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씨왕후
우씨왕후는 TVING에서 2024년 8월 29일부터 2024년 9월 12일까지 방송된 대한민국의 액션 사극 드라마다.
![]() | |
장르 | 퓨전 사극, 액션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TVING |
방송 기간 | 2024년 8월 29일 (파트1) 2024년 9월 12일 (파트2) |
방송 횟수 | 8부작 |
프로듀서 | 옥광희 |
제작사 | 앤드마크 콤파스 픽쳐스 CJ ENM 스튜디오스 |
제작 | 하승수, 오광의, 유형석, 권오현, 송은주 |
연출 | 정세교 |
각본 | 이병학 |
출연자 | 전종서, 김무열, 정유미, 이수혁, 박지환, 지창욱 |
음악 | 이준오 |
출연진
편집주요 인물
편집- 전종서: 우희[1] 역 - 이 드라마의 메인 여주인공. 고구려의 왕후로 왕이 죽자 남편의 동생 중 한 명과 결혼하여 가족과 부족을 지키려는 인물.
- 김무열: 을파소[2] 역(아역: 안석현) - 이 드라마의 메인 남주인공. 고구려의 재상이자 왕의 군사인 국상.
- 지창욱: 고남무[3] 역 (아역: 유지완) - 이 드라마의 서브 남주인공. 우희의 남편이자 오천명의 군사를 이끌고 한나라의 삼만 군사를 물리칠 만큼 뛰어난 두뇌를 가진 고구려의 왕.
- 정유미: 우순 역 - 이 드라마의 서브 여주인공. 우희의 언니이자 왕후를 모시는 태시녀.
- 이수혁: 고발기[4] 역 - 고구려 왕위 계승후보인 삼왕자.
- 박지환[5]: 무골 역 - 왕의 직속부대인 왕당의 대모달(대장).
계루부
편집- 배기범: 고백고[6] 역 - 고남무와 왕자들의 아버지.
- 故 송재림: 고패의 역 - 폐위된 왕자.
- 강영석: 고연우[7] 역
- 정재광: 고계수[8] 역 - 고남무의 동생들 중 하나. 오왕자.
절노부
편집졸본
편집- 박보경: 연비 역 - 고씨 왕가를 멸하려는 졸본의 인물.
왕당
편집- 이해우: 모치 역 - 왕당의 일원.
대신들
편집대사자
편집- 최재훈: 창헌 역 - 삼왕자 고발기를 모시는 최측근.
흰호랑이족
편집그 외 인물들
편집참고 사항
편집- 전종서, 김무열은 2023년에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영화 《발레리나》 이후로 11개월만에 재회하는 작품이다.[16]
- 김무열, 박지환, 박보경은 2024년에 개봉한 영화 《범죄도시4》 이후로 3개월만에 재회하는 작품이다.
- 김무열, 박보경은 2019년에 개봉한 영화 《악인전》 이후로 5년만에 재회하는 작품이다.
- 정유미, 박지환은 2016년에 방송된 SBS 월화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 이후로 8년만에 재회하는 작품이다.
- 박지환, 정재광, 최재훈은 2022년에 개봉한 영화 《범죄도시2》 이후로 2년만에 재회하는 작품이다.
- 한국 콘텐츠진흥원 2023년 방송영상콘텐츠 기획안 공모 - 드라마(장편) 부분 선정작(우수상)이다.
- 송재림의 드라마 유작이다.
수상 목록
편집- 2024년 제11회 서울국제영화대상 OTT부문 특별 연기상 (정유미)
- 2024년 제10회 에이판 스타 어워즈 남자 연기상 (전배수)
각주
편집- ↑ 역사적으로 본명이 알려져있지 않기에 이름은 창작을 한 것으로 보인다
- ↑ 을파소
- ↑ 고국천왕
- ↑ 고발기
- ↑ 역사상 존재하지 않는 창작 캐릭터. 고구려 건국신화에 나오는 추모왕 휘하의 장군과 같은 이름을 가지고 있다
- ↑ 신대왕
- ↑ 산상왕
- ↑ 고계수
- ↑ 인스타그램을 통해 배역명을 공개하였다
- ↑ 명림답부와 같은 성씨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절노부의 인물로 보인다
- ↑ 공식 캐스팅 기사
- ↑ 공식 캐스팅 기사
- ↑ 한산: 용의 출현에서 안코쿠지 에케이, 고려 거란 전쟁에서 거란족 타초곡기 병사로 출연하였다.
- ↑ 공식적으로 캐스팅 기사가 있진 않았지만 SNS에 올라온 고사 현장영상을 보면 전종서와 정유미 옆에 있는 것으로 보아 캐스팅이 확정된 것으로 보인다
- ↑ 결혼식 기사를 통해 캐스팅을 알렸다
- ↑ 영화 발레리나에서는 전종서가 메인 여주인공으로 출연했고 김무열이 만악의 근원이자 중간보스로 출연했다.
이 글은 텔레비전 드라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