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청서
여우청서 또는 동부여우청서, 브라이언트여우청서(영어: Sciurus niger)는 다람쥐과 청서속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1] 북아메리카 토착 청서류 중에서 가장 크다. 크기와 털 색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같은 지역에 서식하는 아메리카붉은청서 또는 동부회색청서로 오인되기도 했다.[3]
![]() | ||||||||||||||
![]() 여우청서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Sciurus niger Linnaeus, 1758 | ||||||||||||||
아종 | ||||||||||||||
|
특징편집
꼬리를 포함한 전체 몸길이는 45~70cm이며 꼬리 길이는 20~33cm이고, 몸무게는 500~1000g이다.[4] 몸 크기와 모양에서 암수가 다르지 않다. 서부 지역에 서식하는 개체가 작은 경향을 보인다. 털 색에 따라 3개의 지리적 분포로 구별된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등 쪽 털 색은 갈색-회색부터 갈색-노랑이고 배 쪽은 일반적으로 갈색-오렌지색을 띠는 반면에 애팔래치아산맥과 같은 동부 지역에서는 좀더 인상적인 무늬의 짙은 갈색과 검은색을 띠며 얼굴과 꼬리에 흰 띠 무늬가 있다. 남부 지역에서는 균일한 검은색 털을 가진 고립된 개체군이 발견될 수 있다. 날카로운 발톱과 발달된 발가락 신근, 팔 굴근, 복부 근육을 갖고 있어서 나무 등을 잘 오를 수 있다.[5] 여우청서는 뛰어난 시력과 잘 발달한 청각과 후각을 갖고 있다. 다른 여우청서와 의사 소통을 하기 위해 냄새 흔적을 사용한다.[5] 여우청서의 치열은 1.0.1.31.0.1.3 × 2 = 20이다.[6]
아종편집
10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2]
|
|
사진편집
먹이를 찾는 여우청서(인디애나폴리스)
도토리를 묻기 위해 장소를 물색중인 여우청서(캘리포니아주 버클리)
발과 머리로 음식물을 조작하는 여우청서
산타 로사 자두를 먹는 여우청서(캘리포니아주 풀러턴)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 가 나 “Sciurus niger”.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1월 6일에 확인함.
- ↑ 가 나 Thorington, R.W., Jr.; Hoffman, R.S. (2005). “Family Sciuridae” [다람쥐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754–818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Graham, Donna. “Fox Squirrel (Sciurus niger)”. 《Northern State University》. South Dakota Department of Game, Fish and Parks. 2013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Van Gelden, Richard George. (1982). Mammals of the National Parks.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 가 나 “Sciurus niger page”.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2009년 4월 23일에 확인함.
- ↑ Koprowski, John L. (1994년 12월 2일). “Sciurus niger”. 《Mammalian Species》 (479): 1–9. doi:10.2307/3504263. ISSN 0076-3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