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지랑이

기상 현상

아지랑이는 햇빛이 강하게 쬐어 지면이 뜨겁게 달구어진 날, 공기가 공중에서 아른아른 움직여 먼 풍경이 지면 근처에서 아른거리며 보이는 대기속의 과학적 현상을 말한다. 주로 이른 이나 여름철의 맑은날 햇빛이 강하게 내리 쬘 때, 양지 바른 해안의 모래지붕, 도로, 초원 등에서 발견할 수 있다.

아지랑이가 일어나는 도로

어원

편집
  1. 어지럼이 나서 자꾸 어지러운 모양을 나타내는 의태어 '아질아질'의 '아질'에 접미사 '-앙이'가 붙어서 '아지랑이'가 됐다.
  2. '어지러움'에서 유래된 말로, '어지럼'의 작은말 '아지람'에 '이'가 붙어 '아지람이'라고 했다가 발음의 편리성을 위한 동화 현상 때문에 '아지랑이'가 되었다.

원인

편집

태양열로 인해 지표면 근처의 공기는 뜨거워지면서 팽창한다. 그러면 주위 공기보다 가벼워져 공기덩어리들이 상승하게 되고 그 빈 부분이 아직 가열되지 않은 찬 공기로 채워지게 된다. 공기의 밀도에 따라 굴절률이 달라지기 때문에 지면에서 급격히 대류하는 공기덩어리 사이를 통과하는 은 불규칙하게 굴절한다.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