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토론:편집 지침/보존문서1

마지막 의견: 17년 전 (Johyeongryeol님) - 주제: 전각 문장 부호에 대해서

작품 제목 표시에 쓰이는 부호

현재 본문:

현재 위키백과상에는 작품 제목 표시에 쓰는 부호를 통일하지 않아 각종 따옴표(' ")와 낫표(「 」 『 』), 꺾쇠표(〈 〉 《 》), 심지어 부등호(< > << >>)도 사용하고 있다. 낫표와 꺾쇠표의 경우 입력이 불편하고 한글 가로쓰기에 사용하기에는 공간을 필요 이상으로 차지하는 전각 기호로만 있다는 단점이 있으며, 부등호는 꺾쇠표의 대체 기호에 불과하므로 이 때에는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를 사용하는 것으로 통일한다.

제목 표시에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를 사용하자는 것은 제 의견입니다. 그러나 사용자 여러분의 의견을 널리 듣기 전에는 섣불리 이미 존재하는 페이지를 교열하는데 쓸 생각은 없습니다. 제목 표시에 어떤 부호를 쓰는 것이 좋은지 여러분의 의견 구합니다. --Iceager 2005년 7월 8일 (金) 15:05 (UTC)

문장 부호에 관한 임동훈 한림대 국어국문학과 교수의 '현행 문장 부호의 미비점과 대안'이라는 글을 여기서 볼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현재 한글 맞춤법의 부록으로 되어 있는 문장 부호 규정이 불충분하고 실제 문자 생활과도 어긋난다는 것입니다. 이 스타일북의 문장 부호 부분 보완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Iceager 2005년 7월 8일 (金) 23:35 (UTC)

지금 본문을 보면 한국어 책 제목과 영어 책 제목을 분리해놨는데 이런 문장부호를 통일했으면 합니다. 본문에 넣을 때 두 종류의 책을 구분한다는 건 의미가 없거든요. 중국어 책이나 일본어 책 등등에 대해 모두 다 일일이 기준을 만들기도 번거롭고요. -- 2005년 7월 13일 (水) 06:04 (UTC)

스타일북

영어의 "Manual of Style"에 해당하는 것을 "스타일북"으로 번역했습니다. 실제 쓰이는 용어가 그리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스타일북 대신 쓸 수 있는 알맞고 알아듣기 쉬운 제목이 있다면 의견 주십시오. --Iceager 2005년 7월 8일 (金) 23:48 (UTC)

‘편집 지침’ 같은 말은 어떨까요? --Puzzlet Chung 2006년 3월 8일 (수) 06:20 (KST)답변

중국인 표기

신해혁명 이전이라는 것은 태어난 해 기준인가요, 죽은 해 기준인가요? --Puzzlet Chung 2005년 7월 11일 (月) 01:20 (UTC)

활동한 해 기준이죠. 청나라 인물이냐, 중화민국 인물이냐가 기준. 서태후는 한국어로, 쑨원은 중국어로... 물론 걸치는 사람들은 redirect 처리해야 할겁니다. -- 이 의견을 2005년 7월 11일 (월) 21:41에 작성한 사용자는 ChongDae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숫자가 들어간 페이지 제목/분류

사랑방에서 옮겨옴: 위키백과토론:제목 선택하기로 옮겨감. --Puzzlet Chung 2005년 11월 15일 (火) 12:39 (UTC)

스타일북 & 사용방법

스타일북의 내용 잘 보고 있습니다.

추가로 템플릿이나, 분류를 만들때의 가이드라인이나 하는 사용방법에 관한 페이지가 있나요? --이찬결 2005년 11월 28일 (월) 22:01 (KST)답변

위키백과:분류가 있는데, 위키백과:스타일북도 그렇고 완전한 것이 아닙니다. 사실 특별한 규칙이랄 것도 없습니다. 위키백과:다섯 원칙을 보세요. --Puzzlet Chung 2005년 11월 30일 (수) 00:05 (KST)답변

일본인 이름에 관한 안건입니다;;

사람 이름은 한국인과 중국인일 경우에만 붙여 쓰고 그 외의 경우에는 띄어 써야 한다고 얘기를 하신 것 같은데, 일본인의 경우에는 좀 특별한 규칙을 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자로 쓸 때만 붙여 쓰고, 그 외의 경우(한글, 영문 등)에는 띄어 쓰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죠.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 曹操孟德 2005년 12월 21일 (수) 05:17 (KST)답변

