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용 (1920년)
이진용(李珍鎔, 1920년 11월 1일 ~ 1991년 2월 16일)은 대한광복군 위관을 거쳐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군관 복무를 한 전력이 있는 대한민국의 군인·언론기업가·정치가·사회기관단체인이다.
이진용
李珍鎔 | |
대한민국 국방부 방첩대 방첩특무담당관 (大韓民國 國防部 防諜隊 防諜特務擔當官) | |
임기 | 1950년 5월 20일 ~ 1950년 8월 1일 |
---|---|
대통령 | 이승만 |
부통령 | 이시영 |
총리 | 신성모 국무총리 |
장관 | 신성모 국방부 장관 |
차관 | 장경근 국방부 차관 |
신상정보 | |
출생일 | 1920년 11월 1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경기도 양주 |
사망일 | 1991년 2월 16일 | (70세)
사망지 | ![]() |
본관 | 전주(全州) |
경력 | 한국독립당 초급군사행정위원(1942년) 서울신문 상무이사 민주공화당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상임위원 국민당 최고위원 대한빙상협회 회장 한국국민당 상임고문 겸 최고위원 무소속 국회의원 대한민국 무소속 국회의원협회 원내총무 신민주공화당 상임위원장 겸 고문 |
정당 | 무소속 |
배우자 | 이확실(李確實)[1] |
자녀 | 슬하 3남 1녀 |
친인척 | 장인 이재국(李宰國) |
별명 | 호(號)는 비촌(飛村) |
종교 | 유교(성리학) → 불교 |
서훈 | 1963년 서울신문 감사패 |
군사 경력 | |
군복무 | ![]() |
복무기간 | 1941년 ~ 1957년 |
최종계급 | ![]() |
지휘 | 대한민국 육군 특무부대 대공과 과장 대한민국 육군 특무부대 특무처 처장 대한민국 육군본부 휼병감 대한민국 육군본부 정병감 |
근무 | 대한민국 육군 특무부대 대한민국 육군본부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제주 4·3 사건 여순 사건 한국 전쟁 |
생애편집
일생편집
본관(관향)은 전주(全州)이고 아호(雅號)는 비촌(飛村)이다. 그는 일제 강점기 조선 경기도 양주에서 조선 제14대 군주 선조 이연(宣祖 李昖)의 친서손자(親庶孫子)이자 의안군 이성(義安君 李珹)의 양자(養子)인 능원군 이보(綾原君 李俌)의 직계 후손으로 출생하였다.
일제 강점기 말기 시기이던 1941년 중화민국 본토에서 대한광복군에 소위 계급으로 입대를 하여 1943년 대한광복군 중위로 진급을 하였다. 이후 1945년 8월 15일을 기하여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전될 시기까지 김동석(金東石)· 고정훈(高貞勳) 등과 아울러 대한광복군 중위 신분으로 복무를 하였으며 중화민국 장쑤 성 상하이에서 8·15 조선 광복을 목도하였다.
같은 해 1945년 10월에 귀국을 하였으며 이듬해 1946년 대한민국 군사영어학교를 1기로 졸업하여 대한민국 육군 국방경비대 대위로 임관하였고 미 군정 남조선 과도정부 시기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초기 시기까지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복무를 하였다. 그리고 1947년 2월에는 남조선 과도정부 국방경비대 육군 소령 진급을 하였으며 대한민국 육군에 복무를 하던 시절에는 1947년 제주 4·3 사건과 이듬해 1948년 여순 사건과 1950년 6·25 한국 전쟁에도 참전했다.
