이 점을 수정한 것입니다. 15세기의 'ㅔ'는 이중모음이라고 그 발음이 정확히 [ɤɪ] 라고 단정 못합니다. [ɤi], [ei] 혹은 [ej]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런데도 추측도 아닌 확정된 사실처럼 기술하고 아무런 참고 문헌도 달지 않았으니 이것은 백과사전의 기본과 벗어나는 겁니다. 그리고 'ㅖ', 'ㅑ', 'ㅞ', 'ㅘ' 등을 이중모음으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음성학 측면에서 엄격한 의미의 이중모음은 아닙니다. --시간 파리 2007년 10월 18일 (목) 00:14 (KST)답변
ㅞ의 중세 발음을 w+ㅔ의 위키백과문서상의 중세발음 식의 서술을 말합니다.Hanguler 2007년 10월 19일 (금) 13:11 (KST)답변

ActiveX의 이동에 대해서... 편집

안녕하세요. 액티브엑스를 ActiveX로 이동한 이유에 대해서 'ActiveX의 표기는 표준적으로 영문 그자체로 씁니다.'라고 하셨는데 근거가 궁금합니다. --Johyeongryeol 2007년 11월 7일 (수) 21:45 (KST)답변

마이크로소트프 사의 한국어 페이지와 msdn 페이지, 프로그래밍 매뉴얼에서 전부 ActiveX는 영문 표기 그대로 사용합니다. 관련 개발자들의 커뮤니티, 각종 문서, 자료에서도 ActiveX라는 표기를 사용하는 것이 관례입니다. 구글에서 ActiveX와 액티브엑스를 한국어 페이지를 대상으로 검색해봐도 그 결과의 수가 확연히 차이가 납니다. 위키백과의 비라틴 문자의 언어판에서도 영문 표기 그대로 표제어로 삼고 있습니다. 그리고 ActiveX는 독특한 표기 그대로 미국과 그밖의 나라에서 등록상표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시간 파리 2007년 11월 7일 (수) 22:40 (KST)답변
안녕하세요. 전문적인 영역에서 ActiveX를 많이 사용한다는 것은 잘 알고 있습니다만,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신문 기사와 같은 곳에서는 액티브엑스 또는 액티브X 로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럴 경우 대부분 ActiveX를 괄호 안에 넣어서 병기합니다. 저는 백과사전은 전문기술서적이나 프로그래밍 메뉴얼이 아니기 때문에, 될 수 있으면 전문인이 아닌 일반인을 대상으로 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될 수 있으면 영어를 모르는 한국어 사용자도 배려하여 위키백과의 문턱을 낮추고 싶기도 합니다. 물론 아주 전문적인 영역을 다룰 때는 어쩔 수 없겠지만, 일반 설명이나 표제어 등에서는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영어 알파벳까지는 예외를 둬서 액티브X로 표기하고 싶지만, 다이렉트엑스와의 일관성을 위해 액티브엑스로 표제어를 사용했습니다. 이와는 별도로 한국어 위키백과에는 한글 표기 우선의 관례가 있고, 토론:엑스박스와 같은 토론도 있으니 참고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Johyeongryeol 2007년 11월 10일 (토) 22:03 (KST)답변
추가 토론은 토론:ActiveX에서 하는 것이 좋을 거 같습니다. 위의 내용을 토론:ActiveX로 옮기겠습니다. --Johyeongryeol 2007년 11월 10일 (토) 22:05 (KST)답변

부상을 입다, 부상하다 편집

제가 ‘부상을 입다’를 틀렸다고 착각한 건 실수입니다만 ‘부상하다’ 역시 맞는 표현입니다. 굳이 고치실 필요는 없었는데… 어쨌든 현재 편집은 그대로 두겠습니다. --KSiOM (토론) 2008년 2월 17일 (일) 11:01 (KST)답변

실제로 상처를 입는다는 뜻으로 '부상하다'라고 쓰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떠오른다'는 뜻의 '부상(浮上)하다'와 혼동되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부상을 입다'라고 쓰는데 억지로 어색한 표현을 쓸 필요가 없지요. --시간 파리 2008년 2월 17일 (일) 11:33 (KST)답변

틀:의학정보주의사항 편집

안녕하세요, 틀:의학정보주의사항위키백과:면책 조항#의학 정보와 중복되는 내용의 틀로, 현재 위키백과:삭제 토론/틀:의학정보주의사항에서 삭제 토론 중임을 알려드립니다. --Kjoonlee 2008년 3월 21일 (금) 21:48 (KST)답변

