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경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2년 11월) |

생애 편집
본관은 창녕으로 직제학 사재(思齋)의 6대손이며, 흔(忻)의 아들이다. 1592년 임진왜란 발발 당시 음서를 통해 진주판관으로 재임 중이었는데 왜군이 쳐들어오자 초유사(招諭使) 김성일(金誠一)에게 발탁되어 성을 수리하고 무기를 수선하는 데 앞장섰다. 또 한편으로는 격문을 돌려 군사를 모았고 이를 보고 백성들이 돌아오기도 했다.
같은 해 제1차 진주성 전투에 참여해 진주 목사 김시민과 함께 3800명의 군사를 이끌고 2만 명의 왜군에 맞서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1593년 제2차 진주성 전투에 참여했으나 창의사 김천일(金千鎰), 경상우병사 최경회, 충청병사 황진, 진주 목사 서예원, 의병장 고경명(高敬命) 등과 함께 전사했다. 사후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진주 충렬사와 창녕의 물계 서원(勿溪書院)에 배향되었다.
가족 관계 편집
- 6대조부 : 성염조(成念祖)
- 5대조부 : 성현(成俔)
- 고조부 : 성세창(成世昌)
- 증조부 : 성해(成諧)
- 할아버지 : 성자제(成子濟)
- 백부 : 성돈(成惇)
- 중부 : 성염(成恬)
- 아버지 : 성흔(成忻)
- 할아버지 : 성자제(成子濟)
- 증조부 : 성해(成諧)
- 고조부 : 성세창(成世昌)
- 5대조부 : 성현(成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