다른 낱말도 한자로 쓸 때는 띄어서 쓰지 않고 있습니다. '띄어쓰기'에 밝혀 적어줄 필요는 있을 것 같네요. --Puzzlet Chung 2005년 12월 21일 (수) 12:07 (KST)답변

북한의 문법을 이용해야 합니다

북한의 신문과 잡지를 보면은 김일성과 김정일의 존함을 굵게 표시하고 있고, 꼭 동지라고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는 그런 구절이 없습니다.

그리고 남한의 띄어쓰기와 북한의 띄어쓰기는 전혀 다릅니다. 심지어 외국어를 표기할 때도 표준어로 아이스크림이라고 하지만 북한에서는 에스키모라고 합니다.

그리고 북한에서 사용하는 "위대한 수령님에 대한 언어예절"이라는 문법도 사용하십시오.

북한의 문법에 대해서 따로 표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관련된 페이지에는 일괄적으로 문화어 표기법 및 띄어쓰기를 이미 사용하고 있습니다. 양강도가 아니라 량강도, '조선노동당 제6차 당대회'가 아니라 조선로동당 제6차당대회입니다.
2. 동지라는 표현 및 수령에 대한 언어예절은 '친북'내지 '주체사상파'라는 이념적 성향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남북 모두를 중립적으로 취급해야 하는 위키백과에서는 수용할 수 없습니다. -- Caffelice 2006년 1월 4일 (수) 03:42 (KST)답변

표준 인용 스타일 제안

제안에 관한 토론

위키백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표준 인용 스타일을 제안합니다. 각자 익숙한 스타일이 있을터이니, 추천하고 싶은 스타일이 있으면 이하 #스타일 보기에서 써주시고 후보 목록 #스타일별 투표에 써주세요. 합의가 있게 되면 이것을 위키백과:인용공식 한국어위키백과 권장 스타일로 기재하면 될 듯 싶습니다. --김용호 (+,  ) 2006년 1월 18일 (수) 13:17 (KST)답변

영어말고 한글로 예를 들어주세요. -- WonYong (talk) 2006년 1월 18일 (수) 13:23 (KST)답변
전 시간을 아끼기 위하여 제가 예전에 쓴 논문에서 그냥 가져오고 있습니다. 사실 저자·제목·소제·학술지·날짜·페이지 범위·출판연도·편자·Volume·Issue 등등의 정보를 어디에 배치하는지의 문제가 더 중요하고, 어떤 언어로 쓰던 그러한 정보는 쉽사리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는 못 느끼고 있습니다. 또 전 한글로 쓴 논문이 없어서.. 원용님이 좀 수고해주세요. --김용호 2006년 1월 18일 (수) 13:27 (KST)답변
혹시, 사진 인용은 어떻게 하는지 예시가 있을까요? -- WonYong (talk) 2006년 1월 19일 (목) 20:46 (KST)답변

스타일별 투표

Chicago


MLA
APA
Harvard
Turabian
AAA
기타 제안

변형 스타일

AAA에서 줄바꿈을 없앤 것
--김용호 (+,  ) 2006년 1월 18일 (수) 14:14 (KST)답변
깔끔해보이고 좋습니다. -- Caffelice 2006년 1월 19일 (목) 13:15 (KST)답변

AAA는 저자와 연도 사이에 줄바꿈을 두는데 이걸 없애 하나의 줄로 모든 정보가 표현 가능한 변형.

Chicago에서 한글로 된 경우에만 Italic사용을 「」(article)및 『』(book)으로 바꾼 것.

Baer, Robert, Sleeping With the Devil: How Washington Sold Our Soul for Saudi Crude, Crown, 2003
(곽인찬 역, 『악마와의 동침: 워싱턴과 사우디 왕가의 추악한 거래』, 도서출판 중심, 2004, p.292-295)

스타일 보기


Chicago

철학역사학을 비롯, 인문학 계통에서 폭넓게 쓰이는 스타일입니다. 조금 구조가 복잡한 (이탤릭 규칙) 단점이 있습니다.

