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편집

생성하신 당 문서가 삭제 신청된 이유는 낱말이기 때문입니다. 낱말과 같은 문서는 위키낱말사전을 이용하시면 된답니다. --가람 (논의) 『One day, one hour』 2010년 9월 19일 (일) 21:24 (KST)답변

다음 카페

편집

다음 카페는 백:신뢰할 수 있는 출처의 범주에 속하는 출처가 아닙니다. 좀 더 신뢰할 수 있는 출처로 보강하는 것은 어떨까요? -- Min's (토론) 2010년 9월 20일 (월) 13:54 (KST)답변

그 카페는 제가 발표했던 논문을 스캔하여 자료를 올려두고, 추가하여 그에 관한 평론글을 모아둔곳이며, 논문 제목을 직접 기재할 수도 있겠으나, 현대는 인터넷 시대이고, 그에 어울리는 인터넷 주소가 적합할것이라 생각되어 다음 카페로 하였음.--Ygbh (토론) 2010년 9월 20일 (월) 14:03 (KST)답변

그렇다면 논문을 작성하실 때 참고하신 직접 출처를 이용하시는 것은 어떨까요? 설렁 다음 카페로 링크하더라도 직접 링크(딥 링크)를 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Min's (토론) 2010년 9월 20일 (월) 14:09 (KST)답변

1980년 당시에 논문을 작성할때 참고한 문헌은 총 49가지로 그 모든 문헌과, 본인의 현장 답사를 통한 자료를 종합하여,최종적으로 쓰여진게 논문이며, 그 결말에 붙혀진게 논문의 결론이고, 그 결론들로 하여 논문 심사가 승인된것임.

또, 일제시대에 편향된 시각으로 쓰여진 일인 학자들의 망언을 그대로 이곳에다 쓰라는건 상당한 무리한 것이라 보여짐.

차라리 내가 이곳에다 쓴 사실들을 나의 저작권을 앞세워 내 스스로 삭제 신청하는 것이 낫다고 보여짐.

논문이란 저작물은 이미 그 자체가 하나의 문헌이며, 그 논문이 있게한 또다른 참고 문헌들을 일일이 밝히라는것은 과거의 논문은 부정되고, 다시 논문 재심사를 하게된다는 의미 인데, 곤란하지 않겠수? --Ygbh (토론) 2010년 9월 20일 (월) 14:20 (KST)답변

그렇다면 그런 내용을 일반 문서에서는 확인할 수 없으니, 카페 대표 주소를 출처로 하지마시고, 직접 링크(딥 링크)로 출처를 정리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Min's (토론) 2010년 9월 20일 (월) 14:43 (KST)답변

무슨 말씀이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제 말은 올라온 자료를 다음 카페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직접 링크를 출처로 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입니다. 그래야 백:확인 가능한 출처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한 해당 카페는 회원만 볼 수 있는 공간인지, 아니면 누구나 볼 수 있는 공간인지도 답변 부탁드립니다. 단순히 카페 대표 주소만 링크되어 있어서 어디 어떤 부분에 해당 문서의 특정 부분에 대한 출처가 있다는 것인지 확인하기가 힘드네요. -- Min's (토론) 2010년 9월 20일 (월) 14:55 (KST)답변

이제 귀하의 질문이 이해가 가며, 그 카페는 회원전용이며,올려진 글들을 누구나 볼수 있게 지금 메뉴 손질을 하겠음. --Ygbh (토론) 2010년 9월 20일 (월) 14:58 (KST)답변

회원만 확인할 수 있으면, 백:확인 가능한 출처의 범주에 속할 수가 없습니다. 직접 운영하시고 직접 자료를 올리시나요? 그렇다면 블로그 등 누구나 확인할 수 있는 공간을 이용해주세요. 직접 링크 혹은 딥 링크는 그 링크를 클릭하면 바로 해당 출처를 확인할 수 있는 링크를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기사 출처를 달면 해당 기사를 바로 볼 수 있는 url을 링크하지, 언론사를 링크하지 않는 이유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 Min's (토론) 2010년 9월 20일 (월) 15:04 (KST)답변
그리고 블로그 등을 이용하여 직접 확인할 수 있는 url과 함께 {{서적 인용}} 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독자들로 하여금 해당 URL이 어떤 출처인지 이렇게 토론을 통해 물어보지 않고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Min's (토론) 2010년 9월 20일 (월) 15:05 (KST)답변
일단 좋은 기여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지금보니 비회원도 누구나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듯 하네요. {{서적 인용}} 틀이나, {{웹 인용}} 틀을 이용하시면 정확하게 출처를 남길 수가 있습니다.:) -- Min's (토론) 2010년 9월 20일 (월) 15:07 (KST)답변

