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그조세

프랑스 대함 미사일
(엑조세에서 넘어옴)

엑조세(프랑스어: Exocet) 또는 에그조세 미사일은 프랑스의 대함 미사일이다. Exocet는 프랑스어로 "flying fish(날치)"라는 의미다. 하푼과 동일하게 잠수함의 21인치(533mm) 어뢰관에서 발사할 수 있으며, 선박, 헬리콥터 및 고정익 항공기, 해안 포대(coastal batteries)에서 다양한 버전을 활용할 수 있다.

에그조세

MM40 블록 3편집

2004년 2월, 프랑스 방위사업청(DGA)은 MBDA와 MM40 블록 3의 설계와 생산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거리가 180 km로 늘어났다. 높은 G 기동을 위해 공기흡입구가 4개로 늘어났다. GPS를 사용해 항로 설정을 할 수 있어서 대지 목표물과 대함 목표물을 모두 공격할 수 있다. 이전의 MM40 블록 2 엑조세 보다 가벼워졌다. en:Microturbo TRI 40 터보젯 엔진을 사용한다.

2008년 12월, 프랑스 해군은 기존 구축함의 블록 2 엑조세 미사일을 교체하기 위해 블록 3 엑조세 45발을 주문했다. 호라이즌급 구축함아키텐급 구축함이다.

2007년 4월 25일, 인증을 받기 위한 MM40 블록 3의 마지막 시험 발사를 했다. 대량생산은 2008년 10월부터 시작했다. 2010년 3월 18일, 구축함에 실전배치된 후 최초로 발사했다.

제원편집

  • 전배치: 1979년(하푼은 1977년 실전배치)
  • 길이: 4.7m
  • 날개폭: 1.1 m
  • 무게: 670 kg
  • 사거리: 70–180 km
  • 탄두중량: 165 kg
  • 속도: 초속 315 m(마하 0.92)

실전 사용편집

포클랜드 전쟁편집

대함미사일 개발사에 큰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2가지를 손꼽는데 그 첫 번째가 이집트 해군이 구소련제 SS-N-2 스틱스(Styx) 대함미사일로 이스라엘 해군의 3000t급 구축함 아일라트호를 격침시킨 스틱스 쇼크고 두 번째가 바로 포클랜드 전쟁 당시의 엑조세 스톰이다. 엑조세 스톰이란 포클랜드 분쟁 당시 아르헨티나 해군쉬페르 에탕다르 전투기에서 발사된 엑조세 대함 미사일 공격에 당시 영국 해군이 자랑하던 5,000t급 최신예 방공 구축함 셰필드함이 격침된 사건을 말한다.

중동편집

 
1987년 이라크 전투기의 엑조세 미사일에 피격된 USS Stark호
 
USS Stark의 선체 및 상부 구조 손상

이라크는 이란-이라크 전쟁 기간 동안, 200발 정도의 전투기 발사형 엑조세를 이란 선박에 발사했다.

1987년 5월 17일, 이라크 다소 미라주 F1의 조종사는 실수로 동맹국인 미해군 프리깃함 스타크호를 공격했다. 엑조세 2발이 발사되었고 스타크호는 미사일에 피격되어 CIC(전투 정보 센터, 작전실)가 파괴되었으며, 37명이 사망하고 21명이 부상하는 등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 엑조세 두 발 중 한 발이 불발되어 스타크호는 심각한 손상을 입었지만 침몰하지는 않았다. 조종사는 즉시 처형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라크는 공식적으로 부인했고, 그는 살아있다고 말했다.

대한민국의 엑조세 도입 뒷이야기편집

대한민국 국군은 원래 미국제 하푼 미사일을 도입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러나 미국과 일본의 견제로 도입이 불발되어 엑조세 도입으로 노선을 선회하였다. 다시 미국[1]의 견제로 도입이 불발될 뻔 하였으나, 대한민국 정부가 국적 항공사인 대한항공이 프랑스를 중심으로 개발한 에어버스 A300 여객기를 구입하겠다는 제안을 하였다. 에어버스 A300 여객기 4대 구입을 조건으로 프랑스는 대한민국에 엑조세를 수출하게 되었다. 1975년 기러기급 고속정(PKMM)에 엑조세 미사일 탑재하였고, 곧이어 포항급 초계함 초기형 4척에 탑재했다. 2014년 12월 30일, 포항급 초계함 초기형인 경주함(PCC-758)과 목포함(PCC-759)이 퇴역하면서 더 이상 엑조세를 운용하는 함정이 없다.

운용국가편집

 
다소 라팔에 장착된 AM39 엑조세
 
포클랜드 전쟁에서 수송선 아틀란틱 컨베이어 공격에 사용된 아르헨티나 제2해군 중대의 "수 204"(쉬페르 에탕다르

현재편집

예전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이상헌 기자 (2006년 3월 30일). “<외교문서> 美 `他國무기 구매말라' 압력”. 《연합뉴스》. 2022년 11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