서적
Žižek, Slavoj. The Sublime Object of Ideology. New York: Verso, 1989
편집자와 저자가 다른 서적
Hobbes, Thomas. “Logic”. Translated by Aloysius Martinich, in Part I of de Corpore, edited by Isabel Hungerland and George R. Vick. (New York: Abaris Books, 1981)
고서
---. [Op. Lat.] Thomae Hobbes Malmesburiensis Opera philosophica quae latine scripsit omnia: in unum corpus nunc primum collecta / studio et labore Gulielmi Molesworth, Vol. 1. (London: John Bohn, 1839)
논문
Kim, Janine Young. “Are Asians black? The Asian-American civil rights agenda and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the black/white paradigm”, Yale Law Journal vol. 108, no. 8 (1999): 2385-412
에세이 모음집 중 에세이 하나
Leal, Luis. “In Search of Aztlán”, Trans. by Gladys Leal, in Aztlán: Essays on the Chicano Homeland, ed. By Rudolfo A. Amaya and Francisco Lomeli, (Albuquerque, NM: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1989): 6-13
비디오
Alsino and the Condor. Dir. Miguel Littin. Ed. Miriam Talavera. Perf. Alan Esquivel, Dean Stockwell. Videocassette. (VHS) (89 min) Beverly Hills, CA: Pacific Arts Video, 1986.
신문 기사
Canby, Vincent. “Film: Chilean Exile’s Political Work”, The New York Times, 1 May 1983 p.69

AAA

미제 인류학 학회(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에서 쓰이는 스타일. 군더더기가 적은것으로 보입니다.

서적
Frederickson, George
1981 White Supremacy: a comparative study in American and South African histor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논문
Bruner, Edward M.
1996 Tourism in Ghana: The Representation of Slavery and the Return of the Black Diaspora. American Anthropologist 98(2): 290-304
글 묶음 안의 에세이
Marx, Karl
1967 Economic and Philosophic Manuscripts. In Writings of the young Marx on Philosophy and Society, ed. and trans. by Loyd D. Easton and Kurt H. Guddat. Pp 283-337. Garden City, NY: Anchor Books

(상기 스타일에서 "In" 이 이탤릭으로 되어있는 점을 잘 보세요. AAA에서 이탤릭은 이렇게 종속 관계의 텍스트에서만 사용됩니다.)

학회 발표
carrington, andré
2005 The Situation of Homosexuality: Revolutionary Love in the Writings of Joseph F. Beam and P. Ombaka Tate - Neither constant Orgy nor constant Rape: Intermasculinary Patriarchy among Black Gay Men. Paper Presentation, Sixth Annual African American Studies Conference at Macalester - Incarcerated Intelligence: African Americans and the Prison Industrial Complex. February 12.
인터넷 문서
Wikipedia
2004a Classics. In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Electronic document, http://en.wikipedia.org/wiki/classics, accessed December 19, 2004.
신문 기사
Brown, Eliot
2004 Social sciences experience record number of majors. The Mac Weekly, October 8

APA

미국 심리학 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의 공식 스타일입니다. 주목하실점으로는 잘 알려진 저널일 경우 저널 이름을 압축한다는 것입니다.

논문
Whishaw, I. Q. & Tomie, J. (1997). Chlorinergic receptor blockade Sensorimotor Subsystem for Place Navigation in the Rat: Evidence from Sensory, Motor and Acquisition Tests in a Swimming Pool. Behavioral Neuroscience, 101, 603-16
잘 알려진 학술지의 논문
Paylor, R. & Rudy, J. W. (1989). Chlorinergic receptor blockade can impair the rat’s performance on both the place learning and cued versions of the Morris water task: the role of age and pool wall brightness. Behav Brain Res, 36, 79-90.

상기 Behav Brain Res 는 Behavioral Brain Research 이지만 이렇게 줄여쓰는 것이 관례임

APA 스타일의 연도 뒤 점이 빠져서 추가합니다. Jeromi


Harvard

영어위키백과에서 권장하는 스타일입니다.

서적
Mussolini, Benito (1933). The Political and Social Doctrine of Fascism, Hogarth Press.
논평
Umberto Eco, (1995). Eternal Fascism Fourteen Ways of Looking at a Blackshirt. New York Review of Books (June 22): 12–15.

