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트산 칼슘

아세트산의 칼슘염인 화합물
(아세트산칼슘에서 넘어옴)

아세트산 칼슘(Calcium acetate)은 아세트산칼슘화합물이다. 이 물질의 화학식은 Ca(C2H3O2)2이다. 표준명은 아세트산 칼슘이고, 에타노산 칼슘(calcium ethanoate)은 체계명이다. 이전 이름은 석회 아세테이트(acetate of lime)이다. 무수 형태는 흡습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일수화물(Ca(CH3COO)2•H2O)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아세트산 칼슘

아세트산 칼슘 결정
이름
우선명 (PIN)
Calcium diacetate[1]
별칭
Acetate of lime
Calcium ethanoate
식별자
3D 모델 (JSmol)
약어 Ca(OAc)2
3692527
ChEBI
ChEMBL
ChemSpider
DrugBank
ECHA InfoCard 100.000.492
EC 번호
  • 269-613-0
E 번호 E263 (방부제)
22320
KEGG
RTECS 번호
  • AF7525000
UNII
  • InChI=1S/2C2H4O2.Ca/c2*1-2(3)4;/h2*1H3,(H,3,4);/q;;+2/p-2 예
    Key: VSGNNIFQASZAOI-UHFFFAOYSA-L 예
  • InChI=1/2C2H4O2.Ca/c2*1-2(3)4;/h2*1H3,(H,3,4);/q;;+2/p-2
    Key: VSGNNIFQASZAOI-NUQVWONBAW
  • CC(=O)O[Ca]OC(=O)C
  • [Ca+2].[O-]C(=O)C.[O-]C(=O)C
성질
C4H6CaO4
몰 질량 158.166 g/mol (anhydrous)
176.181 g/mol (monohydrate)
겉보기 White solid
hygroscopic
냄새 slight acetic acid odor
밀도 1.509 g/cm3
녹는점 160 °C (320 °F; 433 K)[2] decomposition to CaCO3 + acetone
37.4 g/100 mL (0 °C)
34.7 g/100 mL (20 °C)
29.7 g/100 mL (100 °C)
용해도 slightly soluble in methanol, hydrazine
insoluble in acetone, ethanol and benzene
산성도 (pKa) ca. 0.7
-70.7·10−6 cm3/mol
1.55
약리학
V03AE07 (WHO)
위험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NFPA 704 four-colored diamondFlammability code 1: Must be pre-heated before ignition can occur. Flash point over 93 °C (200 °F). E.g. canola oilHealth code 1: Exposure would cause irritation but only minor residual injury. E.g. turpentineReactivity code 0: Normally stable, even under fire exposure conditions, and is not reactive with water. E.g. liquid nitrogenSpecial hazards (white): no code
1
1
0
680 to 730 °C (1,256 to 1,346 °F; 953 to 1,003 K)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4280 mg/kg (oral, rat)
관련 화합물
다른 양이온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아니오아니오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생산 편집

아세트산 칼슘은 탄산 칼슘(계란 껍질이나 석회석이나 대리석과 같은 일반적인 탄산염 암석에서 발견됨) 또는 수화석회식초에 담가서 제조할 수 있다.

CaCO3(s) + 2CH3COOH(aq) → Ca(CH3COO)2(aq) + H2O(l) + CO2(g)
Ca(OH)2(s) + 2CH3COOH(aq) → Ca(CH3COO)2(aq) + 2H2O(l)

두 시약 모두 선사 시대부터 이용 가능했기 때문에 그 화학 물질은 그 당시 결정으로 관찰될 수 있었을 것이다.

각주 편집

  1.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2014).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801쪽. doi:10.1039/9781849733069. ISBN 978-0-85404-182-4. 
  2. Dale L. Perry (2011년 5월 19일). 《Handbook of Inorganic Compounds》 Seco판. Taylor & Francis. 84쪽. ISBN 978-1-4398-14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