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프-카이코프 효과

다량의 아이오딘으로 인해 갑상샘호르몬 농도가 감소하는 현상

울프-카이코프 효과(Wolff–Chaikoff effect)[1]는 다량의 아이오딘 섭취로 인해 발생한다고 추정되는 갑상샘호르몬 농도의 감소 현상이다.[2]

아이오딘의 과도한 공급으로 인해 갑상샘중독증이 일어나지 않도록 보상하는 기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얀 울프(Jan Wolff)와 이스라엘 라이언 카이코프(Israel Lyon Chaikoff)에 의해 1948년 처음 발견되었다. 이들은 쥐에 아이오딘을 주사했을 때 갑상샘에서 갑상샘글로불린의 아이오딘이 부착되는 과정(유기화, organification)이 완전히 억제되었다고 기록했다.[3][4]

그레이브스병 환자는 갑상샘 기능이 정상인 환자에 비해 울프-카이코프 효과에 더 민감하며,[5] 아이오딘은 이로 인해 그레이브스병 관리에 이용되어 왔다.

울프-카이코프 효과는 갑상샘에서 갑상샘호르몬을 만들기 위해 갑상샘소포 안에서 일어나는 유기화 과정을 억제하는 자가조절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6] 순환 아이오딘 농도가 높아졌을 때, 울프-카이코프 효과는 갑상샘이 너무 많은 양의 아이오딘을 흡수하지 못하도록 하여 갑상샘에서 과량의 갑상샘호르몬이 합성되지 않도록 막는다.[7] 과도한 아이오딘은 일시적으로 갑상샘에서 유기화 과정을 억제한다. 정상적인 갑상샘 기능을 가진 사람에서는 갑상샘이 울프-카이코프 효과로부터 벗어나 유기화 과정을 재개한다. 그러나 기저에 자가면역성 갑상샘 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 높은 농도의 아이오딘으로 인한 억제 효과가 지속될 수 있다.[8] 울프-카이코프 효과는 10일 내외 정도 지속되며 이후에는 '탈출 현상'(escape phenomenon)이 발생하여[9] 아이오딘의 유기화와 갑상샘과산화효소(TPO) 기능의 정상화가 일어난다.

갑상샘기능항진증(특히 갑상샘위기)에 대하여 다량의 아이오딘을 투여하여 갑상샘을 억제한다는, 울프-카이코프 효과를 기반으로 한 치료 전략이 활용되어 왔다. 프로필티오우라실이나 메티마졸 등의 항갑상샘제가 발달하기 전까지는 아이오딘화물을 사용하여 갑상샘기능항진증을 치료했다. 아이오딘화물을 투여 받은 갑상샘기능항진증 환자들은 갑상샘절제술을 받은 환자들과 비슷한 정도의 기초대사율 감소를 겪었다.[6] 또한 울프-카이코프 효과를 통해 아미오다론과 같은 여러 아이오딘이 포함된 약물을 복용했을 때 왜 일부 환자들에서 갑상샘기능저하증이 나타나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한편 원자력으로 인한 비상 상황에서 아이오딘화 칼륨을 사용하는 이유에도 울프-카이코프 효과가 일부 관련되어 있다.[10][11][12][13]

각주 편집

  1. Dorland (2011).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Elsevier Health Sciences. 2083쪽. ISBN 9781416062578. 
  2. Nosek, Thomas M. 〈Section 5/5ch5/s5ch5_6〉. 《Essentials of Human Physiology》. 2016년 3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 Panneels, V.; Juvenal, G.; Boeynaems, J.M.; Durmont, J.E.; Sande, J. Van (2009). 〈Iodide Effects on the Thyroid: Biochemical, Physiological, Pharmacological, and Clinical Effects of Iodide in the Thyroid〉. Preedy, Victor R.; Burrow, Gerard N.; Watson, Ronald Ross. 《Comprehensive Handbook of Iodine: Nutritional, Biochemical, Pathological and Therapeutic Aspects》. Academic Press. 304쪽. ISBN 9780080920863. 
  4. Wolff J, Chaikoff IL (1948). “Plasma inorganic iodide as a homeostatic regulator of thyroid function”. 《J Biol Chem》 174 (2): 555–564. doi:10.1016/S0021-9258(18)57335-X. PMID 18865621. 
  5. King; Tekoa, Mary Brucker (2010). 《Pharmacology for Women's Health》. Jones & Bartlett Learning. 549쪽. ISBN 9780763753290. 
  6. Goodman, Louis Sanford; Gilman, Alfred Goodman (1996).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9판. McGraw-Hill. 1402쪽. ISBN 978-0-07-026266-9. 
  7. Markou, K (May 2001). “Iodine induced hypothyroidism”. 《Thyroid》 11 (5): 501–10. doi:10.1089/105072501300176462. PMID 11396709. 
  8. dennis L. Kasper, stephen L. Hauser, J. Larry Jameson, Anthony s. fauci, dan L. Longo, Joseph Loscalzo (2015).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9th Edition. McGraw-Hill Education. P: 2285. ISBN 978-0-07-180216-1
  9. Eng P, Cardona G, Fang S, Previti M, Alex S, Carrasco N, Chin W, Braverman L (1999). “Escape from the acute Wolff-Chaikoff effect i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thyroid sodium/iodide symporter messenger ribonucleic acid and protein”. 《Endocrinology》 140 (8): 3404–10. doi:10.1210/endo.140.8.6893. PMID 10433193. 
  10. Yoshida, S; Ojino, M; Ozaki, T; Hatanaka, T; Nomura, K; Ishii, M; Koriyama, K; Akashi, M (2014년 5월 1일). “Guidelines for iodine prophylaxis as a protective measure: information for physicians.”. 《Jap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57 (3): 113–23. PMC 4356652. PMID 25784824. 
  11. Sternthal E, Lipworth L, Stanley B, Abreau C, Fang SL, Braverman LE (1980). “Suppression of thyroid radioiodine uptake by various doses of stable iodide”. 《N Engl J Med》 303 (19): 1083–8. doi:10.1056/nejm198011063031903. PMID 7421914. The effect is rapid because of rapid inhibition of intrathyroid organification of iodide (acute Wolff–Chaikoff effect) and saturation of the iodide-transport mechanism. 
  12. Becker DV (1983). “Physiological basis for the use of potassium iodide as a thyroid blocking agent logistic issues in its distribution”. 《Bull N Y Acad Med》 59 (10): 1003–8. PMC 1911930. PMID 6582961. In larger amounts [potassium iodide] acts immediately to block further uptake of iodide by several means, particularly by saturating the iodide transport mechanisms of the thyroid, by inhibiting the intrathyroidal organification of iodide, and by simple dilution. 
  13. Adelstein SJ (1991). "Intervention procedures for radionuclides." Anticarcinogenesis and Radiation Protection 2. Springer US. pp. 227-8. "'Cold' iodide is effective in four ways: (a) by diluting the entering iodide pool; (b) by saturating the iodide transport system; (c) by blocking organification of iodide and thus inhibiting thyroid hormone synthesis (the Wolff-Chaikoff effect); and (d) by promoting excretion and thus lowering the total body d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