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군사령부
유엔군사령부(한국 한자: UN軍司令部, 영어: United Nations Command, UNC) 혹은 국제연합군 사령부(한국 한자: 國際聯合軍司令部)는 6.25 전쟁을 계기로 대한민국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유엔의 사령부이다. 유엔 창설 이래 최초로 유엔군 사령부의 지휘 하에 창설된 다국적 연합군이자, 유엔 헌장의 집단안전보장 제도를 실현한 최초의 사례이다. 간단히 유엔군이라고 부르며, 현재까지 유엔군 사령관은 주한 미군 사령관이 겸직한다.
유엔군 사령부 | |||||
---|---|---|---|---|---|
United Nations Command 國際聯合軍 司令部 | |||||
![]() UNC 겸 ROK-US CFC을 방문한 힐러리 국무장관과 군인들, 2009년 2월 20일 촬영 | |||||
| |||||
활동 기간 | 1950년 7월 24일 ~ 현재 | ||||
국가 | ![]() ![]() ![]() ![]() ![]() ![]() ![]() ![]() ![]() ![]() ![]() ![]() ![]() ![]() ![]() ![]() ![]() ![]() | ||||
소속 | 미군, 영국군, 캐나다군, 호주군, 뉴질랜드군, 남아프리카 공화국군, 프랑스군, 이탈리아군, 벨기에군, 네덜란드군, 노르웨이군, 그리스군, 튀르키예군, 덴마크군, 필리핀군, 태국군, 콜롬비아군 | ||||
종류 | 사령부 | ||||
명령 체계 | 주한 미군 | ||||
본부 | 경기도 평택시 캠프 험프리스 | ||||
별칭 | UNC 유엔사 | ||||
색 | 하늘색, 하양 | ||||
참전 | 6.25 전쟁 | ||||
웹사이트 | https://www.unc.mil/ | ||||
지휘관 | |||||
지휘관 | 폴 러캐머라 | ||||
주요 지휘관 | 빈센트 브룩스 |
역사 편집
자유 진영 중 6.25 전쟁에 동참한 참전 16개국 등의 군대를 통솔하기 위해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라 1950년 7월 24일 도쿄에서 유엔사령부 총본부가 설립되었다. 정전협정이 체결된 1953년 7월 27일에 유엔사령부의 전력은 총 932,964명으로 가장 많았다. 1957년에 유엔사령부는 미국 제8군과 함께 용산기지로 이전하였다. 당시 사령부가 옮겨갈 때, 일부 소규모 부대가 일본에 남아 후방사령부가 되었고 캠프 자마에 주둔하다가, 2007년 11월 2일 요코타 비행장으로 옮겨갔다. 2018년 한미연합군사령부와 함께 평택 이전을 시작하였으며, 2022년에 완전하게 이전하였다.
임무 편집
1978년 한미연합군사령부가 설립되면서 대한민국 국군과 주한 미군에 대한 지휘권을 넘겼다. 군사정전위원회의 가동,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운영, 판문점에 주둔하는 공동경비구역 경비대대 파견 및 운영, 비무장 지대에 있는 경계초소의 운영, 북한과의 장성급 회담 등 정전협정과 관련한 임무만 맡고 있다.[1]
조직 편집
지휘부 편집
부대 편집
기구 편집
- 현재
- 유엔 기념 공원 국제관리위원회 (Commission for the UNMCK); 1974년 ~ 현재
- 중립국 감독위원회 (NNSC); 1953년 7월 27일 ~ 현재
- 유엔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1953년 7월 27일 ~ 현재
- 과거
회원국 편집
- 2023년 7월 현재: 17개국[3][4][5]
- 6.25 전쟁 유엔군 파병 국가: 14개국(전투부대 파병국가 16개국 중 에티오피아와 룩셈부르크 제외)
- 6.25 전쟁 의료지원단 파견 국가: 3개국(의료지원단 파견 국가 5개국 중 스웨단과 인도 제외)
- 참고로 대한민국은 유엔군사령부 회원국이 아니며 2023년 회원국 가입을 추진하고 있다.[6]
시설 편집
전방사령부 편집
후방사령부 편집
6.25 전쟁 참전 국가 편집
전투부대 편집
- 미국: 보병 7개 사단, 해병 1개 사단, 해군 함정 261척, 공군 66개 대대 등.
- 영국: 보병 2개 여단, 해병 1개 특공대, 해군 함정 17척 등.
-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해군 함정 3척, 공군 1개 전투비행대대, 1개 수송편대 등.
