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위 제1연대

(시위보병 제1연대에서 넘어옴)

시위 제1연대(侍衛第一聯隊)는 대한제국 시기에 창설된 궁성 경호 부대이다. 대한제국 고종의 황제권 강화 노력의 일환으로 러시아식 편제에 따라 1898년 5월에 창설되었으며, 1905년 4월에 시위보병 제1연대로 재편되었다.

시위 제1연대
侍衛第一聯隊
활동 기간1898년 5월 27일 ~ 1907년 8월 1일
국가대한제국의 기 대한제국
소속대한제국 육군
종류보병
역할왕궁 시위 (근위)
규모연대
명령 체계원수부
본부대한제국 한성부
참전남대문 전투
지휘관
지휘관부령[1] 조동윤(趙東潤)

연혁 편집

  • 1898년(고종 35년, 광무 2년) 5월 27일, 부대 창설 (시위 제1대대, 시위 제2대대로 연대를 편성)[2]
  • 1898년 7월 2일, 1개 포병대 추가 편성
  • 1899년(고종 36년, 광무 3년) 9월, 제3대대 추가 편성
  • 1899년 12월 19일, 2개 포병대대 및 1개 군악대 추가 편성 (포병대대는 기존 1개 포병대를 해체한 후 증편한 것임)
  • 1902년(고종 39년, 광무 6년) 9월 12일, 제3대대 및 제2포병대대, 군악대를 시위 제2연대로 배속 전환 (시위 제2연대가 창설됨)[3]
  • 1904년(고종 41년, 광무 8년) 3월 12일, 군악대 추가 편성
  • 1905년(고종 42년, 광무 9년) 4월 14일, 부대 명칭을 시위보병 제1연대로 개칭 및 시위 제2연대로부터 1개 대대를 편입하는 등의 편제 개편[4] (시위 제2연대, 친위 제1연대, 친위 제2연대 해체)
  • 1907년(고종 44년, 광무 11년) 4월 22일, 연대가 시위혼성여단(侍衛混成旅團, 侍衛渾成旅團)으로 편제됨[5][6]
  • 1907년 8월 1일, 부대 해체 (대한제국 군대 해산)

지휘관 편집

  • 초대, 부령(副領) 조동윤(趙東潤)[7] : 1898년 4월 14일 (양력 6월 2일) ~ 1898년 9월 28일 (양력 11월 11일)
서리, 군부(軍部) 군무국 군사과장 권용국(權用國) : 1898년 10월 5일 (양력 11월 18일) 당시
  • 부령 권용국(權用國) : 1898년 11월 30일 ~ 1899년 6월 28일 (양력 8월 4일) 휴직
  • 정령(正領)[8] 김승규(金昇圭) : 1899년 7월 13일 (양력 8월 18일) ~ 1899년 10월 6일 (양력 11월 8일) 휴직
  • 부령 이기동(李基東) : 1899년 10월 6일 (양력 11월 8일) ~ 1900년 9월 29일 (양력 11월 20일) 면직
서리, 참령 이태래(李泰來) : 1899년 12월 8일 (양력 1900년 1월 9일) 당시
  • 부령 구영조(具永祖) : 1900년 10월 5일 (양력 11월 26일) ~ 1901년 11월 11일 (양력 3월 1일) 면직
  • 부령 구영조(具永祖) : 1902년 3월 1일 (양력 4월 8일) ~ ?
  • 부령 양성환(梁性煥) : 1903년 4월 16일 (양력 5월 12일) ~ 1903년 8월 16일 (양력 10월 6일) 면직
서리, 경무사 양성환(梁性煥) : 1903년 8월 16일 (양력 10월 6일) ~ 1903년 10월 24일 (양력 11월 11일)
  • 부령 양성환(梁性煥) : 1903년 10월 24일 (양력 11월 11일) ~ 1904년 (양력 4월 12일) 면직
  • 부령 이근형(李根馨) : 1904년 2월 26일 (양력 4월 11일) ~ 1904년 (양력 4월 11일) 면직
  • 부령 이근형(李根馨) : 1904년 7월 9일 (양력 8월 19일) ~
  • 정령 이근형(李根馨) : 1905년 3월 14일[9] (양력 4월 18일) ~
  • 정령 이근형(李根馨) : 1907년 3월 18일 (양력 4월 30일) ~

부관 편집

  • 초대, 정위 조영규(趙寧奎) :1898 4월 14일 (양력 6월 2일) ~ ?