이런->이러한 편집

누가 "이런"을 쓰든 "이러한"을 쓰든, 또 "그런"을 쓰든 "그러한"을 쓰든 관심이 없고 제 편집 취향과 무관합니다. "모든" 문서를 그렇게 수정하지 않으며 편집기를 이용하면 연속적으로 이러한 변환에 걸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실수일 수도 있지만 "그런"을 "그러한"으로 수정하였다고 해서 위키백과의 문서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제 옛 기여목록들을 보시면 여러 문법 잘못의 수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만 모든 문서에 걸쳐 "그런"을 "그러한"으로 고쳤다는 것은 발견하기 어렵습니다.) 오해하셨다면 죄송하며 앞으로 이러한 오해를 불러일으키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ted (토론) 2008년 8월 11일 (월) 21:58 (KST)답변

디스코그래피 사용 금지 편집

장기하 문서와 장기하와 얼굴들 문서에 2단계 문단 제목을 디스코그래피라고 수정한 것에 대해 말하는데요, 디스코그래피 보다 더 쉬운 단어로 표기하시면 안될까요?--슈트레인저 (토론) 2008년 11월 28일 (금) 23:28 (KST)답변

같은 뜻의 더 쉬운 단어가 뭐가 있을까요? 그리고 이미 많은 위키백과의 뮤지션 문서에는 디스코그래피를 널리 쓰고 있습니다. 비틀즈, 레드 제플린만 봐도 쉽게 알 수가 있을 겁니다. --시간 파리 (토론) 2008년 11월 29일 (토) 13:34 (KST)답변
주요 음반, 대표 음반 등으로 표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슈트레인저 (토론) 2008년 11월 29일 (토) 15:35 (KST)답변
주요 음반, 대표 음반 모두 디스코그래피와는 뜻이 다르지 않나요? 해당 뮤지션의 음반 전체 목록이란 뜻을 가진 디스코그래피와는 대체가 안 되겠습니다. 국어 사전에도 올라가 있고 이미 다른 문서에도 널리 쓰이고 있는 디스코그래피를 굳이 장기하 관련 문서에서만 바꿔 쓰자는 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시간 파리 (토론) 2008년 11월 29일 (토) 16:24 (KST)답변
저에겐 디스코그래피라는 단어 자체가 익숙하지 않아서 그런 것이니 이 점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슈트레인저 (토론) 2008년 11월 29일 (토) 17:34 (KST)답변

자장면 문서 편집 취소에 관한 의문 편집

"자장면의 맞춤법은 ‘자장면’이고, 표준어 발음도 /자장면/이다."라는 말이 좀 이상하다 싶어 다르게 수정하였습니다. "자장면의 맞춤법은 ‘자장면’이다"라는 말은 어폐가 있어 보이고, 표준어 '발음'이라하며 음소 표기에 쓰이는 / /를 넣은 것도 납득이 되지 않았고... 외래어의 '표준' 발음을 얘기하는 것(물론 발음법이 정해진 바 없으므로 표기대로 읽는 것이 맞겠지만)도 비단 자장면[짜장면]만 있는 문제가 아니기에 수정하였습니다만, 님께서 다시 원상복구하셨는데... 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Danimoth (토론) 2009년 3월 14일 (토) 02:45 (KST)답변

표준 발음은 표준어 규정의 표준 발음법 부분에서 잘 명시가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사전, 그리고 몇몇 표준발음사전에서도 자장면의 표준 발음이 잘 명시가 되어 있는데 마치 표기는 자장면으로 쓰지만 읽기는 짜장면으로 해도 된다는 식의 기술은 별 근거가 없어 보이네요. 더군다나 "외래어에 대해서는 그 표준발음이 정해진바 없음"이라는 말도 좀 이상했습니다. 외래어는 한국 표준 발음 기준에서 예외라는 건 처음 들어봅니다. 버스/뻐스를 예를 드셨지만 표준 발음은 버스가 맞겠죠. --시간 파리 (토론) 2009년 3월 14일 (토) 12:12 (KST)답변
아~ 그 말은 국립국어원에서 말한 "원칙적으로는 표기된 대로 발음해야 합니다. 다만 현재 어문 규정에는 외래어에 대해서 특별히 발음을 규정해 놓은 것이 없고, 현실적으로는 [뻐스, 써클]과 같이 된소리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문제는 앞으로 더 검토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현행 어문 규정에서는 외국어나 외래어의 발음에 대해서 원칙을 따로 정해 놓은 바가 없습니다만, 원칙적으로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한 대로 발음해야 합니다. 물론 어떤 경우에는 표기대로 발음하지 않는 것도 인정하기도 합니다. '버스'를 [뻐쓰]로 발음하는 사람이 많은데, 이렇게 외래어의 무성 폐쇄음이 경음으로 발음되는 것은 일종의 예외가 됩니다." 등의 말을 제가 좀 과장해서 말한 것 같네요. 그 부분은 제가 지나쳤음을 일단 편집 요약의 글은 발음법이 특별히 정해지지 않은 것을, 아예 없는 것처럼 말한 것은 인정하지만 -ㅁ-;, "자장면의 맞춤법은 ‘자장면’이고, 표준어 발음도 /자장면/이다."라는 부분, 특히 "자장면의 맞춤법은 '자장면'이고,"는 좀 다르게 표현해야 할 필요성은 느낍니다.--Danimoth (토론) 2009년 3월 14일 (토) 17:04 (KST)답변

