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7년 제16주
![]() | |||||||
---|---|---|---|---|---|---|---|
일반 사랑방 | |||||||
◀ 2017년 제16주 ▶ | |||||||
2017년 4월 | |||||||
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13 | 27 | 28 | 29 | 30 | 31 | 1 | 2 |
14 | 3 | 4 | 5 | 6 | 7 | 8 | 9 |
15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17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새 글 쓰기 | |||||||
보존 문서 | /
New Page previews feature 편집
새로운 '문서 미리보기' 기능
Read this message in another language • 당신의 언어로 번역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저희 위키미디어 재단의 The Reading web 팀에선 'Hovercards'로 알려진 '문서 미리보기' 베타 기능을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의 로그인 사용자들에겐 선택적으로, 로그인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겐 기본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작업해 왔습니다. 이 '문서 미리보기' 기능은 링크된 문서를 미리 보여줌으로써 이용자들이 현재 읽고 있던 문서에서 벗어나지 않아도 관련 항목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위해 저희 팀에선 다음 한 주 동안 의견을 받은 뒤, 2017년 5월 초에 해당 기능을 임시로 활성화 시킬 예정입니다.
이번 작업의 주요 사항:
- 현재 '문서 미리보기' 베타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로그인 사용자들은 '문서 미리보기' 기능이 계속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됩니다. 이 사용자들이 향후 '문서 미리보기' 기능을 쓰려고 한다면 환경 설정으로 가서 해당 기능을 활성화시켜야 합니다.
- 로그인하지 않은 사용자들은 '문서 미리보기' 기능이 기본적으로 활성화될 것입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기능을 끄고 싶다면 미리보기를 띄웠을 때 미리보기 창 하단에 나타나는 설정(톱니바퀴) 아이콘을 눌러 비활성화시키면 됩니다.
- '내비게이션 팝업' 소도구를 활성화시킨 사용자들은 해당 소도구를 비활성화하기 전까진 '문서 미리보기' 기능을 쓸 수 없을 것입니다. 이 사용자들이 '문서 미리보기' 기능을 쓰려고 한다면 먼저 '내비게이션 팝업'을 비활성화해야 합니다.
이곳에서 '문서 미리보기' 기능에 관한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으며, 이곳에서 성능 평가를 위해 수행했던 테스트들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분의 환경 설정에 있는 '베타' 탭에서 이 기능을 활성화시켜 먼저 써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해당 기능의 토론 문서에 질문이나 의견을 남길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MediaWiki message delivery (토론) 2017년 4월 20일 (목) 01:52 (KST)
마이크로소프트웨어 편집
최근 복간된 마이크로소프트웨어에 김정정민님과 이만재 이사장님이 기고하신 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 대한 기사가 수록되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구독해 보시길 바랍니다. http://www.imaso.co.kr/?p=16832
위키데이터는 가장 큰 규모의 시맨틱웹 구현체로서 양적·질적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방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간의 복잡한 질의에 답변을 해내는 인공지능의 핵심축이 될 것이다. – 김정민
위키피디아의 내용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어떻게 고칠 수 있는지를 아는 사용자는 생각만큼 많지 않다. – 이만재
--Motoko C. K. (토론) 2017년 4월 20일 (목) 19:16 (KST)
- "위키백과" 단어의 사용을 촉진하고 장려해야 할 기관의 이사장님이 "위키피디아"... 발행쪽에서 편집한거면 모르되 원고부터 "위키피디아"였다면 좀 그렇지 않을까요. — regards, Revi 2017년 4월 23일 (일) 21:31 (KST)
- @-revi: 이사장님은 위키백과라고 쓰셨는데 기자가 편집한 것이라고 하네요. --Motoko C. K. (토론) 2017년 4월 25일 (화) 01:40 (KST)
- 기자가 왜 그렇게 편집했는지도 알 수 있을까요?--Leedors (토론) 2017년 4월 26일 (수) 17:48 (KST)
- 독자들에게 익숙한 명칭으로 하자는 의견에 따랐다고 하네요. 정확히는 "독자들의 기준선을 평균으로 보자"라는 의견이 나왔다고 말씀하셨어요. --Motoko C. K. (토론) 2017년 4월 29일 (토) 03:59 (KST)
- 기자가 왜 그렇게 편집했는지도 알 수 있을까요?--Leedors (토론) 2017년 4월 26일 (수) 17:48 (KST)
사랑방 재통합에 관한 논의 편집
사랑방 재통합에 관한 논의를 살짝(?) 던져봅니다. 2013년에 사랑방이 일반-기술-정책으로 분리된 이후 지금까지(2017년) 그 골격이 유지되고 있는데요. 이렇게 되다보니 분류 면에서는 효율화가 이루어졌지만, 공동체의 응집력면에서는 부작용을 가져온게 아닌지 우려스럽습니다. 사실 우리들도 인간인지라 한번 클릭해서 쭉 내려서 보는 걸 선호하지, 세번씩이나 클릭해서 내려서 보는 건 품도 더 많이 들 뿐더러, 번거로운 것 같거든요. 자연스럽게 사랑방 기능의 침체화를 불러온 것의 원인이 '분화'가 크게 작용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옛날처럼 소소한 이야기를 꺼내는 빈도도 낮아진 것 같습니다. 아마 '일반-기술-정책'이라는 세 분류로 나뉜게 원인이 큰 것 같습니다. 즉, 분류를 미리 정해버림으로써 자유로운 이야기를 할 기회를 어느 정도 제약하여 버렸다고 보입니다. 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해 사랑방을 과거처럼 하나로 합쳐버리는 것에 관하여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Erio-h (토론) 2017년 4월 22일 (토) 03:21 (KST)
- 찬성 우연히 보고 글 씁니다. 제가 어제 여기 '자동 필터'에 대해 글을 쓸 때도 그 글이 '기술' 관련 사항인지, '정책' 위반 사항인지, 아니면 다른 것인지 헷갈려서 망설였던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편리를 위해, 또 저와 같은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합치는 것을 찬성합니다. -71 (토론) 2017년 4월 22일 (토) 13:36 (KST)
- 찬성 사랑방의 침체를 가져온게 2016년 쯤인가에 있었던 모 사용자의 어이없는 문제제기(?)나 반친목주의 편집자들이 만들어나가는 분위기라는 걸 빼고는 옳은 지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합치는 것에 찬성합니다. - Ellif (토론) 2017년 4월 23일 (일) 13:22 (KST)
- 참고로, 백:사랑방 (전체)에서 모두 볼 수 있습니다. — regards, Revi 2017년 4월 23일 (일) 21:28 (KST)
- 보류 특수:최근바뀜과 백:사용자 모임에 개별 사랑방과 현재 주차/월차 사랑방이 노출되지 않는 것이 원인인 듯 싶습니다. 이게 노출이 안되어서 사랑방 기능의 침체화를 불러온 것일 수도 있으니까 특수:최근바뀜과 백:사용자 모임에 개별 사랑방과 현재 주차/월차 개별 사랑방을 노출시켜보고 그걸로 부족하면 재통합을 합시다. --리스토피아 (토론) 2017년 4월 24일 (월) 09:46 (KST)
- 백:사용자 모임 페이지에서, 백:전이 맨 앞에 나오도록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17년 5월 4일 (목) 23:43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