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사화
이 문서는 참고 문헌 목록을 포함하고 있으나, 각주가 불충분하거나 존재하지 않아 출처가 모호합니다. |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2022년 1월 16일) |
신임사화(辛壬士禍)는 조선 경종 즉위 1년 후인 1721년부터 다음 해 1722년까지 당파인 노론과 소론이 연잉군 왕세제 책봉문제로 충돌한 사건이다.
신축옥사
편집경종은 몸이 허약하고 아들이 없었다. 이에 노론이 경종에게 왕세제 책봉을 주장함에 따라 1721년(경종 1년) 왕제(王弟) 연잉군(영조)이 왕세제로 책봉되었으며, 더 나아가 김창집·이이명·이건명·조태채의 노론 4대신은 경종의 병을 이유로 왕세제의 대리청정까지 주장하였고 경종이 이를 승인하였다.
이에 소론파의 조태구(趙泰耉)·유봉휘(柳鳳煇) 등이 부당성을 상소함에 따라 대리청정이 취소되었으며, 이 문제를 노론의 경종에 대한 불충으로 몰아 노론을 탄핵하였고, 이후 목호룡(睦虎龍)이 고변사건(告變事件)을 일으켜 왕세제의 대리청정을 주장한 노론의 4대신인 이이명·김창집·이건명·조태채 등이 차례로 사형을 당했다.
임인옥사
편집소론의 김일경·목호룡 등이 1722년(경종 2년) 음력 3월 임금을 죽이려는 역적이 있으며, 목호룡은 그 역적이 정인중(鄭麟重)·김용택(金龍澤)·이천기(李天紀)·백망(白望)·이홍술(李弘述)·심상길(沈尙吉)·이희지(李喜之)·이명좌(李明佐)·김성행(金省行)·이세복(李世福) 등 60여 명이라 고하였다.
이에 임금은 즉시 정국(庭鞠)을 열고 목호룡이 지목한 모두를 잡아들였다. 이 중 백망은 심문 도중 세력을 잃은 소론이 왕세제 연잉군을 모함하려고 조작한 것이라고 주장했으나 심문을 담당한 소론이 이를 인정하지 않았으며, 이홍술·이천기·이희지·심상길·정인중·김용택·백망·장세상(張世相)·홍의인(洪義人)·이명좌 등이 이로 인해 죽임을 당했다.
추후
편집1724년 영조가 즉위하자 노론의 신임사화가 무고였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김일경과 목호룡이 함께 체포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소론 내 계파 중 '완론' 세력이 집권하게 되었고, '준론' 세력은 이인좌의 난을 겪으면서 숙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