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Propheceer/연습장/EAFF 대회/제7회 남자 동아시안컵

Propheceer/연습장/EAFF 대회/제7회 남자 동아시안컵
EAFF E-1 サッカー選手権 2017
개최국일본의 기 일본
개최기간12월 9일 ~ 12월 16일
참가팀 (1개 대륙)
경기장본선 조후
예선 홍콩데데도
결과
3위중국 중국
4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통계
최다 득점대한민국 김신욱
최우수 선수대한민국 이재성
« 2015
2019 »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동아시아 축구 연맹의 가맹국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동아시안컵의 제7회 대회이다. 2017년부터 동아시안컵 대회의 공식 명칭이 "EAFF 동아시안컵"에서 "EAFF E-1 풋볼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 남자부 대회와 여자부 대회의 공식 명칭과 로고를 달리 했던 이전 대회들과 달리 2017년부터는 양 대회의 공식 명칭과 로고를 하나로 통합하였다. 동일한 성격의 여자부 경기로는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가 있다.

대회는 1라운드, 2라운드 및 결승 대회로 구성된다. 1라운드에서 2016년 6월 30일부터 2016년 7월 4일까지 개최되었다. 1라운드에서는 총 4개국이 출전하였고, 1차례의 리그전을 거친 결과 중화 타이베이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2라운드홍콩에서 2016년 11월 6일부터 2016년 11월 12일까지 개최되었다. 2라운드에는 총 4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치렀고, 그 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결승 대회에 진출하였다. 결승 대회일본에서 2017년 12월 9일부터 2017년 12월 16일까지 개최되었다. 동아시아 축구 연맹 가맹국 중에서 FIFA 랭킹 기준 상위 3개국 자격으로 대한민국, 일본, 중국은 결승 대회에 자동으로 진출하였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라운드를 통과하여 결승 대회 진출권을 획득하였다. 결승 대회 자동진출 3개국 및 예선 라운드를 통과한 1개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당해 대회의 승자를 결정한다.

참가국

편집

2015년 EAFF 동아시안컵에서의 성적과 FIFA 랭킹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축구 연맹의 10개국이 1라운드, 2라운드 및 본선대회에 배정되었다. 대회의 각 단계에서 우승한 국가는 다음 단계로 진출한다.

결승 대회 2라운드 1라운드


1라운드

편집

1라운드에서 2016년 6월 30일부터 2016년 7월 4일까지 개최되었다. 1라운드에서는 총 4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2라운드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경기장

편집

제7회 동아시안컵 1라운드는 괌 축구 협회 국립 트레이닝 센터에서 열렸다.

괌 축구 협회 국립 트레이닝 센터
  데데도
수용인원: 5,000명
 


  대회 순위

편집
  2라운드 진출
순위 국가 승점 경기
1   중화 타이베이 9 3 3 0 0 13 3 +10
2   몽골 4 3 1 1 1 10 4 +6
3   마카오 4 3 1 1 1 7 6 +1
4   북마리아나 제도 0 3 0 0 3 2 19 -17


  일정 및 결과

편집

1차전
2016년 6월 30일
14:30 UTC+10
마카오   2 – 2   몽골 괌 축구 협회 국립 트레이닝 센터, 데데도
심판:   김우성
렁카항   38′
두아르트   44′
리포트 바야르자르갈   10′ (페널티)64′ (페널티)
2016년 6월 30일
17:00 UTC+10
중화 타이베이   8 – 1   북마리아나 제도 괌 축구 협회 국립 트레이닝 센터, 데데도
심판:   카쉬-에르딘 볼드
우쥔칭   30′56′
천웨이취안   37′
린젠쉰   40′64′81′90+2′
천이웨이   45+1′
리포트 슐러   90′

2차전
2016년 7월 2일
14:30 UTC+10
북마리아나 제도   1 – 3   마카오 괌 축구 협회 국립 트레이닝 센터, 데데도
심판:   첸신추안
그리핀   11′ (페널티) 리포트 람카셍   9′90+4′
두아르트   40′
2016년 7월 2일
17:00 UTC+10
몽골   0 – 2   중화 타이베이 괌 축구 협회 국립 트레이닝 센터, 데데도
심판:   오카베 다쿠토
리포트 린젠쉰   57′
린스카이   90′

3차전
2016년 7월 4일
14:30 UTC+10
북마리아나 제도   0 – 8   몽골 괌 축구 협회 국립 트레이닝 센터, 데데도
심판:   오카베 다쿠토
리포트 바야르자르갈   27′ (페널티)36′ (페널티)
나랑벌드   39′
다기나   45′
트글드르   54′55′84′
에르데네바트   79′
2016년 7월 4일
17:00 UTC+10
중화 타이베이   3 – 2   마카오 괌 축구 협회 국립 트레이닝 센터, 데데도
심판:   김우성
린젠쉰   36′64′
쩡즈웨이   88′
리포트 찬만   7′
레이카힘   77′

  수상 내역

편집
득점상 MVP
  (No.8) 린젠쉰   (No.8) 린젠쉰

2라운드

편집

2라운드홍콩에서 2016년 11월 6일부터 2016년 11월 12일까지 개최되었다. 2라운드에는 총 4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결승 대회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경기장

편집

제7회 동아시안컵 2라운드는 홍콩웡곡대구장(시티즌 AA싼헤이 홈구장)에서 열렸다.

