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렉산드르 할리치

올렉산드르 할리치(우크라이나어: Галич, Олександр Аркадійович)는 우크라이나음유시인이자 극작가이다.

올렉산드르 할리치
Галич, Олександр Аркадійович
작가 정보
본명올렉산드르 아로노비치 긴즈버그
로마자 표기Alexander Arkadievich Galich
출생올렉산드르 사샤
1918년 10월 19일(1918-10-19)
러시아 제국 예카테리노슬라프
사망1977년 12월 15일(1977-12-15)(59세)
프랑스 파리
국적소련
성별남성
언어러시아어
직업시인, 극작가, 음유시인
학력막심 고리키 문학 대학
장르바르드
부모페이가 보리소브나 웩슬러
아론 긴즈버그
영향 준 인물율리 김

할리치는 반체제인사 탄압과 유대인을 적대시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대한 분노를 표현했다. 그는 노동자. 죄수, 병사, 운전사, 알코올 중독자를 노래의 소재로 사용했다.[1]

생애

편집

어머니 페이가 보리소브나 웩슬러(Фейга Борисовна Векслер, פײגא וקסלר)의 집안인 웩슬러가는 폴란드 우치의 부유한 폴란드계 유대인 집안이었으며,[2] 아버지 아론 긴즈버그(Арон Гинзбург, אהרן גינצבורג)는 경제학자로서[3] 아론의 아버지는 예카테리노슬라프의 명망있는 소아과 의사였다.[4] 1910년 체육관에서 만난 이들은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1916년 결혼하기로 마음을 먹었으나, 집안 간 재정적 형편의 차이로 반대에 부딫혀 결국 다른 도시에서 비밀리에 결혼했다.[5] 1918년 10월 20일 이들 사이에서 태어난 알렉산데르 사샤의 출생 증명서는 도시의 수석 랍비에 의해 히브리어로 작성되었다.[6][7]

사샤가 태어난 지 3주 후 가족들은 예카테리노슬라프에서 세바스토폴로 이주했다.[8]

1947년 할리치는 콘스탄틴 이사예프(Константин Исаев)와 함께 《타이미르에서 전화 왔습니다》(Вас вызывает Таймыр)를 집필했다. 이 작품은 1948년 레닌그라드 국립 희극 극장에서 공연된 것을 시작으로, 2개월 후에는 모스크바 풍자극장에서 420회 공연되었으며 지방 극장에서는 1948년 3월부터 9월까지 1,349회 공연되는 등 전후 소련 희극을 대표했다.[9]

주요 작품

편집

《타이미르에서 전화 왔습니다》

편집

《타이미르에서 전화 왔습니다》는 모스크바로 출장을 온 4명의 인물을 이야기의 주제로 한다. 소련의 서로 다른 지방에서 모스크바로 출장 온 이들은 호텔 '모스크바'의 13층 공동 객실에서 투숙하는데, 타이미르에서 온 듀지코프, 체르노모르스크 필하모니의 감독 키르피츠니코프, 탐보프의 양봉 전문가 바부린, 바부린의 손녀 두냐 간 4명의 상황적 전개가 관객의 웃음을 유도하는 장치이다. 주인공 듀지코프는 출장 업무를 제 때 처리하지 못할 경우 극지방의 결빙으로 항해가 중단되고 타이미르의 사람들이 장비와 물품 없이 추운 겨울을 보내야 하는 점을 걱정하여 타이미르와의 시외 전화 연결을 초조하게 기다리는 처지가 된다.

각주

편집
  1. 장혜진 2013, 260쪽: "바르드의 이와 같은 전통은 갈리치와 명맥을 같이 한다.40) 유대인인 갈리치 는 자신의 작품에 반체제인사 탄압과 유대인에 대한 적대적인 태도에 분노를 주로 표현했다. 그는 노동자, 죄수, 병사, 운전사, 알코올 중독자를 노래의 소재 로 사용하며, 독자적이며 개성적인 예술을 추구했다.41)"
  2. Аронов 2012, 11쪽: "Их предки Векслеры были польскими евреями и до конца XVIII века жили в городке Лодзь" (그녀의 웩슬러 가문은 18세기 전까지 우치에 살던 폴란드계 유대인 가문이었다)
  3. Аронов 2012, 11쪽: "Однако Арон не пошел по стопам отца, а стал учиться на экономиста" (그러나 아론은 아버지의 업을 따르지 않고 경제학도로서 수학했다)
  4. Аронов 2012, 11쪽: "Самуила Гинзбурга, долгое время помнили старожилы Днепропетровска, так как он до конца своих дней лечил весь город, за что был избран почетным гражданином Екатеринослава и даже получил дворянский титул." (소아과 의사였던 사무일 긴즈버그는 드니프로페트로브스크 노인들에게 오래도록 기억되었는데, 그는 평생 도시민 전체를 치료했고, 따라서 예카테리노슬라프의 명예시민으로 뽑히기도 했기 때문이다)
  5. Аронов 2012, 11쪽: " В 1913 году Фейга закончила гимназию, и, казалось бы, ничего не предвещало неожиданностей, но вскоре началась Первая мировая война, и Арон Гинзбург ушел солдатом на Западный фронт. Домой вернулся лишь в конце 1916 года, и тогда же они с Фейгой решили пожениться. Однако ввиду резкого социального контраста и финансового неравенства родители с обеих сторон категорически возражали против такого союза, и поэтому влюбленные сбежали из города, тайно поженились, но вскоре вернулись в Екатеринослав за родительским прощением. Прощение было получено, и жизнь вскоре наладилась"
  6. Аронов 2012, 12쪽: "А 20 октября 1918 года у Арона и Фейги родился мальчик Саша, будущий поэт и бард Александр Галич. В справке о его рождении, оригинал которой написан на иврите, значится: «У Арона Гинзбурга и жены его Фейги 20/7 октября 1918 года родился сын, которому дано имя Александр."
  7. Аронов 2012, 12쪽: "Главным раввином города в ту пору был Леви Ицхак Шнеерсон"
  8. : "Через три недели после Сашиного рождения семья переехала из Днепропетровска в Севастополь" (사샤가 태어난 뒤 3주 후, 그의 가족은 드니프로페트로브스크에서 세바스토폴로 이주했다)
  9. 백용식 2019, 32쪽: "1947년 알렉산드르 갈리치(Александр Галич)와 콘스탄틴 이사예프(Константин Исаев)가 공동집필한 희극-익살극(комедия-шутка) 『타이미르에서 전화 왔습니다(Вас вызывает Таймыр)』는2) 전후의 소련희극을 대표한다. 이 작품은 1948년 3월 <레닌그라드 국립 희극 극장(Ленингра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атр комедии)>에서, 2개월 후에는 <모스크바 풍자극장(Московский театр сатиры)>에서 공연되었다.3) 그 후 『타이미르』 공연은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모스크바 풍자극장에서 『타이미르』는 1948년 5월-1953년 사이에 420회 무대에 올랐으며, 지방극장에서는 1948년 3월-9월 한 시즌 동안 1349회 공연되었다.4)"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