호칭 '~씨' 편집

토론:숭례문 방화 사건 #호칭 접미사 ~씨 2008년 숭례문 방화 사건을 참조해주세요. - 나이키 NIKE787 2009년 3월 22일 (일) 12:10 (KST)답변

-ism과 length의 한글 표기 편집

-ism은 발음이 [ɪzəm]이고, [ɪzm]으로 절대 발음되지 않으며 그렇게 발음할 수도 없습니다. 저 suffix는 spelling만 봤을 때는 1음절 같지만 실제 발음은 2음절입니다. 또한 length도 마찬가지로 k 발음이 '약하게'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존재를 잘 모르는 것입니다. 약하게 발음된다는 건 발음되지 않는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시간들 새 로마식 (토론) 2009년 4월 3일 (금) 11:47 (KST)답변

또한 syllabic consonant를 발음할 때 생기는 [ə]를 '으'로 적는다는 규정은 외래어 표기법 어디에도 없습니다. --시간들 새 로마식 (토론) 2009년 4월 3일 (금) 11:50 (KST)답변

영어에서 성절 자음이 뭔지는 아시나요? 제발 섣부른 지식으로 모든 세상을 쉽게 판단하지 마세요. 그리고 length의 k 발음은 교양있는 사람일 수록 k 발음을 묵음하고 표준적인 발음에서도 k는 발음하지 않습니다. 옥스퍼드 발음 사전, OED에서도 모두 그렇게 표기하고 있습니다. 영어서 대부분 묵음으로 처리되는 자음을 한글로 1 음절을 차지하게 표기를 하면 오히려 원음과 더 멀어지게 됩니다. 아마도 최근에 시간들 새 로마식님이 이렇게도 발음이 되는 것을 보고는 이걸 좀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어서 그런 것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완전히 지식을 더 습득하신 다음에 이러셔도 늦지가 않았습니다. --시간 파리 (토론) 2009년 4월 3일 (금) 12:00 (KST)답변
시간들 새 로마식님이 주장하는 대로 과연 length를 k 발음 없이 발음하는 것이 정말 잘못된 발음입니까? 그래서 모든 "렝스"는 "렝크스"로 바꿔야하는 겁니까? 그리고 성절 자음 표기에 관해서 외래어 표기법 어디에도 없다고 하셨는데 -ism에 대해서는 확고하게 외래어 표기 용례집에서 "-이즘"으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시간 파리 (토론) 2009년 4월 3일 (금) 12:35 (KST)답변
syllabic consonant는 단독으로 음절을 이루는 자음 아닌가요? 그리고 외래어 표기법에서 -ism을 '-이즘'으로 표기하는 이유는 영한 사전의 IPA가 [izm]이며, 영한 사전 IPA를 기준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영한 사전 IPA(특히 음절 stress 표시, 이중 모음 표기 등)는 옛날 방식 IPA이므로 정확하지 않습니다. 저도 -ism을 '-이점'으로 표기하는 게 널리 쓰이는 표기 '-이즘'과는 멀어진다는 걸 알지만, syllabic consonant를 발음할 때 생기는 [ə]를 '으'로 적는다는 규정이 외래어 표기법에 직접적으로 명시돼 있지 않기 때문에 '-이점'으로 표기하는 것이 맞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length에 대해서는 dictionary.com의 strength AHD entry에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습니다.
Usage Note: Although the word strength is not spelled with a k, it is most often pronounced (strěngkth), with a (k) sound inserted between the (ng) and the (th). This intrusive (k) occurs for a simple reason: In making the transition from the voiced velar nasal (ng) to the voiceless dental fricative (th), speakers naturally produce the voiceless velar stop (k), which is made at the same place in the mouth as (ng) but is voiceless like (th). Other words with intrusive consonants include warmth, which may sound like it is spelled warmpth, and prince, which may sound like prints. The pronunciation (strěnth), which is made with (n) before (th), arises by the phonological process of assimilation. The velar (ng) moves forward in the mouth, becoming (n) before (th), which is made at the front of the mouth. Criticized in the past as sloppy, this pronunciation is now generally regarded as a standard, although less common, variant. The similar pronunciation of length is now also considered acceptable.
사실 length나 strength는 어떤 사전에서는 k 발음을 명시하고 있고, 어떤 사전에서는 명시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리고 length가 '렝스'라면 jinx는 '징스'여야 합니다. --시간들 새 로마식 (토론) 2009년 4월 3일 (금) 13:29 (KST)답변
뭔가 대단히 오해하고 계십니다. syllabic consonant를 아신다면 "-ism은 발음이 [ɪzəm]이고, [ɪzm]으로 절대 발음되지 않으며 그렇게 발음할 수도 없습니다."라고 말을 못합니다. 그렇게 발음을 못한다면 그건 더 이상 성절 자음이 아니겠죠. 그리고 위의 글도 제대로 이해하시지도 못하신 걸로 보이네요. 그 글을 제대로 이해하신다면, length에서 철자에도 없는 k가 나타나는 현상은 lenth로 발음 되는 것을 막기 위한 k가 첨가되어서 발음의 편의를 돕기 위해서 들어가는 것이고 원래부터 k가 들어가야 제대로 된 발음이라거나 안 들어가면 틀린 발음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하는 글이 아니라는 것을 잘 알 수가 있습니다. 비슷한 다른 예로 something을 sunthing으로 발음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sumpthing 이렇게 발음을 하기도 하지만 이것을 정통 발음으로 인정하지는 않습니다. 위 글에서도 warmpth라는 발음의 예를 들었군요. 그런데 님의 어투나 특이한 성격을 보면 과거의 어떤 사람을 연상시키네요. --시간 파리 (토론) 2009년 4월 3일 (금) 14:09 (KST)답변
여기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만 이렇게 시간 낭비 마시고 wiktionary에 가서도 length, strength 발음도 고치시고 옥스퍼드, 롱맨, 맥밀런 사전 편집자들에게도 항의서를 보내서 제대로 된 발음으로 표기하라고 하시길 바랍니다. --시간 파리 (토론) 2009년 4월 3일 (금) 14:19 (KST)답변

