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돈토프리누스과
오돈토프리누스과(Odontophrynidae)는 개구리목에 속하는 양서류 하위 과이다. 3속 48종으로 이루어져 있다.[1]
![]() | ||
---|---|---|
![]() Odontophrynus americanus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양서강 | |
목: | 개구리목 | |
아목: | 신와아목 | |
상과: | 청개구리상과 | |
과: | 오돈토프리누스과 (Odontophrynidae) Lynch, 1969 | |
학명이명 | ||
Odontophrynini Lynch, 1969 | ||
속 | ||
|
하위 속
편집- Macrogenioglottus Carvalho, 1946
- 오돈토프리누스속 (Odontophrynus) Reinhardt & Lütken, 1862
- Proceratophrys Miranda-Ribeiro, 1920
계통 분류
편집2014년 현재, 개구리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2][3][4]
신와아목 |
| |||||||||||||||||||||||||||||||||||||||||||||||||||||||||||||||||||||||||||||||||||||||||||||||||||||||||||||||
각주
편집- ↑ “Odontophrynidae”. amphibiaweb.org. 2014년 10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9일에 확인함.
- ↑ 2012. UC Regents, Berkeley, CA. “Phylogenetic view of Amphibia”. 《AmphibiaWeb》.
- ↑ Barej; 외. “The first endemic West African vertebrate family . a new anuran family highlighting the uniqueness of the Upper Guinean biodiversity hotspot”. 《Frontiers in Zoology 2014, 11:8》.
- ↑ JOSÉ M. PADIAL, TARAN GRANT & DARREL R. FROST. “Molecular systematics of terraranas (Anura: Brachycephaloidea) with an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alignment and optimality criteria” (PDF). 《Zootaxa. 2014 Jun 26;3825:1-132.》.
- Lynch, 1969 : Program. Final PhD Examination. Lawrence, Kansas, University of Kans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