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병증
심근병증(心筋症, cardiomyopathy)은 심근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들의 모임이다.[1] 초기에는 증상이 적거나 없을 수 있다.[2] 질환이 악화되면 심부전의 결과로 호흡곤란, 피로, 다리의 부종이 발생할 수 있다.[2] 불규칙한 심장 박동인 부정맥이나 실신이 일어날 수도 있다.[2] 심근병증의 영향을 받은 환자는 심정지 위험성이 올라간다.[3]
심근병증 | |
---|---|
진료과 | 심장학 |
심근병증의 유형에는 비후성 심근병증, 확장성 심근병증, 제한성 심근병증, 부정맥 유발성 우심실 이형성증, 상심 증후군(타코츠보 심근병증)이 있다.[4] 비후성 심근병증에서 심근은 비대해지고 두꺼워진다.[4] 확장성 심근병증에서 심실은 비대해지고 약해진다.[4] 제한성 심근병증의 심실은 뻣뻣해진다.[4]
많은 경우에서 원인을 밝히기 어렵다.[5] 비후성 심근병증은 유전되는 경우가 많은 반면 확장성 심근병증은 3분의 1의 경우에서 유전된다.[5] 또한 확장성 심근병증은 알코올, 중금속, 관상동맥질환, 코카인 사용,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5] 제한성 심근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에는 아밀로이드증, 철과잉증, 일부 암 치료 등이 있다.[5] 극도의 감정적, 정신적 스트레스는 상심 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다.[4] 상심 증후군의 여러 원인에는 놀람, 가까운 사람의 죽음, 가정폭력, 심한 말다툼, 암 진단과 같은 좋지 않은 소식을 듣는 경우 등이 있다.[6]
치료는 심근병증의 유형과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달라진다.[7] 치료 방식에는 여러 생활 방식 개선, 약물 치료, 수술 등이 있다.[7] 수술에는 심실보조기구나 심장 이식이 있다.[7] 2015년 심근병증과 심근염은 250만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다.[8] 비후성 심근병증은 500명 중 1명꼴로, 확장성 심근병증은 2,500명 중 1명꼴로 발병한다.[4][9] 1990년에는 294,000명이, 2015년에는 354,000명이 사망했다.[10][11] 부정맥 유발성 우심실 이형성증은 젊은 사람에서 더 잘 발생한다.[3]
증상 및 징후
편집심근병증의 증상에는 피로감, 하지의 부종, 운동 후 호흡곤란 등이 있을 수 있다.[12] 추가적인 증상에는 부정맥, 어지럼증, 기절도 있을 수 있다.[12]
원인
편집심근병증은 심장에 국한되어 있는 질병으로 볼 수도 있으며, 전신성 질환으로 볼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종종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죽음이나 진행성 심부전과 관련된 기능 이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관상동맥질환, 고혈압, 심장판막의 이상인 심장판막증 같이 심근의 기능 이상을 유발하는 다른 질환들은 심근병증에서 제외된다.[13] 기저 원인은 알 수 없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다수의 경우에서는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고 기대된다.[14] 가령 알코올 의존증, 약물 독성, 특정 감염(C형 간염 등)은 확장성 심근병증의 원인으로 확인되었다.[15][16][17] 치료되지 않은 셀리악병도 심근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시간 내에 적절히 진단한다면 심근병증까지는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18] 후천성 원인들에 더해, 분자생물학과 유전학은 심근병증의 다양한 유전적 원인을 인식할 수 있게 하고 있다.[16][19]
심근병증을 비후성, 확장성, 제한성으로 나누는 임상적 구분[20]은 일부 상태의 경우 질병이 발달하며 특정 단계에서 세 가지 경우 중 여러 가지의 양상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유지하기 힘들어졌다.
2012년 미국심장협회(AHA)의 정의는 심근병증을 심장에만 영향을 미치는 경우인 원발성(일차성)과 몸의 다른 부분의 문제가 심장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인 속발성(이차성)으로 나누었다. 이 구분은 여러 새로운 유전적, 분자생물학적 지식을 포함시켜 여러 하위 집단으로 다시 나누어졌다.[21]
기전
편집심근병증의 병태생리학은 분자적 기술의 발달로 인해 세포 수준에서 더 잘 이해되어 있다. 돌연변이 단백질은 심장의 수축 기능이나 기계감수성 복합체를 방해할 수 있다. 심근세포의 대체와 심근세포가 세포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반응을 내보내면 갑작스러운 심정지나 다른 심장의 문제와 관련된 변화를 유발한다.[22]
치료
편집상태를 더 잘 관리하기 위해 치료 시 삶의 방식을 바꾸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치료는 심근병증의 유형과 질환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치료의 종류에는 약물 치료(보존적 치료), 느려진 심박수 개선을 위한 의인성/이식형 인공심박조율기, 치명적인 심장 리듬을 막기 위한 이식형 제세동기, 심각한 심부전을 위한 심실보조장치(VAD), 약물이나 기계적 제세동으로 제거되지 않는 재발 부정맥을 치료하기 위한 심장절제술 등이 있다. 치료의 목표는 종종 증상 완화일 수 있으며, 몇몇 환자들은 결국 심장 이식이 필요할 수 있다.[12]
각주
편집- ↑ “What Is Sudden Cardiac Arrest?”. 《NHLBI》. 2016년 6월 22일. 2016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What Are the Signs and Symptoms of Cardiomyopathy?”. 《NHLBI》. 22 June 2016. 15 September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1 August 2016에 확인함.
