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Ikanteu/연습장

진화심리학(進化心理學, 영어: Evolutionary Psychology, EP)은 기억, 인지, 언어 등의 심리학적 특징을 현대의 진화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사회, 자연 과학의 한 접근방식이다. EP는 인간의 심리적인 특징 중 어떤것이 적응으로 진화되었는지 가려내는 것을 추구하며 여기서 말하는 적응은 자연 선택 혹은 성 선택의 부산물을 뜻한다. 진화생물학에서 생리적 기제를 기능에 따라 심장, 폐, 면역 체계 등으로 나누는 것과 같이, 일부 진화 심리학자들은 심리학에 같은 생각을 적용하여 마음도 인체과 유사하게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개별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진화심리학자들은 인간의 행동 대부분이, 조상들의 환경에서 되풀이되어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심리적 적응의 결과라고 주장한다.

적응론적 접근은 보편적인 심리학 분야에서 꾸준히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다.

진화심리학자들은 마치 진화론이 생물학의 통합 이론이 되었듯이, EP 역시 단순히 심리학의 하부 학문으로 그치지 않고, 심리학 전 영역을 통합할 근본적인 토대 및 메타 이론적인 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제언한다.

진화심리학자들은 모든 문화에서 보편적으로 발생하는 행동이나 특징들, 가령 타인의 감정을 추론할 수 있는 능력, 친족과 비친족을 구분하는 능력, 보다 건강한 짝을 가려내고 선호하는 능력, 타인과 협동하는 능력 등이 진화적 적응을 밝히는 데 유망한 연구분야라는 관점을 견지한다. 진화심리학자들은 영아살해, 지능, 결혼 양식, 난교(亂交), 미의식, 지참금, 부모의 투자 등의 주제와 관련된 이론상의 예측이 현실과 잘 맞아떨어짐을 전하고 있다.

EP의 이론과 연구 결과가 경제학, 환경, 건강, 법, 행정, 정신 의학, 정치학, 문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EP와 관련된 논쟁에 대하여는, 테스트 용이성에 대한 의문, (뇌의 개별 기능, 조상의 환경에 대한 광범위한 불확실성과 같은) 인지적 진화론적인 추정, 비진화적 비적응적인 설명의 중요성, 연구 결과의 해석에 기인한 정치적 윤리적 논란 등이 논의되고 있다.

진화심리학이라는 용어가 과학에서 만들어 진것은 아마도 1973년 기셀린의 논문에서 일것이다. 제롬 바코우, 레다 코스니즈, 존 투비는 그 용어를 매우 영향력있는 1992년 저서 <적응된 마음: 진화심리학과 문화의 형성>에서 대중화시켰다. 진화심리학은 경제학, 공격성, , 정신의학, 정치학, 문학, 그리고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의 연구들에 적용되어 왔다.

영역

편집

기본 원리

편집

진화심리학은 조상이 환경에서 되풀이하여 맞닥뜨리는 문제들에 대한 진화한 심리적 적응(의 보편적인 집합)의 부산물이 인간의 본성이라고 보는 접근방법이다. EP의 옹호자들은 진화심리학이 심리학을 생물학(진화론) 이론에 근간을 두고 체계화 하여 생물학의 한 분과로써 이해할수 있도록, 즉 심리학을 자연과학에 통합하는 것을 추구한다고 제언한다. 인체생리학자나 진화생리학이 "인간의 생리적인 본질"을 나타내는 인체의 신체적 적응을 가려내려 애써왔듯, 진화심리학의 목적도 "인간의 심리학적인 본질"을 나타내는 진화된 정서적, 인지적 적응을 가려내는 것이다. 스티븐 핑커에 따르면, EP는 '단일 이론이 아닌 광범위한 가설들의 집합'이며, 진화 심리학이라는 용어도 "적응, 유전자 단위의 선택(gene-level selection), 개별구조성(여기서는 인체가 기관으로 이루어지듯 마음도 특정한 기능을 하는 영역으로 이루어졌다는 의미에서의 modularity)등에 중점을 두어 진화론을 인간의 심리에 적용하는 특정한 방식을 가리키게 되었다'. 진화심리학은 컴퓨터 처리 모형에 기반하여 마음을 이해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심리적인 과정을 컴퓨터 처리 모형에 빗대에 묘사하는데 예를 들어 인지적인 투입, 가령 거미의 시각적 이미지가 신경계를 거쳐 전달되고, 그에 대한 적절한 반응 산출, 가령 잠재적인 위험을 지닌 동물에 대해 두려움의 감정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아나 번역 겁나 어렵네. 때려치고 잠이나 자야겠다.

관련 서적

편집
  • 딜런 에반스 '진화심리학 (Introducing Evolutionary Psychology)'
  • 데이비드 M. 버스 '진화심리학 (Evolutionary psychology : the new science of the mind. 4/E)'
  • 스티븐 핑거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How the mind works)'
  • 로버트 라이트 '도덕적 동물 (Moral animal)'
  • 데이비드 M. 버스 '욕망의 진화 (The Evolution of Desire : Strategies of Human Mating)'
  • G.밀러 '메이팅 마인드 (Mating mind)'

관련 페이지

편집

바깥 고리

편집

분류:진화생물학 분류:심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