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포 (시인)
사포(그리스어: Σαπφώ, 영어: Sappho, 기원전 630년 무렵 - 기원전 570년 무렵)는 고졸기 그리스의 시인이다. 레스보스섬의 에레소스 또는 미틸리니에서 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노랫말로 쓰이기 위한 서정시를 남긴 사포는 아름다운 시어로 뛰어난 시들을 남긴 고전 시대의 위대한 서정시인 가운데 하나로 평가받고 있으며 종종 열 번째 뮤즈[* 1], 시의 여신 등의 찬사를 받았다. 사포의 시들은 오랜 세월이 흐르며 대부분 사라졌고 단편적인 구절들만이 전해 오고 있다. 오늘날까지 온전히 전해지는 것은 《아프로디테 찬가》 뿐이다. 사포의 서정시는 단장격의 슬픈 만가(挽歌)가 주를 이루었다. 사포가 지었다는 풍자시 세 수가 전해져 오지만, 이것은 헬레니즘 시기 사포의 시풍을 모방하여 지어진 것이다.


사포의 삶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는 것이 그다지 없다. 레스보스섬의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의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다. 고대 기록은 사포에게 세 형제, 카락소스, 라리코스, 에우리기오스가 있었다고 전한다. 2014년 발견된 사포의 시 《형제》에는 이 가운데 카락소스와 라리코스를 언급하고 있다.[1] 기원전 600년 무렵 당시 그리스 세계의 동쪽 식민지인 마그나 그라이키아에 속하는 시라쿠사로 추방되어 기원전 570년 무렵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 살며 시작을 이어갔다. 연인 파온이 죽자 레프카다 절벽에서 몸을 던져 자살하였다는 전설이 전해 온다.
사포는 많은 시를 지었는데 대략 1만 행에 달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사포의 시는 당대는 물론 고전 고대 시기에 널리 알려졌다. 헬리니즘 시기 알렉산드리아에서는 대표적인 서정시인 아홉 명 가운데 한 명으로 꼽혔다. 사포의 시는 현대의 관점에서 보아도 특출한 표현력을 지니고 있으며 많은 시인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사포의 시에는 종종 여성 사이의 사랑에 대한 묘사가 등장하여 레즈비언의 어원이 되었다.[2] 레즈비언은 원래 레스보스섬 사람이란 뜻이다.
사료 편집
사포의 삶을 유추해 볼 수 있는 고대 사료로는 세 가지가 있다. 후대에 사포의 행적을 정리한 《테스티모니아》, 사포 당대의 역사, 그리고 사포의 시 자체에 들어있는 스스의 삶에 대한 이야기들이 그것이다.[3]
《테스티모니아》는 고전 시기 작가들의 생애와 작품을 정리한 것이다. 사포가 살던 당대에는 사포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2][4] 《테스티모니아》에 포함되어 있는 사포의 행적은 미심쩍은 것이 많아 이를 참조할 때에는 교차 확인이 필요하다.[5][6]
생애 편집
남편이 죽자 미틸리니에 가서 결혼 전의 처녀들을 모아서 소규모의 학교를 개설하고 음악, 무용, 시가를 가르쳤다. 현존하는 축혼가나 사랑의 노래는 그러한 처녀나 다정한 벗들을 대상으로 해서 읊어진 것이다. 주로 서정시를 많이 썼는데, 당대에도 명성이 아르카이오스, 호메로스와 견줄 만큼 높았다. 그의 시는 9권에 달한다고 하지만, 보존 상태가 온전하지 못해 <아프로디테 찬가>와 두세 편의 시가 거의 완전한 형태로 전해지고 나머지 장편시들은 모두 소실되었다. 그 외에는 많은 단편이 남아 있다.
조화가 넘치는 우애의 환희를 읊어 예부터 내려오는 남성적 영웅주의 전통에 여자가 지니는 영혼의 정열과 고결함을 첨가시켰다. 또한 그리운 처녀 앞에 나타난 약혼자에 대한 시인의 질투심조차도 담담한 소박함 속에서 표현하면서도 개인적 감정의 생생한 격정을 훌륭히 노래하고 있다. 그의 시는 추상의 세계에서 방황하는 법이 없이 참된 정열이 언제나 감각의 세계를 통해 영혼을 밑바닥에서부터 뒤흔들어 놓고 있음을 묘사한다. 그리하여 여기에서 우러나오는 무한한 비애가 그의 시에 순박한 우울의 아름다움과 참된비극이 갖는 고아한 즐거움을 불어넣고 있다.
각주 편집
내용주
참고주
- ↑ Mueller, Melissa (2016). “Re-Centering Epic Nostos: Gender and Genre in Sappho's Brothers Poem”. 《Arethusa》 49 (1): 25–46. doi:10.1353/are.2016.0004. S2CID 162664480., P.38
- ↑ Rayor & Lardinois 2014, 2–9쪽.
- ↑ Rayor & Lardinois 2014, 2쪽.
- ↑ Barnstone 2009, 123쪽.
- ↑ Winkler 1990, 168쪽.
- ↑ Parker 1993, 321쪽.
참고 자료 편집
- Rayor, Diane; Lardinois, André (2014). 《Sappho: A New Translation of the Complete Work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07-02359-8.
- Winkler, John J. (1990). 《The Constraints of Desire: The Anthropology of Sex and Gender in Ancient Greece》. New York: Routledge. ISBN 0415901235.
- Barnstone, Willis, 편집. (2009). 《The Complete Poems of Sappho》. Shambhala Publications. ISBN 9780834822009.
- Parker, Holt (1993). “Sappho Schoolmistres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Philological Association》 123.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