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아비꽃대과

홀아비꽃대과(-----科, 표준어: 홀아비꽃댓과, 학명: Chloranthaceae 클로란타케아이[*])는 속씨식물군단형 홀아비꽃대목(-----目, 학명: Chloranthales 클로란탈레스[*])에 속하는 유일한 이다.[1][2]

홀아비꽃대과
홀아비꽃대(Chloranthus japonicus)
홀아비꽃대(Chloranthus japonicus)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목: 홀아비꽃대목
Chloranthales
R.Br., 1835
과: 홀아비꽃대과
Chloranthaceae
R.Br. ex Sims, 1820
모식종
홀아비꽃대속(Chloranthus Sw.)
[출처 필요]

이 과는 본래, 열대와 아열대 지방에 존재하는 초본 또는 목본 식물로 모두 4개 속에 수십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과의 구성원들은 방향성과 특이한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지닌 마주나기잎과 잎자루 사이의 턱잎(꼭두서니과(Rubiaceae)에서 발견되는 턱잎와 비슷한)을 가지며, 꽃은 작고 빛깔이 엷으며 꽃차례가 달려 있다. 꽃잎은 이 과에서는 없으며, 때로 꽃받침이 있다. 꽃은 자웅동체 또는 자웅이체일 수 있다. 과일은 하나의 심피로 이루어진 핵과와 비숫하다.

홀아비꽃대과는 어떤 다른 과와도 밀접한 관계가 없으며, 속씨식물에서 아주 초기에 분기된 계통으로, 진정쌍떡잎식물도, 외떡잎식물도 아니다.

하위 분류

편집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속씨식물의 계통 분류이다.[3]

속씨식물군

암보렐라목

수련목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

핵심 속씨식물군

홀아비꽃대목

목련군

외떡잎식물군

붕어마름목

진정쌍떡잎식물군

2016년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홀아비꽃대과만을 포함하는 홀아비꽃대목을 속씨식물군 아래에 분류하며,[4] 이는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의 분류와 동일하다.[5] 2003년 APG II 분류 체계 및 1998년 APG 분류 체계에서는 홀아비꽃대목을 두지 않고, 속씨식물군 아래 목 없이 홀아비꽃대과를 인정했다.[6][7]

1992년 손 분류 체계는 홀아비꽃대과를 목련강(Magnoliopsida[=속씨식물]) 목련아강(Magnoliideae[=쌍떡잎식물]) 목련상목(Magnolianae) 목련목(Magnoliales)아래에 분류했다.[8]

1981년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는 홀아비꽃대과를 목련문(Magnoliophyta[=속씨식물]) 목련강(Magnoliopsida[=쌍떡잎식물]) 목련아강(Magnoliidae) 후추목(Piperales) 아래에 분류했다.[9]

1980년 달그렌 분류 체계에서는 홀아비꽃대과를 목련강(Magnoliopsida[=속씨식물]) 목련아강(Magnoliideae[=쌍떡잎식물]) 목련상목(Magnolianae) 홀아비꽃대목(Chloranthales) 아래에 분류했다.[10]

각주

편집
  1. Brown, Robert. In: Martius, Carl Friedrich Philipp von. Conspectus Regni Vegetabilis: Secundum characteres morphologicos praesertim carpicos in classes ordines et familias digesti, adjectis exemplis nominibusque plantarum usui medico technico et oeconomico inservientium 12. 1835.
  2. Brown, Robert. Botanical Magazine 48: sub pl. 2190. 1820.
  3. Angiosperm Phylogeny Group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doi:10.1111/boj.12385. 2016년 4월 1일에 확인함. 
  4. Angiosperm Phylogeny Group; Byng, James W.; Chase, Mark W.; Christenhusz, Maarten J. M.; Fay, Michael F.; Judd, Walter S.; Mabberley, David J.; Sennikov, Alexander N.; Soltis, Douglas E.; Soltis, Pamela S.; Stevens, Peter F.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PDF).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81 (1): 1‒20. doi:10.1111/boj.12385. 
  5. Angiosperm Phylogeny Group; Bremer, Birgitta; Bremer, Kåre; Chase, Mark W.; Fay, Michael F.; Reveal, James L.; Soltis, Douglas E.; Soltis, Pamela S.; Stevens, Peter F. (2009).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PDF).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61 (2): 105‒121. doi:10.1111/j.1095-8339.2009.00996.x. 
  6. Angiosperm Phylogeny Group; Bremer, Birgitta; Bremer, Kåre; Chase, Mark W.; Reveal, James L.; Soltis, Douglas E.; Soltis, Pamela S.; Stevens, Peter F. (2003).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PDF).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41 (4): 399‒436. doi:10.1046/j.1095-8339.2003.t01-1-00158.x. 
  7. Angiosperm Phylogeny Group; Bremer, Kåre; Chase, Mark W.; Stevens, Peter F. (1998). “An Ordinal Classification for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PDF).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영어) 85 (4): 531‒553. doi:10.2307/2992015. 
  8. Thorne, Robert F. (1992). “Classification and geography of the flowering plants”. 《The Botanical Review》 (영어) 58 (3): 225‒327. doi:10.1007/BF02858611. 
  9. Cronquist, Arthur (1981).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영어).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038805. 
  10. Dahlgren, R. M. T. (1980). “A revis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the angiosperms”.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80 (2): 91‒124. doi:10.1111/j.1095-8339.1980.tb01661.x.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