위키백과에 대한 오해 편집

'민주주의가 아닙니다'라는 문장은 오해를 불러일으키기 충분합니다. 물론 시간 파리님이 "위키백과는 민주주의가 아니다"는 지미 웨일즈도 말했듯이 위키백과의 기본 철학 중에서도 만트라같은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함부로 바꿀 것이 아니라고 봅니다.라고 하셨지만 지미 웨일즈가 한국어로 말한 것이 아니므로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첨가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은종현 (토론) 2009년 5월 26일 (화) 16:23 (KST)답변

민주주의를 절대선이나 최고의 정책 결정 방법이라고 믿고 계셔서 위키백과는 민주주의가 아니라는 사실에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게 아닌지요? 그럼 "위키백과는 민주주의다"라고 생각하십니까? 가능하면 제 개인 토론 페이지보다는 해당 토론에다 남겨 주세요. 마치 개인적으로 저를 설득하려는 것 밖에 안 됩니다. --시간 파리 (토론) 2009년 5월 26일 (화) 19:29 (KST)답변

출처를 밝혀 주세요. 편집

  반갑습니다 시간 파리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은행나무 문서에 하신 기여에 대해 알려드릴 것이 있습니다. 시간 파리님이 은행나무 에 편집하신 내용에 대해 출처가 요구되었습니다. 위키백과의 내용에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밝히는 것은 글을 읽는 사람이나 편집하는 사람이 확인할 수 있음을 보증하고, 해당 편집이 독자 연구가 아님을 보여 주고, 저작권 침해의 주장을 피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적절한 출처가 제시되지 않으면 해당 내용이 삭제될 수 있으니, 번거로우시더라도 처리를 부탁드립니다. 혹시 위키백과를 편집할 때 궁금한 점이 있다면 길라잡이사용법을 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더 궁금한게 있다면 안내소나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세요. 앞으로도 좋은 기여 부탁드립니다. —Dalgial (토론) 2009년 10월 24일 (토) 01:51 (KST)답변

시간 파리님 편집

앨버커키 문서를 잘 교정해주셔서 많은 도움이 됩니다. 고맙습니다.
Khlnmusa (토론) 2011년 8월 2일 (화) 01:54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