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윤 (야구인)
이상윤 (李相潤, 1960년 12월 21일 ~ )은 KBO 리그 해태 타이거즈의 투수였다. 우투우타로,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의 주역으로[1] 베스트 10에 우완 투수로 뽑힌 해태 타이거즈 초창기의 최고 에이스였다. '원자탄'이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로 당시 시속 145km를 넘나드는 강속구에 제구력도 뛰어나 선동열이 입단하기 전까지 해태의 초대에이스였으며 본인이 다닌 동신중학교 측에서 이 학교와 같은 재단인 동신고등학교 진학을 원했으나[2] 광주일고 진학을 선택했고 이 과정에서 동신고가 강력하게 반발하여 동신고 야구부는 1975년 말 해체됐으며 중학교 때 포수, 고등학교 1학년 때 3루수로 활약했지만[3] 고등학교 2학년 때 강한 어깨를 인정받아[4] 투수로 전향했다.
| ||||
기본 정보 | ||||
---|---|---|---|---|
국적 |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60년 12월 21일 | (64세)|||
출신지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 |||
신장 | 182 cm | |||
체중 | 88 kg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
수비 위치 | 투수 | |||
프로 입단 연도 | 1982년 | |||
드래프트 순위 | 1983년 2차 지명 (해태 타이거즈) | |||
첫 출장 | KBO / 1982년 4월 15일 광주 대 MBC전 선발 등판 | |||
마지막 경기 | KBO / 1989년 4월 19일 광주 대 태평양전 선발 등판 | |||
경력 | ||||
선수 경력
코치 경력
| ||||
1983년 해태 타이거즈 첫 우승 당시 20승(13선발승)을 거두고도, 장명부(30승)(28선발승)에게 밀려 2위를 하였는데[5] 전반기의 오버페이스, 후반기의 체력조절도 하나의 이유였으며(장명부(28선발승) 김시진(14선발승)에 이어 선발승 3위) 이 해의 무리 탓인지 팔을 보호하기 위해 오른팔에 깁스를 하여[6] 다음 해에 10승(4선발승)으로 추락했고 1985년에는 아예 1승도 올리지 못했다.
역대 20승 투수 중 다승부분 타이틀을 획득하지 못한 선수는 이상윤이 유일하며 이후 1986년 10선발승으로 재기에 성공하여 80년대 초중반 김용남과 함께 타이거즈를 대표하는 투수에 올랐고, 1989년 시즌을 끝으로 은퇴하였는데 1987년에는 무릎수술[7] 후유증과 팔꿈치 부상[8]에 시달려 2승(모두 선발)으로 추락했으나 1988년 시즌에는 마지막 불꽃을 불태우며 16승(13선발승으로 윤학길과 선발승 공동 2위) 6패, 평균자책 2.89를 기록하며 선동렬(16승(9선발승) 5패)과 함께 쌍두마차로 해태의 통합우승 및 3연패에 크게 기여했다.
그 뒤, 1990년부터 2000년까지 해태 타이거즈에서 투수코치를 역임했다가 2001년부터 같은 팀(후반기부터 KIA)에서 수석코치를 맡았으며[9] 2000년 말 3년 계약으로 부임했던 김성한 감독이 2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2002년부터) 공로를 인정받아 2003년 시즌 후 2년 재계약하자[10] 투수코치로 복귀했다.
하지만, 김성한 감독이 성적부진으로 2004년 시즌 중 도중하차한 데다 같은 해 말 유남호 감독이 부임하면서 생긴 개편에 따라 팀을 떠나[11] 삼성 라이온즈 2군 투수코치로 자리를 옮겼으나 2군 운영에 변화를 주기 위한 삼성 측의 판단 아래 2005년 말 팀을 떠났으며[12] 현재는 광주에서 마트사업을 하고 있다.
