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식시맙

관상동맥 수술 후 사용하는 항혈소판제

압식시맙(abciximab)은 얀센 바이오로직스 BY가 제조해 일라이 릴리리오프로(Reopro)라는 상품명으로 유통하는 항혈소판제로, 혈관성형술 같은 관상동맥 수술 중이나 후에 혈소판이 잘 뭉치지 못하게 해 혈전 형성을 막는다. 작용 기전으로 분류할 시 당단백질 IIb/IIIa 억제제에 속한다.[3]

단일 클론 항체
Source xi/o
항원 CD41 7E3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143653-53-6
ATC 코드 B01AC13
PubChem ?
드러그뱅크 DB00054
ChemSpider none
화학적 성질
화학식 C2101H3229N551O673S15 
분자량 ?
유의어 Abcixifiban,[1] c7E3 Fab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
생물학적 반감기 ?
배출 ?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US Daily Med: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C(미국)
법적 상태
투여 방법 정맥 주사 (IV)

압식시맙의 혈장 반감기는 짧지만, 혈소판 수용체에 강하게 결합하므로 일부 수용체는 수 주 동안 점유할 수 있다. 약물 사용 중단 후 약 96~120시간이 지나면 혈소판 응집이 서서히 정상으로 돌아온다. 압식시맙은 혈소판 막에 존재하는 당단백질 IIb/IIIa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면역글로불린항원 결합 부위(Fab)를 이용해 만들어졌다.[4]

적응증

편집

경피관상동맥중재술, 즉 (스텐트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혈관성형술을 받는 환자에서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환자에게 압식시맙을 사용하면 수술로 인한 허혈성 합병증 발생률을 낮출 수 있으며,[5] 수술 후 1달 동안 관상동맥 재개통술을 다시 시행해야 할 필요 역시 감소한다.[6]

당뇨병만성 콩팥병(CKD)이 있어도 사용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응급 수술이 예정된 환자에게는 적절하지 못한데, 출혈 시간이 원래대로 돌아오는 데에 12시간 정도가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유아에서는 가와사키병 등을 대상으로 써볼 수 있다.

약리학

편집

압식시맙의 혈장 반감기는 10분, 2단계 반감기는 약 30분에 불과하다. 그러나 투여가 끝난 지 48시간 뒤까지 항혈소판 효과가 지속될 수 있으며, 당단백질 IIb/IIIa 수용체 차단 효과는 투여 후 15일까지 유지된다. 신부전 화낮에서 용량 조절은 필요하지 않다.[7]

부작용

편집

대부분의 부작용은 항혈소판 효과로 인해 출혈 위험이 증가한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가장 흔한 출혈 부작용은 위장관 출혈이다.

혈소판감소증은 드물지만 심각한 위험 요소로, 혈중 순환하는 혈소판 수가 급격히 떨어질 수 있다. 압식시맙 유발성 혈소판감소증은 대부분 투여 후 수 시간 만에 급속히 나타나지만, 투여 후 16일이 지나서야 발생한 사례도 존재한다.[8] 현재까지 알려진 압식시맙 유발성 혈소판감소증의 유일한 치료법은 혈소판 수혈이지만, 새로 수혈한 혈소판의 수용체에도 압식시맙이 결합해 버릴 수 있으므로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

각주

편집
  1. 《Toronto Notes: Comprehensive medical reference and review for the Medical Council of Canada Qualifying Exam Part I and the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 Step 2》 32판. Toronto, Ontario, Canada.: Toronto Notes for Medical Students, Inc. ISBN 978-1-927363-26-3. 
  2. “ReoPro Abciximab” (PDF). 《Janssen Pharmaceutical Companies》.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ugust 2019. 
  3. “Abciximab”. 《Drugs.com》. 2010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13일에 확인함. 
  4. “International Nonproprietary Names for Pharmaceutical Substances” (PDF). 《WHO Drug Information》 7 (4). 1993. 2004년 6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5. EPIC Investigators (April 1994). “Use of a monoclonal antibody directed against the platelet glycoprotein IIb/IIIa receptor in high-risk coronary angioplasty”.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0 (14): 956–61. doi:10.1056/NEJM199404073301402. PMID 8121459. 
  6. Tcheng JE, Kandzari DE, Grines CL, Cox DA, Effron MB, Garcia E, 외. (September 2003). “Benefits and risks of abciximab use in primary angioplasty f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the Controlled Abciximab and Device Investigation to Lower Late Angioplasty Complications (CADILLAC) trial”. 《Circulation》 108 (11): 1316–23. doi:10.1161/01.CIR.0000087601.45803.86. PMID 12939213. 
  7. Usta C, Turgut NT, Bedel A (November 2016). “How abciximab might be clinically useful”.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222: 1074–1078. doi:10.1016/j.ijcard.2016.07.213. PMID 27519521. 
  8. Webb GJ, Swinburn JM, Grech H (2011). “Profound delayed thrombocytopenia presenting 16 days after Abciximab (Reopro) administration”. 《Platelets》 22 (4): 302–4. doi:10.3109/09537104.2010.518324. PMID 21526887. S2CID 40372407. 

외부 링크

편집
  • “Abciximab”. 《Drug Information Portal》.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