전투 편집

  • 1907년의 군대 해산에 즈음하여 시위보병 제1연대 제1대대장으로 있던 박승환(朴昇煥) 참령이 자결하였고 이에 제1대대 장병과 인접한 시위보병 제2연대 제1대대 장병들이 남대문 전투로 알려진 교전을 행하였다.

편성 편집

1898년 5월 편집

시위 제1연대 창설 시점인 1898년 5월 당시 편성은 아래와 같다. 전체 병력 약 2,000명 규모이다.

  • 연대본부 : 연대장 등 7명[10]
  • 제1대대 (5개 중대, 제1중대 ~ 제5중대)
  • 제2대대 (5개 중대, 제1중대 ~ 제5중대)

1900년 12월 편집

1900년 12월 당시 편성은 아래와 같다. 전체 병력 약 3,750명 규모이다.

  • 연대본부
  • 제1대대 (5개 중대, 제1중대 ~ 제5중대)
  • 제2대대 (5개 중대, 제1중대 ~ 제5중대)
  • 제3대대 (5개 중대, 제1중대 ~ 제5중대)
  • 포병 제1대대 (3개 중대, 산포 1중대, 산포 2중대, 야포 중대)
  • 포병 제2대대 (3개 중대, 산포 1중대, 산포 2중대, 야포 중대)
  • 군악대

1902년 10월 편집

1902년 10월 당시 편성은 아래와 같다. 전체 병력 약 2,300명 규모이다.

  • 연대본부
  • 제1대대 (5개 중대, 제1중대 ~ 제5중대)
  • 제2대대 (5개 중대, 제1중대 ~ 제5중대)
  • 포병대대 (3개 중대, 산포 1중대, 산포 2중대, 야포 중대)

1905년 4월 편집

시위보병 제1연대 시기인 1905년 4월 당시 편성은 아래와 같으며, 이 편제는 부대 해체 직전까지 이어진다. 전체 병력은 1905년 4월에 약 2,500명 규모였다가 1907년 5월에 약 1,850명으로 축소된다.[11]

  • 연대본부 : 연대장 등 11명
  • 제1대대 (4개 중대, 제1중대 ~ 제4중대)
  • 제2대대 (4개 중대, 제1중대 ~ 제4중대)
  • 제3대대 (4개 중대, 제1중대 ~ 제4중대)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대한제국 부령(副領)은 현재의 중령 계급이다.
  2. 광무 2년 칙령 제13호 〈시위제1연대편제〉, 대한제국 《관보》 제962호, 광무 2년 5월 30일
  3. 광무 6년 칙령 제16호 〈시위제1연대편제〉, 대한제국 《관보》 제2346호, 광무 6년 11월 1일
  4. 2개 대대 편성에서 3개 대대 편성으로 개편하는 동시에 각 대대 편성을 기존 러시아식(1개 대대=5개 중대)에서 일본군 방식(1개 대대=4개 중대)으로 개편하였다. 이러한 개편은 지방의 진위대대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5. 광무 11년 칙령 제22호 〈시위혼성여단사령부관제(侍衛混成旅團司令部官制)〉, 칙령 제23호 〈시위보병연대편제건(侍衛步兵聯隊編制件)〉, 《고종실록》 제48권, 1907년(고종 44년) 양력 4월 22일
  6. 1907년 5월 1일자로 시행된 부대 개편에 따라 시위보병 제1연대는 시위보병 제2연대, 시위야전포병대(중대급), 시위기병대(중대급), 시위공병대(증강된 중대급)와 함께 시위혼성여단(侍衛混成旅團)을 구성하였다.
  7. 1898년 9월 24일(양력 11월 7일)에 참장(參將, 준장)으로 진급하였다.
  8. 대한제국 정령(正領)은 현재의 대령 계급이다.
  9. 시위 제2연대 해체 및 시위 제1연대의 시위보병 제1연대 개편일
  10. 연대장을 제외한 연대본부 부대원은 본부대(本部隊)에 해당하는 '연대부(聯隊附)'에 편성되었다.
  11. 1개 중대당 인원이 기존 206명에서 151명으로 55명 감소하였기 때문에 1개 연대에 편성된 중대 숫자가 12개로 동일함에도 전체 병력이 약 650명 줄어들었다. 다만, 연대 숫자가 기존 1개에서 2개로 늘었으므로 전체 시위대 병력은 2,300명에서 3,700명으로 일시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