MLA


한글 자료 인용

  • 한글 자료 인용은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는데, 저는 F-35에 쓰인 인용방식을 한글 자료에도 적용하려고 합니다.

주석을 다는 방법 및 인용 표기법.

주석은 이렇게 답니다.[1]
모두들 정보를 알게된 출처를 이렇게 주석달아주면 바람직하겠네요.

주석과 참고자료

  1. 위키백과, 홍길동

실제 예제

-- WonYong (talk) 2006년 3월 5일 (일) 11:34 (KST)답변

불경의 경우 이런 방법을 쓰고 싶은데

[[서품 (법화경)|序品]](서품) 第一의 형식으로 글을 쓰는 겁니다. 序品(서품) 第一과 같이 표시됩니다만, 위키 링크를 들어가더라도 한글로 표시가 됩니다.되니 제가 표시한 방식을 건의합니다. 曹操孟德(寧我不人毋人不我)2006년 3월 6일 (월) 09:56 (KST)답변

한자를 앞에 내세울 이유가 있나요? -- ChongDae 2006년 3월 6일 (월) 16:02 (KST)답변

저는 어떤 경우에도 위키백과 내에서 한자 병기가 필요하다면 괄호 안에 제시하는 것으로 통일하자는 의견입니다. 위의 예에서 한자를 나타내야 한다면 [[서품 (법화경)|]](序品) 같은 형식을 사용해서 서품(序品)처럼 표시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Iceager 2006년 3월 6일 (월) 16:18 (KST)답변

그리고 본문에 써 줄 땐 다음과 같이 한글 부분만 강조해 주세요. --Puzzlet Chung 2006년 3월 6일 (월) 21:05 (KST)답변

서품(序品)

소제목에 연결 고리를 걸지 않는 것은 어떨까요?

제가 느끼기에 이런 식으로 제목에 연결 고리를 거는 것은 깔끔해 보이지 않습니다. 토론 게시판이나 사용자 게시판이면 필요에 따라 써도 무방하겠지만, 일반 문서에서는 피하도록 규정하는 것이 어떨까요? --정안영민 2006년 4월 3일 (월) 23:45 (KST)답변

높임말

본문에 높임말과 그렇지 않은 말이 혼재되어 있습니다. 어느 쪽으로 통일하는 것이 좋을까요? --정안영민 2006년 7월 5일 (수) 19:08 (KST)답변

위키백과 문서는 높임말을 쓰고 있습니다. 높임말로 통일해야겠죠.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도움말을 참조해주세요. --Klutzy 2006년 7월 5일 (수) 19:10 (KST)답변
고쳤습니다. :) --정안영민 2006년 7월 6일 (목) 01:21 (KST)답변

체중과 혈액형

편집지침에 추가하였습니다. 이에대한 의견은 '위키백과:사랑방/2006년 5월'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안영민 2006년 7월 6일 (목) 01:21 (KST)답변

생몰 연대 표기

(xxxx년 x월 xx일 ~ xxxx년 x월 xx일)보다 (xxxx년 x월 xx일 - xxxx년 x월 xx일)이 보기에 깔끔하고 좋지 않나요? 현재 지침은 물결모양이지만, 실제로는 두 가지 표기가 혼재되어 있습니다. --정안영민 2006년 7월 25일 (화) 11:13 (KST)답변

