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대역
석대역(Seokdae station, 石坮驛)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석대동에 있는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의 전철역이다. 이 역부터 안평역까지 지상 구간이다.
석대
| |
---|---|
![]() 역사 | |
![]() 역명판 | |
개괄 | |
관할 기관 | 부산교통공사 경전철운영사업소 반여농산물시장관리역 |
소재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석대천로 121 |
개업일 | 2011년 3월 30일 |
역 번호 | 410 |
승강장수 | 1면 2선(섬식) |
거리표 |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
미남 기점 7.6 km | |
|
특징편집
아치형 모형으로 생겼으며 주변 지역은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으로 지정되어 해운대구 자원 재활용센터 외에는 역세권이 없다. 또 그 앞은 방위산업 전문 기업인 풍산의 부산 사업장이 위치해있다.[1]
이 역의 주변은 대부분 다 개발제한구역이어서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은 물론 부산 도시철도의 모든 역들 중 이용객이 가장 적으며, 2015년 8월 24일에 역무원이 없는 '무인역'으로 운영이 변경되었다. 대한민국 도시철도 역들 중 유일하게 '무인역'이다. 하지만, 2007년에 석대지구의 그린벨트가 일부 해제되었고, 첨단산업단지 확대 지정을 논의 중이다.[2][3] 이 역과 반여농산물시장역 사이에 아치형 사장교가 있다.
역사편집
- 2011년 3월 30일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2015년 8월 24일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무인역'으로 운영 변경
역 구조편집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편집
반여농산물시장 ↑ |
| 하상 | |
↓ 영산대 |
상행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반여농산물시장 · 충렬사 · 동래 · 미남 방면 |
---|---|---|
하행 | 영산대 · 윗반송 · 고촌 · 안평 방면 |
- 승강장에서 반대 방면 열차로 탑승할 수 있다.
사진편집
역 주변편집
- 석대동
- 해운대구 자원 재활용센터
- 반석교
승차량 변동편집
주변이 모두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이기 때문에, 4호선은 물론 부산 도시철도의 모든 역들 중에서 이용객이 가장 적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녹동역과 수인선의 달월역은 이 역보다 이용객이 더 적지만,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녹동역은 1시간에 한 편씩 열차가 정차하고 수인선의 달월역은 1시간 동안 4편의 열차가 정차하는 역인 반면에 이 역은 주변이 개발제한구역인데 7~8분에 열차가 한 편씩 정차하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연호역처럼, 이 역도 7~8분에 한 편씩 열차가 정차하기 때문에, 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역들 중 이용객이 가장 적은 역이라고 볼 수 있다.
2015년 4월 23일에 개통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학정역이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역들 중 이용객이 가장 적으나, 이 역보다는 이용객이 많다.
노선 | 승차 인원 | 주 석 | |||||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4호선 | 118 | 118 | 128 | 139 | 155 | 161 | [4] |
인접한 역편집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
---|---|---|
409 반여농산물시장 미남 방면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411 영산대 안평 방면 |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강경흠, 풍산, 부산지하철 개통 덕 볼까, 내일신문, 2006년 2월 1일
- ↑ 이상민, 석대에 '첨단산업단지' ... 하반기 중 GB 해제, 부산일보, 2007년 1월 30일
- ↑ 박중석, 풍산마이크로텍 노조 "사측은 노동탄압, 부산시는 특혜지원" 주장, CBS 노컷뉴스, 2013년 11월 11일
- ↑ 본 자료는 부산교통공사 홈페이지에 게시된 부산 도시철도 승객량 통계를 가공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