웡곡대구장
  홍콩
수용인원: 6,769명
 


  대회 순위

편집
  결승 대회 진출
순위 국가 승점 경기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9 3 3 0 0 5 0 +5
2   홍콩 6 3 2 0 1 7 5 +2
3   중화 타이베이 4 3 1 0 2 4 6 -3
4   0 3 0 0 3 2 7 -5


  일정 및 결과

편집

1차전
2016년 11월 6일
15:00 UTC+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 0   중화 타이베이 웡곡대구장, 홍콩
심판:   프란잘 배너지
정일관   16′
심현진   87′
리포트
2016년 11월 6일
18:00 UTC+8
홍콩   3 – 2   웡곡대구장, 홍콩
관중: 3,299명
심판:   보 민 찌
아칸데   19′67′ (페널티)
산드루   22′
리포트 컨리프   74′
맬컴   81′

2차전
2016년 11월 9일
17:00 UTC+8
  0 –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웡곡대구장, 홍콩
심판:   카쉬-에르딘 볼드
리포트 서현욱   66′
박광룡   87′
2016년 11월 9일
20:00 UTC+8
홍콩   4 – 2   중화 타이베이 웡곡대구장, 홍콩
관중: 3,354명
심판:   왕디
아칸데   21′48′70′71′ 리포트 천보량   62′
천자오안   88′

3차전
2016년 11월 12일
15:00 UTC+8
중화 타이베이   2 – 0   웡곡대구장, 홍콩
심판:   투멘바라브 돌진수렌
우쥔칭   26′
린젠쉰   80′
리포트
2016년 11월 12일
18:00 UTC+8
홍콩   0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웡곡대구장, 홍콩
관중: 4,838명
심판:   프란잘 배너지
리포트 정일관   22′

  수상 내역

편집
득점상 MVP
  (No.8) 앨릭스 타요 아칸데   (No.8) 리영철

결승 대회

편집

결승 대회일본에서 2017년 12월 9일부터 2017년 12월 16일까지 개최되었다. 동아시아 축구 연맹 가맹국 중에서 FIFA 랭킹 기준 상위 3개국 자격으로 대한민국, 일본, 중국은 결승 대회에 자동으로 진출한다. 결승 대회 자동진출 3개국 및 예선 라운드를 통과한 1개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당해 대회의 승자를 결정한다.

  경기장

편집

제7회 동아시안컵 결승 대회는 일본아지노모도 스타디움(FC 도쿄도쿄 베르디 홈구장)에서 열렸다.

아지노모도 스타디움
  조후
수용인원: 49,970명
 


  선수 명단

편집

  대회 순위

편집
순위 국가 승점 경기
1   대한민국 7 3 2 1 0 7 3 +4
2   일본 6 3 2 0 1 4 5 -1
3   중국 2 3 0 2 1 4 5 -1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3 0 1 2 1 3 -2


  일정 및 결과

편집

1차전
2017년 12월 9일 한중전
16:30 UTC+9
대한민국   2 – 2   중국 아지노모도 스타디움, 조후
관중: 9,103명
심판:   카미스 알마리
김신욱   12′
이재성   19′
리포트 웨이스하오   9′
위다바오   76′
2017년 12월 9일
19:15 UTC+9
일본   1 – 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아지노모도 스타디움, 조후
관중: 20,806명
심판:   크리스 비스
이데구치 요스케   90+3′ 리포트

2차전
2017년 12월 12일 남북전
16:30 UTC+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0 – 1   대한민국 아지노모도 스타디움, 조후
관중: 5,477명
심판:   헤티캄카남게 페레라
리포트 리영철   64′ (자책골)
2017년 12월 12일
19:15 UTC+9
일본   2 – 1   중국 아지노모도 스타디움, 조후
관중: 17,220명
심판:   무하맛 타키
고바야시 유   84′
쇼지 겐   88′
리포트 위다바오   90+3′ (페널티)

3차전
2017년 12월 16일
16:30 UTC+9
중국   1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아지노모도 스타디움, 조후
관중: 18,272명
심판:   발렌틴 코발렌코
웨이스하오   28′ 리포트 정일관   80′
2017년 12월 16일 한일전
19:15 UTC+9
일본   1 – 4   대한민국 아지노모도 스타디움, 조후
관중: 36,645명
심판:   크리스 비스
고바야시 유   3′ (페널티) 리포트 김신욱   13′35′
정우영   23′
염기훈   69′

우승국

편집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남자부 우승

 
대한민국

    
제7대 동아시아 챔피언 (4회 우승)
2003년2008년2015년2017년

최종 순위

편집
순위 국가 경기 승점
1   대한민국 3 2 1 0 7 3 +4 7
2   일본 3 2 0 1 4 5 -1 6
3   중국 3 0 2 1 4 5 -1 2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 3 0 1 2 1 3 -2 1
▲ 결승 대회 진출
5   홍콩 3 2 0 1 7 5 +2 6
6   중화 타이베이2 3 1 0 2 4 6 -3 4
7   3 0 0 3 2 7 -5 0
▲ 2라운드 진출
8   몽골 3 1 1 1 10 4 +6 4
9   마카오 3 1 1 1 7 6 +1 4
10   북마리아나 제도 3 0 0 3 2 19 -17 0
▲ 1라운드 진출
  1. 2라운드에서 우승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우 결승 대회에서의 성적만을 기재한다.
  2. 1라운드에서 우승한   중화 타이베이의 경우 2라운드에서의 성적만을 기재한다.


수상 내역

편집
최우수 경기 팀상 최우수 경기 선수상 최우수 골키퍼상 최우수 수비수상 득점상 MVP
  대한민국   (No.17) 이재성   (No.21) 조현우   (No.20) 장현수   (No.9) 김신욱   (No.17) 이재성

기록과 통계

편집

트리비아

편집

각주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