저는 전자를 선호합니다. ~를 -로 바꾸려면 다른 부분도 일괄적으로 바꿔야 할텐데, 3-4세기라고 하는 건 (익숙해지면 모를까) 잘 구별도 안 가고 드물게 혼동의 가능성도 있거든요. 일관성 면에서는 전자가 낫다고 생각합니다.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9월 23일 (일) 17:23 (KST)답변
ja:Wikipedia‐ノート:スタイルマニュアル (人物伝)#波ダッシュについて에서 ~의 사용은 버리고 -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습니다.--효리♪ (H.L.LEE) 2006년 9월 24일 (일) 10:16 (KST)답변
여기는 한국어 위키백과입니다. 일본어 위키백과가 그렇게 돼 있다고 해도 한국어 위키백과가 그걸 아무 생각 없이 따를 수도 없고, 따를 리도 없죠. --에멜무지로 2006년 9월 24일 (일) 12:15 (KST)답변
지침이 없는 상황이라면 일본어판의 지침을 참고할 수 있겠지만, 이미 있는 지침을 바꿀 이유가 될 수 있을까요?. --한동성 2006년 9월 24일 (일) 12:06 (KST)답변
문장 부호는 언어의 일부이기 때문—가령 에스파냐어는 “¡Bienvenido a Wikipedia, la enciclopedia libre!” 우리에겐 생소한 ¡를 씁니다.—에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어떤 문장 부호를 쓸지 결정하고자 할 때에는 한국어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문화어 자료를 찾지 못해서 좀 안타깝긴 하지만, 어쨌든 표준어의 문장 부호 사용에 관해서 찾은 것을 적어보겠습니다. 국립국어원 《어문 규정》 - 〈한글 맞춤법〉 - 〈문장 부호〉입니다.
3. 물결표(~)  	 
(1) '내지'라는 뜻에 쓴다.
9 월 15 일 ~ 9 월 25 일
여기에 따르면 생몰년도 표기에서 물결표를 쓰는 것이 정상적입니다. 한편 ‘-’의 쓰임에 대해서는
2. 붙임표(-)  	 
(1) 사전, 논문 등에서 합성어를 나타낼 적에, 또는 접사나 어미임을 나타낼 적에 쓴다.
겨울-나그네 	불-구경 	손-발
휘-날리다 	슬기-롭다 	-(으)ㄹ걸
(2) 외래어와 고유어 또는 한자어가 결합되는 경우에 쓴다.
나일론-실 	디-장조 	빛-에너지 	염화-칼륨
이것이 규정의 전부입니다. ‘-’를 ‘기간’ 개념에 사용하는 경우는 나와 있지 않네요. 반드시 이 규정에 따라야 한다는 것은 아니지만, 한국어가 모국어인 사람으로서 제가 느끼기에도 생몰년도 표기에는 물결표를 쓰는 것이 자연스러울 것 같습니다. ‘2세기 - 3세기’처럼 쓰면 ‘-’는 꼭 빼기 부호처럼 느껴져서, ‘-1 세기?’ 같은 생각이 떠오릅니다. --한동성 2006년 9월 24일 (일) 12:06 (KST)답변

:일어판에서 ~를 '내지'라는 뜻으로 사용하지만, 위키에서는 깨진다 의 이유로 -를 사용하도록 했습니다.--효리♪ (H.L.LEE) 2006년 9월 25일 (월) 09:30 (KST)답변

개인적으로는 물결표(~)가 아닌 줄표(-)를 선호하는데, 어떤 글꼴에서는 물결표가 tilde(~)처럼 글줄 윗부분에 치우쳐 보이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전각 기호(∼)를 쓰기는 귀찮고요. --Sjhan81 2006년 10월 20일 (금) 11:43 (KST)답변
저는 ~를 지지합니다. 위키백과를 표기하는 기본 폰트는 사용자가 브라우저의 설정에 의거해 바꿀 수 있고, 요새 만들어지는 대부분의 글꼴은 ~가 위에 치우쳐 있지 않습니다. 분명히 '내지'의 의미이므로 ~가 옳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의 좌우에 빈칸을 둘 이유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Tomoyo 2006년 11월 20일 (월) 10:52 (KST)답변
기술적인 문제는 이를 해결하려고 해야지, 이에 백과사전의 내용을 맞춘다는 건 다소 어불성설입니다. 그렇다면 아예 애시당초 무척 간단한 형태의 프로그램을 맞추고 거기에 백과사전의 내용을 담으면 만사형통이겠네요. 한국어에서 통용되는 서술방식을 적용해서 '~'를 이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ρ 아이리디 (토론) 2006년 11월 20일 (월) 13:01 (KST)답변

전각 문장 부호에 대해서

글을 보면 쓸데없이 전각 문장 부호가 튀어나올 때가 있습니다(특히 ~). 하지만 한국어 문서에선 전각 문장 부호를 세로쓰기를 할 때 말고는 잘 쓰지 않습니다. 더구나 요즘 한국어에선 세로쓰기를 거의 하지 않고요. 그래서 말인데, 다음 내용을 위키백과:편집 지침#문장 부호에 더해야 하지 않을까요?