- 네덜란드: 판 회츠 연대, 해군 구축함 1척 등.
- 캐나다: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연대, 캐나다 왕립 연대, 해군 구축함 3척, 공군 1개 수송대대 등.
- 프랑스: 프랑스 대대, 해군 구축함 1척 등.
- 뉴질랜드: 포병 1개 대대, 해군 프리깃함 1척 등.
- 필리핀: 필리핀 한국 원정군
- 튀르키예: 튀르키예 여단
- 태국: 제21보병연대, 해군 프리깃함 2척, 수송선 1척, 공군 1개 수송편대.
- 남아프리카 공화국: 제2편대
- 그리스: 그리스 한국 원정군, 1개 수송편대 등
- 벨기에 + 룩셈부르크: 벨기에-룩셈부르크 대대
- 에티오피아: 칵뉴 대대
- 콜롬비아: 콜롬비아 대대, 해군 순양함 1척.
의료지원단 편집
- 스웨덴: 스웨덴 적십자 야전병원 (SRCFH)
- 인도: 인도 육군 제60공수야전의무대
- 덴마크: 덴마크 적십자 병원선 '유틀란디아 호'
- 노르웨이: 노르웨이 육군 이동외과병원 (Norwegian Mobile Army Surgical Hospital, NORMASH)
- 이탈리아: 이탈리아 제68적십자병원
- 서독: 서독 적십자 병원
일본과의 문제 편집
전략커뮤니케이션처(J5 Communications Strategy Division)에서 2019년 5월 9일에 발행한 《2019년 전략 다이제스트》의 57쪽에 실린 문장에 대해 논쟁이 일어났다. 2019년 7월 11일, 대한민국 언론은 한국 전쟁이 재발할 때, 전력제공국의 군대가 모여들게 될 유엔군 사령부가 관할하는 7개의 후방기지가 있는 일본과 전력제공국에 대한 합의를 한다면, 자위대가 한반도에 투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돌이 있을 수 있다고 보도하였다.[9]
유엔군 사령부 공보부는 같은 날에 곧바로 이러한 언론의 보도가 잘못되었으며, 일본을 전력제공국으로 제안하지도 않았고, 일본 정부도 바란 적이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그리고 유엔군 사령부를 작전기능을 가진 사령부가 아닌 대한민국 국군 측의 4성 장군이 이끄는 연합사령부로 전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10]
주한 미군 사령관 임기를 마치고 퇴역한 미국 육군 대장인 빈센트 브룩스는 유엔군 사령부가 해체될 시, 유엔군 사령부가 관할하는 7개의 후방기지 때문에 일본 정부와 조율해야 한다고 말하였다.[11]
같이 보기 편집
참고 편집
각주 편집
- ↑ “주한 유엔군사령부”. 시사상식사전. 2019년 5월 12일에 확인함.
- ↑ “국제연합”. 2023년 8월 14일에 확인함.
- ↑ 文정부, '6·25지원국' 덴마크에 '유엔사 제외' 일방통보
- ↑ 국방부 "6·25 기여 형태와 무관하게 회원국의 유엔사 참여 가능"
- ↑ 美, 유엔사 재활성화 ‘동아시아판 나토’ 만든다
- ↑ 정부, 올해 '유엔사 회원국' 가입 추진
- ↑ sd2019-eng.pdf “2019 Strategic Digest”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DF) (영어). J5 Communications Strategy Division: 57. 2019년 11월 11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FKJ5-SC IP 2019-Digest-KOREAN 20190703.pdf?ver=2019-07-09-011123-880 “2019 전략 다이제스트”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DF) (영어). 주한미군 사령부 기획참모부 전략커뮤니케이션처: 57(61). 2019년 11월 11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김귀근 (2019년 7월 11일). “유엔사, 한반도 유사시 日 전력제공 추진…자위대 투입 길 열리나”. 연합뉴스. 2019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Col. Allen D. Leth, 편집. (2019년 7월 11일). “UNC Update”. 《United States Forces Korea》 (보도 자료) (영어). 번역 안송이. 2019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김원식 (2019년 10월 24일). “브룩스 전 주한 미군 사령관 “유엔사 해체, 일본과 조율해야” 발언 논란”. 민중의소리. 2019년 11월 11일에 확인함.
자료 편집
- “United National Command” (영어). 주한 미군. 201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United Nations Command‐Rear Fact Sheet” (PDF) (영어). 주한 미군. 2015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 유엔군사령부 - 공식 웹사이트
- 한국-유엔사 친선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