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죽군(陰竹郡)은 경기도 이천시 남부 지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지금의 장호원읍, 설성면, 율면에 해당된다.

유래 편집

삼한시대의 노람국(怒藍國)을 삼국시대의 노음죽현(奴音竹縣)에 비정되는데 이는 노람이 노음과 비슷하게 여기기 때문이다. 옛 음죽군의 중심인 장호원은 본래 장해원(長海院)이라는 역원(驛院)에서 유래되는데 일제시대에 갑자기 장호원(長湖院)으로 바뀌었고 이 경위가 석연치 않다고 한다. 장호원읍을 흐르는 청미천(淸渼川)은 원래 천민천(天民川)인데 대동여지도의 작성과정에서 천미천(天尾川)으로 오기(誤記)가 되었고 나중에 지금의 청미천이 된 것이라고 한다.[1] 장호원 읍과 설성면의 경계를 이루는 설성산에는 설성(雪城)이라는 성이 있는데 신라시대에 눈이 띄를 이루며 내려 쌓인 흔적을 따라 성을 축조했기 때문에 지은 이름이라고 한다.

역사 편집

  • 삼한시대에 마한의 노람국이었다. 서기 9년 온조왕 27년에 마한이 백제에 병합되자 백제의 지배체제하에서 소국체제가 계속되었다.
  • 서기 475년 고구려의 대대적인 남침으로 한성백제가 패망하자 고구려군에 점령당해 노음죽현(奴音竹縣)이 되었다.
  • 5세기 말에 신라영토가 되었다. 757년 경덕왕 16년에 전국의 행정체제및 행정단위의 명칭을 개혁하면서 음죽현(陰竹縣)으로 개명하고

개산군(介山郡)의 영현이 되었다. 이후 음죽이라는 이름은 별 변동없이 이어졌다.

-음죽현의 치소는 지금의 장호원읍 선읍리에 있었다. 선읍리를 중심으로 현내면이 되었다.

음죽군 산하에 현내면, 동면, 남면, 북면, 서면, 상율면, 하율면의 7면이 있었다.

  • 1910년 북면과 서면이 각각 원북면과 근북면으로 개칭되었다.
  • 일제강점기인 1914년에 일제에 의한 행정폐합으로 이천군에 합병되었다. 이 과정에 일부 마을이 음성군에 분할 편입되었다.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음죽군 군내면(郡內面) 이천군 장호원읍 방추리, 선읍리
음죽군 동면(東面) 나래리, 노탑리, 와현리, 이황리, 풍계리
음죽군 남면(南面) 대서리, 송산리, 어석리, 오남리, 장호원리, 진암리
음죽군 서면(西面) 이천군 설성면 금당리, 신필리, 장능리, 제요리, 행죽리
음죽군 근북면(近北面) 상봉리, 송계리, 암산리, 자석리
음죽군 원북면(遠北面) 대죽리, 수산리, 장천리
음죽군 상율면(上栗面) 이천군 율면 본죽리, 북두리, 산성리, 산양리, 석산리, 오성리
음죽군 하율면(下栗面) 고당리, 신추리, 월포리, 총곡리
  • 1915년 청미면 관내 31개 리동을 13개리로 개편하면서 대서리 지역 일부가 설성면에 편입되었다.
  • 1941년 10월 1일 청미면이 장호원읍으로 승격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사울의칼'이 출판하는 인터넷 잡지”. 2016년 3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2월 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