  • 반각 문장 부호(U+0020~U+007E)와 전각 문장 부호(U+3000, U+FF01~U+FF5E)가 따로 있을 때, 반각 문장 부호만 쓰고 전각 문장 부호는 버립니다.
    • ~ (X) → ~ (O)
    • / (X) → / (O)
    • ! (X) → ! (O)
    • ? (X) → ? (O)
    • " (X) → " (O)

--에멜무지로 2006년 9월 18일 (화) 16:26 (KST)답변

전각 문장 부호가 튀어나오는 곳이 보통 어디에 있는지 알려주신다면 도움이 되겠네요. 제가 본 기억으로는 일본어 위키백과에서 ‘무리한 번역’을 해온 것이 특히 그렇습니다. --Puzzlet Chung 2006년 9월 18일 (화) 18:22 (KST)답변
정확하게 어디라 딱 말하기는 힘들지만, 보통 ~가 전각 문자(~)로 쓰일 때가 많고, 그 다음이 소괄호인 듯합니다. --에멜무지로 2006년 9월 18일 (화) 18:34 (KST)답변

(위키백과토론:위키프로젝트 대중음악#전각 문자 사용을 자제합시다.에서)

〈곡이름〉
《음반이름》

저는 이런 표기가 왜 생겼는지 이해하기 힘듭니다. 저는 IME의 모드를 변경시켜서 저 불편한 문자를 입력하는 것 보다 복사 후 붙여넣기를 하는 것이 더 편할지경입니다. 우리 중 키보드에서 저 문자를 자연스럽게 입력할 수 있는 사람이 누구인가요? 그냥 <와 <<를 씁시다. --CN[토론/기여] 2006년 10월 18일 (목) 20:52 (KST)답변

편집 지침에서 왔기 때문에 이 문제는 저 쪽 토론에서 논의할 문제입니다. 그리고 저 문자들은 한국어 표기법에서 더 ‘정확하고 올바른’ 표기인데, 기술적으로 입력하기 힘들다는 이유로 사용하지 말자는 의견은 개인적으로 이해하기 힘듭니다. (물론 입력하기 귀찮긴 합니다만 저는 사용자:토끼군/customized.js를 써서 기술적으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 <<>> 쓰는 것보다 오히려 편하더군요.)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10월 18일 (목) 21:02 (KST)답변
그럼 편집 지침으로 이동시킵시다. --CN[토론/기여] 2006년 10월 19일 (금) 22:50 (KST)답변
위키백과 편집기에서 편집 요약 입력을 쓰는 곳 아래 쪽을 보면 "특수 문자 입력" 란이 있습니다. 그걸 이용하면 좀 더 쉽게 입력이 가능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는 이 편집 지침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한국에서 거의 쓰지 않는 표기법이죠. 주로 북한이나 중국에서 많이 쓰는 문장 부호입니다. --시간 파리 2006년 10월 19일 (목) 00:50 (KST)답변
저도 동의합니다. 한국어 사용을 하면서 일부 마니아 사이트 이외의 공간에서 전각 문자가 사용되는 곳이 있습니까? --CN[토론/기여] 2006년 10월 19일 (금) 22:40 (KST)답변
그리고 저는 〈〉의 경우 그냥 <>을 쓰는 게 낫다고 생각하고 《》의 경우는 그대로 쓰는 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에멜무지로 2006년 10월 19일 (금) 22:46 (KST)답변
저도 시간 파리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Johyeongryeol 2006년 12월 25일 (월) 00:03 (KST)답변

참고 문헌 - 바깥 고리

  • 참고 문헌 = References = 참고문헌 모음
  • 바깥 고리 = External links = 외부사이트 링크 모음

이라고 돼있는데, 조금 명확하지 않은것같습니다. 둘을 나란히 둔 걸로 봐서, 책.논문들은 참고 문헌에, 웹(ftp)사이트는 바깥 고리에 놓으라는 뜻인가요? 아니면 References처럼 본문쓸때 이용한 자료(책,사이트)는 참고 문헌에 놓고, 참조안한 사이트는 바깥 고리에 놓는 건가요?

그리고 위키백과:길라잡이 (지켜야 할 것)#출처 명시하기는 영어판 기준인데, 지침과 일관되게 할 필요도 있을것 같습니다. --Sok 2006년 10월 20일 (금) 05:54 (KST)답변

"편집 지침/보존문서1" 프로젝트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