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련목

식물의 목

수련목(睡蓮目, 학명: Nymphaeales 님파이알레스[*])은 속씨식물군이다.[1] 수련과 다른 수생식물을 포함한다. 수련목은 속씨식물군의 기저에 있는, 또는 초기에 분기된 그룹으로 여겨지며, 외떡잎식물군진정쌍떡잎식물군과는 별개의 계통이다. 백악기 전기와 같은 이른 시기에 멸종된 기록종으로 알려져 있는 수생 초본 식물 과들을 포함한다.

수련목
흰수련(Nymphaea alba)
흰수련(Nymphaea alba)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목: 수련목
Nymphaeales
Salisb. ex Bercht. & J.Presl, 1820

학명이명
이명 목록

하위 분류

편집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속씨식물의 계통 분류이다.[2]

속씨식물군

암보렐라목

수련목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

핵심 속씨식물군

홀아비꽃대목

목련군

외떡잎식물군

붕어마름목

진정쌍떡잎식물군

2016년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수련과, 어항마름과, 히다텔라과를 포함하는 수련목을 속씨식물군 아래에 분류하며,[3] 이는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의 분류와 동일한데,[4] 이는 히다텔라과가 수련목에 포함된다는 것을 밝힌 Saarela 등의 2007년 연구를 반영한 것이다.[5] 2003년 APG II 분류 체계와 그 이전의 1998년 APG 분류 체계에서는 수련목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대신 어항마름과를 포함하는 넒은 의미의 수련과가 속씨식물군 바로 아래에 분류되었다.[6][7]

1992년 손 분류 체계는 수련목을 목련강(Magnoliopsida[=속씨식물]) 목련아강(Magnoliideae[=쌍떡잎식물]) 수련상목(Nymphaeanae) 아래에 분류했으며, 하위에 수련과(Nymphaeaceae)와 어항마름과(Cabombaceae)를 두었다.[8]

1981년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는 수련목을 목련문(Magnoliophyta[=속씨식물]) 목련강(Magnoliopsida[=쌍떡잎식물]) 목련아강(Magnoliidae) 아래에 분류했으며, 하위에 바클리수련과(Barclayaceae), 붕어마름과(Ceratophyllaceae), 수련과(Nymphaeaceae), 어항마름과(Cabombaceae), 연꽃과(Nelumbonaceae)를 두었다.[9]

1980년 달그렌 분류 체계는 수련목을 목련강(Magnoliopsida[=속씨식물]) 목련아강(Magnoliideae[=쌍떡잎식물]) 수련상목(Nymphaeanae) 아래에 분류했으며, 하위에 붕어마름과(Ceratophyllaceae), 어항마름과(Cabombaceae), 수련과(Nymphaeaceae)를 두었다.[10]

각주

편집
  1. Salisbury, Richard Anthony. ex: Berchtold, Bedřich Všemír von & Presl, Jan Svatopluk. O Prirozenosti Rostlin 244. 1820.
  2. Angiosperm Phylogeny Group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doi:10.1111/boj.12385. 2016년 4월 1일에 확인함. 
  3. Angiosperm Phylogeny Group; Byng, James W.; Chase, Mark W.; Christenhusz, Maarten J. M.; Fay, Michael F.; Judd, Walter S.; Mabberley, David J.; Sennikov, Alexander N.; Soltis, Douglas E.; Soltis, Pamela S.; Stevens, Peter F.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PDF).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81 (1): 1‒20. doi:10.1111/boj.12385. 
  4. Angiosperm Phylogeny Group; Bremer, Birgitta; Bremer, Kåre; Chase, Mark W.; Fay, Michael F.; Reveal, James L.; Soltis, Douglas E.; Soltis, Pamela S.; Stevens, Peter F. (2009).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PDF).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61 (2): 105‒121. doi:10.1111/j.1095-8339.2009.00996.x. 
  5. Saarela, Jeffery M.; Rai, Hardeep S.; Doyle, James A.; Endress, Peter K.; Mathews, Sarah; Marchant, Adam D.; Briggs, Barbara G.; Graham, Sean W. (2007). “Hydatellaceae identified as a new branch near the base of the angiosperm phylogenetic tree” (PDF). 《Nature》 (영어) 446: 312‒315. doi:10.1038/nature05612. PMID 17361182. 
  6. Angiosperm Phylogeny Group; Bremer, Birgitta; Bremer, Kåre; Chase, Mark W.; Reveal, James L.; Soltis, Douglas E.; Soltis, Pamela S.; Stevens, Peter F. (2003).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PDF).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41 (4): 399‒436. doi:10.1046/j.1095-8339.2003.t01-1-00158.x. 
  7. Angiosperm Phylogeny Group; Bremer, Kåre; Chase, Mark W.; Stevens, Peter F. (1998). “An Ordinal Classification for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PDF).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영어) 85 (4): 531‒553. doi:10.2307/2992015. 
  8. Thorne, Robert F. (1992). “Classification and geography of the flowering plants”. 《The Botanical Review》 (영어) 58 (3): 225‒327. doi:10.1007/BF02858611. 
  9. Cronquist, Arthur (1981).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영어).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038805. 
  10. Dahlgren, R. M. T. (1980). “A revis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the angiosperms”.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80 (2): 91‒124. doi:10.1111/j.1095-8339.1980.tb0166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