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8년
연도
해 1915년 1916년 1917년 - 1918년 - 1919년 1920년 1921년 |
연대 1890년대 1900년대 - 1910년대 - 1920년대 1930년대 |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
191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연호편집
기년편집
사건편집
- 1월 - 서재필, 정한경, 민찬호, 안창호, 이승만 등이 미국 워싱턴에서 신한협회를 조직하였다.
- 1월 18일 - 조선총독부가 《조선어사전》을 편찬하였다.
- 1월 22일
- 2월 1일 - 광복회 관련 인사들이 보안법 위반으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 2월 16일 - 조선과 미국간에 무역제한 조치가 취해졌다.
- 2월 20일 - 서당규칙 공포가 시행되었다.
- 2월 28일 - 경성공립농업학교 설립 인가.
- 3월 26일 - 경성의학전문학교에서 여의사 3인이 처음으로 배출되었다.
- 4월 1일
- 일본 화폐법이 조선에도 동일하게 시행되었다.
- 홋카이도 제국대학 설립 ( 설치과 농학 ) 도후부대학교 농과대학에서 독립
- 4월 16일 - 군수공업동원법이 공포되었다.
- 5월 1일 - 조선 임야조사가 시작되었다.
- 5월 7일 - 루마니아 왕국이 동맹국에 항복하여 부쿠레슈티 강화 조약을 승인하다.
- 6월 7일 - 조선식산은행령이 공포되었다.
- 6월 13일 - 경성 전차의 광화문선이 운행 개시되었다.
- 6월 26일 - 이동휘, 김립, 박진순 등이 하바롭스크에서 한인사회당을 조직하였다.
- 7월 1일 - 금강산 장안사에 호텔 영업이 개시되었다.
- 7월 17일 - 유배된 러시아 제국의 전(前) 황제 니콜라이 2세와 그의 가족들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황후, 올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타티야나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마리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황태자), 그들의 주치의, 메이드 등 11명이 유배지에서 처형당하다.
- 8월 - 여운형, 장덕수, 조동우, 김구 등이 상하이에서 신한청년단을 조직하였다.
- 8월 2일 - 일본, 시베리아에 파병 선언.
- 8월 3일 - 일본 도야마현에서 시베리아 파병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을 이기지 못한 일본인들이 봉기, 폭동은 전국으로 확산되다.
- 8월 8일 - 제1차 세계 대전 : 아미앵 전투 시작.
- 8월 11일 - 제1차 세계 대전 : 아미앵 전투 종료.
- 8월 16일 - 일본, 조선에 대한 곡류수용령 공포.
- 8월 22일 - 미국의 한인 부인단체가 대한여자애국단으로 통합되었다.
- 9월 30일 - 불가리아 왕국, 연합국에 항복.
- 10월 28일 - 체코슬로바키아가 세워짐.
- 10월 30일 - 오스만 제국, 연합국에 항복.
- 10월 31일 - 대구선 대구-영천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완공되었다.
- 11월 1일 - 예멘 왕국이 오스만 제국으로 부터 독립을 선포했다.
- 11월 3일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연합국에 항복.
- 11월 5일 - 토지조사사업이 완료되었다.
- 11월 9일 - 빌헬름 2세, 혁명으로 퇴위.
- 11월 10일 - 독일 제국 황제 빌헬름 2세, 네덜란드로 망명. 독일 제2제국 붕괴.
- 11월 11일 - 독일 제국이 항복하여 휴전 조약을 맺다(제1차 세계 대전 종결).
- 11월 12일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고 헝가리가 독립함.
- 11월 20일 - 미주 한인 교포단체가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에게 한국 독립 진정서를 제출하였다.
- 11월 30일 - 여운형이 파리평화회의와 윌슨 미국 대통령에게 한국독립청원서를 전달하였다.
- 12월 1일 - 미주 한인이 대표자대회를 소집해 파리평화회의 파견단으로 이승만, 정경한, 민찬호를 선정하였다.
- 12월 5일 - 영친왕 이은과 일본 황족 나시모토노미야 (이방자)와의 혼인이 발표되었다.
- 12월 15일 - 손병희, 권동진, 오세창 등이 모여 독립운동 진행을 논의하고 대중화, 일원화, 비폭력의 3대 원칙을 결정하였다.
- 12월 28일 - 도쿄유학생회가 연합웅변대회를 개최하고 한국독립 문제를 강연하였다.
- 스페인 독감(무오 년 독감).
탄생편집
- 1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남현(호적상 출생년월일은 1919년 1월 7일).
- 1월 24일 - 미국의 목사 오럴 로버츠.
- 1월 26일 - 루마니아의 정치인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 2월 4일 - 영국, 미국의 배우, 영화감독 이다 루피노.
- 2월 13일 - 대한민국의 군인 송요찬.
- 2월 26일 - 미국의 작가 시어도어 스터전.
- 3월 9일 - 미국의 소설가 미키 스필레인.
