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사
- GrassnBreadBot 님 환영 메시지 감사합니다. [1] 봇에게도 그냥 감사합니다.
쑤능이 끝났으므로 어느 정도 자유. 아시다시피 여기는 Juniuswikiæ(그리고 Juniuswikia)의 사용자 토론 페이지입니다. 대화는 언제든 환영입니다. 제가 바로 대답할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0) (+)새 단락 쓰기
다지모 국제판(가칭) 설립에 관해 의견을 주시길 부탁드립니다.편집
제가 다양한 표기법 지원 모임에서 가칭 다지모 국제판을 설립하는 문제를 상정했습니다.
사용자토론:Yes0song/다지모#다지모 국제판 설립 방안에 대해 논의해 봅시다.를 읽어보시고, 그곳에 의견을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Yes0song 2007년 10월 3일 (수) 22:48 (KST)
한국어 위키백과내의 한자혼용 토론편집
위키백과토론:한자혼용에서 한자혼용에 관한 토론이 진행중입니다. 토론에 참여해 주셨으면 합니다. --마소리스 2007년 10월 7일 (일) 02:20 (KST)
한자위키편집
위키아에 한자위키를 열었습니다. 지금은 기존의 한자혼용 위키백과 인큐베이터에 있던 내용을 모두 한자위키로 옮긴 상태입니다. 여기에 적힌 현재 관련 상황을 읽어보시고, 의견 남겨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11월 9일 (금) 18:15 (KST)
서명편집
서명에 표는 쓰지 말아주세요. 표를 쓴 부분이 한 줄을 차지해버립니다. 그리고 이건 어떻게 할 수도 없습니다. <div>, 그림, <br /> 등도 줄을 내려버리니 사용하지 마세요. 서명을 예쁘게 꾸미셔야 된다면 <span>을 사용해주세요. 자세한 건 백:서명을 읽어보세요.-- 66 Quotation Marks. 99 2009년 3월 8일 (일) 19:24 (KST)
사랑방에서의 요청에 따라 수정해보았습니다. 원하셨던 것 맞는지 확인해보세요 ^^ shyang23 토론 기여 메일 2009년 3월 8일 (일) 21:23 (KST)
서명에 오류가 있는것 같군요편집
도무지 사용자문서에 연결이 안되네요.. 그리고 서명이 너무 복잡하니 수정 부탁드립니다. 도대체 서명 위에 회색으로 쓴 글씨는 무엇입니까?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09년 5월 4일 (월) 21:19 (KST)
위의 개요 부분만 두고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 병합하는 것이 더 좋을 듯 합니다. --S7 ㅡ【Ta.】【Con.】 2010년 11월 21일 (일) 20:11 (KST)
- (편집 충돌)저도 한동안 그렇게 생각했는데... 사실 오늘 오프모임에 갈 수 있으면 가서 이것에 관해 얘기해 보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개인적인 결론은 이렇습니다. 시험의 이름이 다른 것은 확실히 다르게 취급해야 하는 것들이고, 다른 표제어에 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 여러 시험에 대한 내용이 뒤죽박죽이 되어 있는데, 그건 확실히 잘못된 정보입니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가 특히 중요한 시험이므로 {{본문}}을 써서 참고를 시켜 주더라도 다른 시험 얘기까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서 다루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봅니다. 오히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를 일제고사의 해당 단락에 병합하는(사실상 남은 '의견'들을 아래 "일제고사에 대한 견해"에 끌어오는) 방식을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어리 | Discs. Contr. Mailto. ? | 2010년 11월 21일 (일) 20:17 (KST)
복제편집
생명 복제를 굳이 복제 (생명)으로 옮길 필요가 있을까요..--Amoeba (토론) 2010년 12월 22일 (수) 12:35 (KST)
URL편집
HTML, HTTP, DNA, RNA처럼 약자 형태를 표제어로 삼는게 편리하지 않을까요? -- ChongDae (토론) 2010년 12월 29일 (수) 19:20 (KST)
- 이 분야에 있어서 엄격한 지침은 없지만, 의미상 완벽하게 우리말로 번역될 수 있는 것은 우리말로 풀어 주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HTML이나 HTTP의 경우 풀어 쓴 문서 제목에 하이퍼텍스트라는 용어가 들어가야 하므로 문서 내에서 하이퍼텍스트에 대한 별도의 설명이 필요하며, DNA나 RNA는 관련 계열에서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압도적으로 약어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다 풀어 써 봤자 효용이 없습니다. 하지만 URL이라든지 DOM은 우리말로 번역해 놓으면 처음 보는 사람도 대강 뜻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각각 통합 자원 지시자, 문서 객체 모델로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DOM은 제가 제목을 바꾼 것이 아닙니다.) --어리 | Discs. Contr. Mailto. ? | 2011년 1월 14일 (금) 09:34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