학교
편집지도자 경력
편집통산 기록
편집한국시리즈 우승 4차례- 1983, 1986, 1987, 1988
연도 | 소속 | 평균 자책 | 경기 | 승리 | 패전 | 세이브 | 이닝 | 피안타 | 사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
1982 | 해태 | 3.88 | 23 | 7 | 5 | 0 | 102 | 87 | 64 | 58 | 51 | 44 |
1983 | 2.67 | 46 | 20 | 10 | 6 | 229 1/3 | 181 | 99 | 178 | 83 | 68 | |
1984 | 2.85 | 40 | 10 | 13 | 8 | 211 2/3 | 186 | 83 | 128 | 75 | 67 | |
1985 | 10.80 | 2 | 0 | 2 | 0 | 5 | 9 | 3 | 2 | 6 | 6 | |
1986 | 2.97 | 21 | 10 | 5 | 0 | 115 | 91 | 54 | 47 | 45 | 38 | |
1987 | 4.93 | 12 | 2 | 4 | 0 | 42 | 46 | 20 | 13 | 26 | 23 | |
1988 | 2.89 | 30 | 16 | 6 | 0 | 137 | 98 | 79 | 55 | 56 | 44 | |
1989 | 16.20 | 1 | 0 | 1 | 0 | 1 2/3 | 4 | 2 | 1 | 3 | 3 | |
통산 | 8시즌 | 3.13 | 175 | 65 | 46 | 14 | 843 2/3 | 702 | 404 | 482 | 345 | 293 |
참고 문서
편집'천하무적' 해태타이거즈 '올드보이'들의 현주소/신동아(050113)|작성자 energy
각주
편집- ↑ 김성태 (2004년 9월 5일). “타이거즈 첫 20승 에이스 이상윤, 그저 그런 2인자였다?[타이거즈 열전]”. 스포츠한국. 2020년 10월 19일에 확인함.
- ↑ “無斷缺席(무단결석)들어除籍(제적) 光州(광주)동신中(중) 李相潤(이상윤)군에”. 동아일보. 1975년 12월 11일. 2020년 10월 19일에 확인함.
- ↑ “昨年(작년)까지 三壘手(삼루수)‥‥첫투수로 10회延長戰(연장전)서 決勝(결승)홈런날려”. 조선일보. 1977년 6월 14일. 2020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 김성태 (2004년 9월 5일). “타이거즈 첫 20승 에이스 이상윤, 그저 그런 2인자였다?[타이거즈 열전]”. 스포츠한국. 2020년 10월 19일에 확인함.
- ↑ 김성태 (2004년 9월 5일). “타이거즈 첫 20승 에이스 이상윤, 그저 그런 2인자였다?[타이거즈 열전]”. 스포츠한국. 2020년 10월 19일에 확인함.
- ↑ 김종건 전문기자 (2012년 6월 12일). “[김종건의 Let’s Go Baseball] 김응룡은 왜 우승 주축들을 내쳤나…”. 스포츠동아. 2020년 10월 19일에 확인함.
- ↑ “'87프로야구 絕對强者(절대강자)는 없다”. 동아일보. 1987년 3월 3일. 2020년 10월 19일에 확인함.
- ↑ “프로야구 靑龍(청룡),호랑이에 설욕…3위 되찾아”. 동아일보. 1987년 5월 4일. 2020년 10월 19일에 확인함.
- ↑ 유해길 (2000년 11월 1일). “[프로야구]해태, 대폭적 물갈이 전망”. 세계일보. 2020년 10월 19일에 확인함.
- ↑ “<프로야구소식> 박관용 국회의장, KS1차전 시구”. 연합뉴스. 2003년 10월 16일. 2020년 10월 19일에 확인함.
- ↑ “<프로야구소식> 기아, 계약해지 코치진 확정”. 연합뉴스. 2004년 10월 14일. 2020년 10월 19일에 확인함.
- ↑ 안승호 (2005년 10월 23일). “삼성 ‘젊은 피’ 키운다”. 경향신문. 2020년 10월 1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