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기로카시스

아이기로카시스(학명Aegirocassis)는 후르디아과에 속하는 절지동물의 한 속으로 4억 8000만년 전 오르도비스기 전기에 살았다. 유일한 종은 아이기로카시스 벤모울라이(Aegirocassis benmoulae)이다. A. benmoulae 의 표본을 발견하여 전문 연구자에게 전달해 준 화석 수집가 모하메드 벤 물라의 이름을 따서 종명이 붙여졌다. 아이기로카시스는 모로코의 페조우아타 층에서 발견되었고 지금까지 알려진 여과섭식생물 중 가장 오래된 화석으로 고생물학자인 제이콥 빈터와 동료들에 의해 보고되었다.[1] 아이기로카시스는 당시 세상에서 두번째로 큰 동물이었다. 몸길이는 2 미터가 넘는다.[2]

아이기로카시스
화석 범위:
오르도비스기 전기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강: 공하강
목: 윤치목
과: 후르디아과
속: 아이기로카시스속(Aegirocassis)
A. benmoulaeVan Roy, Daley, & Briggs, 2015

3차원적으로 보존된 표본의 발견으로 아노말로카리스과 동물들의 몸통에 있는 날개같은 구조에 대해 조금 더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아이기로카시스 벤모울라이의 몸통에 있는 각 체절에는 등쪽과 배쪽에 각각 날개 모양의 구조가 있다. 아이기로카시스 표본에서는 이 구조의 세부사항을 자세히 볼 수 있어서 기존의 아노말로카리스과 화석들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가장 중요한 점은 배쪽의 날개모양이 절지동물의 다리와 상동구조이며 등쪽의 날개모양이 캄브리아기 절지동물의 이분지(biramous) 중 아가미와 상동이라는 결론이 내려진 것이다.[3]

종명은 표본을 발견한 모로코의 화석 수집가인 모하메드 벤 물라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이 표본은 다른 아노말로카리스과 화석들이 대부분 납작하게 눌려있었던 것과는 달리 3차원적으로 세세한 것까지 잘 보존되어 있었다.[4]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후르디아과의 계통 분류이다.[5]

후르디아과

모수라속  

스킨데르하네스속  

스탄레이카리스속  

페이토이아속  

아이기로카시스속  

후르디아아과

Hurdia victoria  

Hurdia triangulata  

파흐반티아속  

코르다티카리스속  

티타노코리스속  

캄브로라스테르  

Hurdiinae
Hurdiidae

외부 링크

편집

각주

편집
  1. Banoo, Sindya N. (2015년 3월 11일). “Fossil Tells of 520-Million-Year-Old Creature Like a Giant Lobster”. 《New York Times》. 2015년 3월 12일에 확인함. 
  2. Van Roy, Peter, Daley, Allison C., and Briggs, Derek E. G., Anomalocaridid trunk limb homology revealed by a giant filter-feeder with paired flaps, Nature, March 11, 2015
  3. Van Roy, Peter; Daley, Allison C., and Briggs, Derek E. G. (2015년 3월 11일). “Anomalocaridid trunk limb homology revealed by a giant filter-feeder with paired flaps”. 《Nature》 (Nature Publishing Group). doi:10.1038/nature14256. 
  4. “Fossil 'lobster' as big as a human”. 《BT.com》. 2015년 3월 11일. 2018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12일에 확인함. 
  5. Moysiuk, Joseph; Caron, Jean-Bernard (May 2025). “Early evolvability in arthropod tagmosis exemplified by a new radiodont from the Burgess Shale”. 《Royal Society Open Science》. doi:10.1098/rsos.242122. PMC 12076883 |pmc= 값 확인 필요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