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축구단
육군 축구단은 육군 소속 축구단으로 실업축구에 참가하였다. 초기에는 육군 예하 특무부대 (1953년 창단), 첩보부대 (?), 공병단(한국전쟁 중 창단), 병참단 (1953년 한국전쟁 이후 창단), 헌병감실(?), 육군보병학교 (?) 등 각 부대별로 축구단이 존재하여 각종 대회에 참가하였다.[1]
전체 명칭 | 육군 웅비 축구단 | ||
---|---|---|---|
창단 | 1968년 11월 | ||
해단 | 1983년 12월 | ||
|
그러나 1965년 경 병참단을 제외한 육군의 주요 축구단들이었던 특무대, 헌병감실, 공병단 등이 공병단 축구단을 위주로 통합이 되어 단일팀이 되어 병참단과 공병단 축구단 2개 축구단으로 재편되었다.[2] 1968년말 이마저도 재정상의 문제로 두 구단이 통합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육군을 대표하는 하나의 축구단이 만들어진다.[3][4]
그 후 이 축구단이 계속해서 원호단,[5] 충의, 1983년부터 웅비[6][7] 등으로 변경되며 1984년 국군체육부대로 3군 축구단이 통합하며 상무 축구단일 될때까지 이어지게 된다. 해군 축구단과 라이벌 관계였으며[8] 그 후 1984년 1월 국군체육부대로 통합되면서 해군 축구단, 공군 축구단 등과 함께 상무 축구단이 되었다.[9]
육군 내 주요 축구단 통폐합사 편집
1965년 이전 편집
- 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 육군 첩보부대 축구단
- 육군 병참단 축구단
- 육군 헌병감실 축구단
- 육군 공병단 축구단
- 육군 보병학교 축구단을 비롯 육군 예하부대 축구단 다수
1965년 ~ 1968년 편집
1969년 이후 편집
- 육군 축구단
(공병단과 병참참 축구단이 통합하여 대표팀 성격의 하나의 축구단으로 재편되었으며
원호단, 충의, 웅비 등으로 구단명칭 변경)
유명 선수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참고 자료 편집
- ↑ “국군축구의 현황”. 동아일보. 1962년 4월 21일.
- ↑ “스포츠 일 년(3) 축구”. 동아일보. 1965년 12월 22일.
- ↑ “구실은 재정상 애로”. 경향신문. 1968년 11월 4일.
- ↑ “병참, 공병감실 축구팀 병합”. 동아일보. 1968년 11월 5일.
- ↑ “육군 소속 호칭변경 경기단체별로 통보”. 경향신문. 1978년 6월 9일.
- ↑ “육군체육지도대 발족”. 경향신문. 1982년 11월 1일.
- ↑ “실업축구도 운영은 프로처럼 본거지제도 채택”. 동아일보. 1982년 12월 15일.
- ↑ “우리는 맞수 축구 충의와 해군”. 경향신문. 1981년 2월 13일.
- ↑ “군경기단체 국군체육부대로 통합 팀 명칭 상무 마스코트는 불사조로”. 동아일보. 1984년 1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