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명

이수명(1965년 서울 ~ )은 대한민국의 시인, 평론가, 번역가이다.
![]() | |
---|---|
작가 정보
| |
출생 | 1965년 서울 |
국적 | ![]() |
직업 | 시인 평론가 번역가 |
장르 | 시, 평론 |
서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했다. 1994년 《작가세계》 겨울호에 <우리는 이제 충분히> 외 4편의 시로 작가세계 신인상을 받으면서 문단에 데뷔하였다. 2007년 김구용에 관한 연구로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낯설고 난해한 시풍으로 알려져 있지만,[1] 고전주의자[2] 라거나 당대적[3]이라는 평도 있다. 2001년 박인환문학상, 2011년 현대시작품상,[4] 2012년 노작문학상,[5] 2014년 이상시문학상[6] 을 수상했다.
저서 편집
시집 편집
- 《새로운 오독이 거리를 메웠다》 (세계사, 1995)
- 《왜가리는 왜가리 놀이를 한다》 (세계사, 1998)
- 《붉은 담장의 커브》 (민음사, 2001)
- 《고양이 비디오를 보는 고양이》 (문학과지성사, 2004)
- 《언제나 너무 많은 비들》 (문학과지성사, 2011)
- 《마치》 (문학과지성사, 2014)
- 《물류창고》 (문학과지성사, 2018)
연구서 편집
- 《김구용과 한국 현대시》 (한국학술정보, 2008)
시론집 편집
- 《횡단》 (문예중앙, 2011)
- 《표면의 시학》 (난다, 2018)
평론집 편집
- 《공습의 시대》 (문학동네, 2016)
역서 편집
수상경력 편집
각주 편집
- ↑ 오정국 (1998년 7월 13일). “‘빛나는 상상력’ 3人3色의 詩語”. 문화일보. 2010년 7월 25일에 확인함.
- ↑ 고두현 (2001년 9월 18일). “인생의 본질 꿰뚫는 `直觀의 힘` .. 이수명 시집 `붉은 담장의 커브'”. 한국경제신문. 2010년 7월 25일에 확인함.
- ↑ 김정환 (2001년 10월 25일). “정치적 회색의 모험”. 씨네21. 2010년 7월 25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현대시작품상에 이수명 시인”. 조선일보. 2011년 3월 18일. 2011년 6월 5일에 확인함.
- ↑ “노작문학상에 이수명 시인”. 한국일보. 2012년 7월 20일. 2012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 ↑ “이상시문학상 이수명 시인 “현대인의 슬픈 삶을 詩로””. 영남일보. 2014년 11월 19일. 2015년 2월 5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 편집
- 신형철 (2009년 9월 25일). “소년과 소녀가 손을 잡으면”. 한겨레21. 2010년 7월 25일에 확인함.
- 최동호, 신범순, 정과리, 이광호 (2007년 11월 26일). 《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선집 1900~2000 시》. 서울: 문학과지성사. 1513~1520쪽. ISBN 9788932016825.
이 글은 시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