- ↑ 가 나 “Who Is at Risk for Cardiomyopathy?”. 《NHLBI》. 22 June 2016. 16 August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1 August 2016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Types of Cardiomyopathy”. 《NHLBI》. 22 June 2016. 28 July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1 August 2016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What Causes Cardiomyopathy?”. 《NHLBI》. 22 June 2016. 15 September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1 August 2016에 확인함.
- ↑ “Takotsubo cardiomyopathy (broken-heart syndrome)” (영어). 2010년 11월 1일. 2022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How Is Cardiomyopathy Treated?”. 《NHLBI》. 22 June 2016. 15 September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1 August 2016에 확인함.
- ↑ GBD 2015 Disease and Injury Incidence and Prevalence, Collaborators. (2016년 10월 8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545–1602. doi:10.1016/S0140-6736(16)31678-6. PMC 5055577. PMID 27733282.
- ↑ 《Practical Cardiovascular Patholog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0. 148쪽. ISBN 9781605478418. 14 September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GBD 2015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2016년 10월 8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459–1544. doi:10.1016/s0140-6736(16)31012-1. PMC 5388903. PMID 27733281.
- ↑ GBD 2013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2014년 12월 17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Lancet》 385 (9963): 117–71. doi:10.1016/S0140-6736(14)61682-2. PMC 4340604. PMID 25530442.
- ↑ 가 나 다 “What Are the Signs and Symptoms of Cardiomyopathy? - NHLBI, NIH”. 《www.nhlbi.nih.gov》. 28 July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5 July 2016에 확인함.
- ↑ Lakdawala, NK; Stevenson, LW; Loscalzo, J (2015). 〈Chapter 287〉. Kasper, DL; Fauci, AS; Hauser, SL; Longo, DL; Jameson, JL; Loscalzo, J.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9판. McGraw-Hill. 1553쪽. ISBN 978-0-07-180215-4.
- ↑ 《Pathophysiology of heart disease : a collaborative project of medical students and faculty》. Lilly, Leonard S., Harvard Medical School. 5판. Baltimore, MD: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1. ISBN 978-1605477237. OCLC 649701807.
- ↑ Adam A, Nicholson C, Owens L (2008). “Alcoholic dilated cardiomyopathy.”. 《Nurs Stand》 (Review) 22 (38): 42–7. doi:10.7748/ns2008.05.22.38.42.c6565. PMID 18578120.
- ↑ 가 나 Westphal JG, Rigopoulos AG, Bakogiannis C, Ludwig SE, Mavrogeni S, Bigalke B, 외. (2017). “The MOGE(S) classification for cardiomyopathies: current status and future outlook.”. 《Heart Fail Rev》 (Review) 22 (6): 743–752. doi:10.1007/s10741-017-9641-4. PMID 28721466. S2CID 36117047.
- ↑ Domont F, Cacoub P (2016). “Chronic hepatitis C virus infection, a new cardiovascular risk factor?”. 《Liver Int》 (Review) 36 (5): 621–7. doi:10.1111/liv.13064. PMID 26763484.
- ↑ Ciaccio EJ, Lewis SK, Biviano AB, Iyer V, Garan H, Green PH (2017). “Cardiovascular involvement in celiac disease.”. 《World J Cardiol》 (Review) 9 (8): 652–666. doi:10.4330/wjc.v9.i8.652. PMC 5583538. PMID 28932354.
- ↑ Simpson S, Rutland P, Rutland CS (2017). “Genomic Insights into Cardiomyopathies: A Comparative Cross-Species Review.”. 《Vet Sci》 (Review) 4 (1): 19. doi:10.3390/vetsci4010019. PMC 5606618. PMID 29056678.
- ↑ Valentin Fuster; John Willis Hurst (2004). 《Hurst's the heart》. McGraw-Hill Professional. 1884–쪽. ISBN 978-0-07-143225-2. 27 May 2013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1 November 2010에 확인함.
- ↑ McCartan C, Maso R, Jayasinghe SR, Griffiths LR (2012). “Cardiomyopathy Classification: Ongoing Debate in the Genomics Era”. 《Biochem Res Int》 2012: 796926. doi:10.1155/2012/796926. PMC 3423823. PMID 22924131.
- ↑ Harvey, Pamela A.; Leinwand, Leslie A. ( 8 August 2011). “Cellular mechanisms of cardiomyopathy”. 《The Journal of Cell Biology》 194 (3): 355–365. doi:10.1083/jcb.201101100. ISSN 0021-9525. PMC 3153638. PMID 21825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