안내

편집

출처에는 카페나 블로그가 포함되지 않는답니다. --가람 (논의) 『One day, one hour』 2010년 9월 21일 (화) 16:23 (KST)답변

문서는 개인 소유가 아닙니다. Irafox (토론) 2010년 9월 21일 (화) 19:40 (KST)답변

현재 위키백과에서 블로그/카페를 출처로 가능한가를 놓고 위키백과토론:신뢰할 수 있는 출처#유튜브, 트위터 관련에서 토론을 하고 있습니다. 토론결과에 따라 카페 출처를 상황에 따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조금만 기다려 보시는 게 좋겠습니다--어쏭(소통의 공간) "11 P.M Sleep, 6 A.M Wake up" 2010년 9월 21일 (화) 19:42 (KST)답변

문서는 개인 소유가 아닙니다. [1] 참고하십시오. Irafox (토론) 2010년 9월 21일 (화) 21:04 (KST)답변

알림

편집

  안녕하세요 Ygbh님!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하지만 당간지주 문서에 해 주신 편집은 문서를 훼손했기 때문에 문서를 편집하시기 전의 상태로 되돌려 놓았습니다.
이전의 편집 내용은 편집 역사에 기록되어 있으니 다시 한번 편집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위키백과 도움말을 참고하시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시면 됩니다. 연습이나 시험은 연습장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Irafox (토론) 2010년 9월 21일 (화) 23:10 (KST)답변


본문내용중 본인 저작권 관련 문장을 삭제한 이유 : 전에도 어떤 관리자가 다음 카페는 출처로서 신뢰 할수 없다 하였고, 오늘도 "출처에는 카페나 블로그가 포함되지 않는답니다. --가람" 이라 하였으며, 따라서, 당간지주 라는 제목의 새문장은 본인이 만들었으나, 현재 시점에서 출처의 인정 여부로 논란도 빚고 있는 등,전혀 생각치 못한 일이 발생하여 , 전체 내용중 본인이 오래전에 카페에 저작물로 올려두었던 인용 문장만 삭제함.Ygbh (토론) 2010년 9월 21일 (화) 23:16 (KST)답변

정상적으로 보이는 출처가 있는 내용인 [2] 이들 모두가 인용문입니까? 지속적으로 훼손하지 말아주시기 바랍니다. Irafox (토론) 2010년 9월 21일 (화) 23:18 (KST)답변

맨 앞의 1번 인용문을 제외한 나머지 아래의 모든 인용문이 저의 저작물이며, 얼마든지 증명 할수가 있음.본문내용중 본인 저작권 관련 문장을 삭제한 이유 : 전에도 어떤 관리자가 다음 카페는 출처로서 신뢰 할수 없다 하였고, 오늘도 "출처에는 카페나 블로그가 포함되지 않는답니다. --가람" 이라 하였으며, 따라서, 당간지주 라는 제목의 새문장은 본인이 만들었으나, 현재 시점에서 출처의 인정 여부로 논란도 빚고 있는 등,전혀 생각치 못한 일이 발생하여 , 전체 내용중 본인이 오래전에 카페에 저작물로 올려두었던 인용 문장만 삭제함.

지금 제게 전화주세요,053-783-2468 Ygbh (토론) 2010년 9월 21일 (화) 23:20 (KST)답변

인용에 대해서는 저작권(문서의 소유) 주장을 할 수 없습니다. 위키백과 내의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Unported 라이선스(CC-BY-SA 3.0) 하에 놓여집니다. Irafox (토론) 2010년 9월 21일 (화) 23:24 (KST)답변

문단 삭제를 멈춰주세요.

편집

정당한 이유, 토론 없이 진행되는 문단 제거 행위를 자제해주세요. --가람 (논의) 『One day, one hour』 2010년 9월 21일 (화) 23:27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