1953년 종전 이후에는 대한민국 육군 특무부대 대공과 과장을 거쳐 육군 특무부대 특무처 처장 직위를 지낸 후 대한민국 육군본부 휼병감을 거쳐 육군본부 정병감을 역임하였다. 육군본부 정병감 직위 및 육군 대령 계급 시절이었던 1956년에는 육군 특무부대장 김창룡(金昌龍) 장군 암살 사건의 배후 교사 및 방조범으로 군사재판(육군 군법회의)에 전격 기소 처분되어 군사재판 끝에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2차 대전 때 항일 전투와 한국전 때 남침 북괴군 격퇴 등의 공훈이 참작되어 무기징역형 감형되었다. 끝내 1957년 징역 3년형이 최종 확정 선고되었고 대한민국 육군 대령으로 강제 예편되었으며 1959년에 만기출감하였다.
이후 서울신문 상무이사를 역임하는 등 언론기업가로 활약을 하다가 정계에 입문을 하여 민주공화당 국회의원과 무소속 국회의원을 거쳐 만년에는 신민주공화당 상임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사망편집
그는 1991년 2월 16일, 지병으로 인하여 부인 이확실(李確實, 본관(관향)은 경주(慶州)과 슬하 3남 1녀를 남기고 경기도 하남에서 향년 72세로 사망하였다.
학력편집
- 1941년 경성 보성전문학교 전문학사
- 1946년 대한민국 군사영어학교 1기
- 1947년 대한민국 조선경비보병학교 졸업
- 1947년 대한민국 통위부 보병학교 졸업
- 1948년 대한민국 육군참모학교 졸업
- 1949년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졸업
- 1950년 대한민국 국방부 헌병학교 졸업
- 1951년 대한민국 육군기갑학교 졸업
- 1961년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6기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제6대 총선 | 국회의원(경기 의정부시·양주군) | 6대 | 민주공화당 | 24.61% | 17,855표 | 2위 | 낙선 |
제7대 총선 | 국회의원(경기 의정부시·양주군) | 7대 | 민주공화당 | 54.76% | 54,112표 | 1위 | |
제8대 총선 | 국회의원(경기 의정부시·양주군) | 8대 | 국민당 | 29.11% | 31,671표 | 2위 | 낙선 |
제9대 총선 | 국회의원(경기 의정부시·양주군·파주군) | 9대 | 무소속 | 19.16% | 35,768표 | 2위 | |
제10대 총선 | 국회의원(경기 의정부시·양주군·파주군) | 10대 | 무소속 | 14.82% | 35,586표 | 3위 | 낙선 |
제13대 총선 | 국회의원(경기 남양주군) | 13대 | 신민주공화당 | 31.86% | 24,447표 | 2위 | 낙선 |
각주편집
- ↑ 본관(관향)은 경주(慶州)이며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경주 출생.
참고 자료편집
- 조인스 인물정보 -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령 이진용 前 신민주공화당 상임위원장
- 두산대백과사전 -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령 이진용 前 신민주공화당 상임위원장
- 이진용 - 대한민국헌정회
- 경기도 양주 향토문화대전 -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령 이진용 前 신민주공화당 상임위원장
- 大韓民國 國軍 Noblesse oblige
- 백범 김구 선생 암살 사건 대한민국 육군 군사재판 기록(안두희 육군 소위 무기징역형)
- 김창룡 장군 암살 사건 미국 국무부 문서
- 김창룡 장군 암살 사건 대한민국 민사재판 일지(육군 소령 위장 범행자 송용고 민간인·육군 중위 위장 범행자 신초식 민간인 사형, 예비역 육군 중사 도진희 자유당 국회의원 징역 2년 6월형)
- 김창룡 장군 암살 사건 대한민국 육군 군사재판 일지(허태영 육군 대령·이유회 육군 중사 사형, 강문봉 육군 중장 무기징역형, 공국진 육군 준장·허병익 육군 중위 징역 5년형, 이진용 육군 대령 징역 3년형)
외부 링크편집
전임 강승구 |
제7대 국회의원(의정부시·양주군)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민주공화당 → 무소속 → 국민당 |
후임 이윤학 |
전임 (의정부시·양주군)이윤학 (파주군)박명근 |
제9대 국회의원(의정부시·양주군·파주군)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무소속 → 민주통일당 → 무소속 박명근 |
후임 박명근·김형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