- 4월 17일 - 미국의 배우 윌리엄 홀든.
- 4월 18일 - 프랑스의 영화평론가 앙드레 바쟁.
- 5월 4일 - 다나카 가쿠에이, 일본의 총리.
- 5월 24일 - 미국의 정치인, 디트로이트의 첫 흑인 시장 콜먼 영.
- 5월 27일 - 일본의 총리 나카소네 야스히로.
- 6월 1일 - 문익환, 한국의 목사, 재야 운동가.
- 6월 2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두한.
- 7월 14일 - 스웨덴의 영화감독 잉마르 베리만.
- 7월 18일 - 넬슨 만델라,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대통령이자 흑인 해방 운동 지도자.
- 8월 9일 - 로버트 올드리치, 미국의 영화감독.
- 8월 15일 - 레이몽 갈루와몽브룅, 프랑스의 작곡가.
- 8월 25일 - 레너드 번스타인, 미국의 지휘자.
- 9월 22일 - 독일의 혁명가 한스 숄.
- 10월 16일 - 프랑스의 철학자 루이 알튀세르.
- 10월 30일 - 대한민국의 언어학자 허웅.
- 11월 9일 - 미국 정치가 스피로 애그뉴.
- 11월 15일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아돌포 페데르네라.
- 12월 21일 - 유엔 사무총장·오스트리아의 대통령 쿠르트 발트하임.
- 12월 23일 - 전 서독의 총리 헬무트 슈미트.
- 12월 25일 - 이집트의 대통령 안와르 사다트.
사망편집
- 1월 6일 - 게오르크 칸토어, 독일의 수학자. ( 1845년 출생 )
- 1월 29일 - 프랑스의 중국학자 에두아르드 샤반느
- 2월 6일 - 구스타프 클림트, 오스트리아 화가. ( 1862년 출생 )
- 4월 20일 - 독일의 물리학자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 ( 1850년 출생 )
- 4월 28일 - 가브릴로 프린치프,페르디난트 대공부부의 암살범이자 제 1차 세계대전의 주범. ( 1894년 출생 )
- 5월 30일 - 러시아의 마르크스주의자, 정치인 게오르기 플레하노프. ( 1856년 출생 )
- 6월 19일 -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 전투기 조종사 프란세스코 바라카. ( 1888년 출생 )
- 7월 17일 - 니콜라이 2세를 비롯해 유배지에서 처형당한 황제의 가족들
- 니콜라이 2세, 러시아 제국 로마노프 왕조의 18번째 군주이자 마지막 황제. ( 1868년 출생 )
-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니콜라이 2세의 황후. ( 1872년 출생 )
- 올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의 장녀. ( 1895년 출생 )
- 타티야나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의 차녀. ( 1897년 출생 )
- 마리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의 3녀. ( 1899년 출생 )
-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의 4녀. (1901년 출생 )
-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황태자,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의 고명아들이자 혈우병 환자.( 1904년 출생 )
- 9월 18일 - 러시아의 정치인 표트르 스톨리핀.
- 9월 28일 - 독일 출신 사회학자 게오르크 지멜.
- 11월 4일 - 영국의 시인 윌프레드 오언
- 불교 해동율맥 제6대조 호은문성(虎隱文性)율사는 1918년 1월 3일(음) 양산 통도사에서 입적하였는데 도유장에 6일 밤을 방광(放光)하였는데 1년 후에 탑을 세웠던 밤에 방광(放光)하고 율사가 금강계단을 세우고 190여 명에게 계를 베풀었던 구례 화엄사 탑전에 방광하고 아름답고 큰 소리가 있어 戒제자 진진응 주지가 기적이다 하여 기적비를 세웠으며 숭양산인 장지연 제자가 기적비의 글을 지었는데 그 비가 화엄사 부도전에 있는 호은대율사비이다.
노벨상편집
- 물리학상 : 막스 플랑크
- 화학상 : 프리츠 하버
달력편집
음양력 대조 일람편집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 양력 월일 |
음력 1일 간지 |
---|---|---|---|---|
1월 | 갑인 | 대 | 2월 11일 | 기축 |
2월 | 을묘 | 소 | 3월 13일 | 기미 |
3월 | 병진 | 소 | 4월 11일 | 무자 |
4월 | 정사 | 대 | 5월 10일 | 정사 |
5월 | 무오 | 소 | 6월 9일 | 정해 |
6월 | 기미 | 대 | 7월 8일 | 병진 |
7월 | 경신 | 소 | 8월 7일 | 병술 |
8월 | 신유 | 대 | 9월 5일 | 을묘 |
9월 | 임술 | 대 | 10월 5일 | 을유 |
10월 | 계해 | 대 | 11월 4일 | 을묘 |
11월 | 갑자 | 소 | 12월 4일 | 을유 |
12월 | 을축 | 대 | 1919년 1월 2일 | 갑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