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도시철도
인천 도시철도(仁川都市鐵道)는 인천교통공사가 독점 운영하고 있는 도시 철도 체계이다.
![]() 인천 도시철도 노선도 | |
정보 | |
---|---|
종류 | 도시철도 |
운행 지역 | ![]() |
상태 | 영업 중 |
노선 수 | 2 |
역 수 | 56 |
운영 | |
개통일 | 1999년 10월 6일 |
소유자 | 인천광역시청 |
운영자 | 인천교통공사 |
시설 | |
총 노선 연장 | 59.4km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1999년 10월 6일에 개통되었으며, 2009년 국제업무지구역까지 연장되었고, 2020년 12월 송도달빛축제공원역까지 연장되었다. 2016년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이 신설되어 시민의 편리성을 제공해 주고 있다. 2021년 5월 22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석남역이 연장 개통되었고, 서울 지하철 7호선 부천 및 인천 구간의 열차 승무는 인천교통공사에서 담당한다.
노선 편집
노선색 | 노선명 | 기점 | 종점 | 연장 | 역 수 | 운영 |
---|---|---|---|---|---|---|
1호선 | 계양 | 송도달빛축제공원 | 30.3km | 30 | 인천교통공사 | |
2호선 | 검단오류 | 운연 | 29.1km | 27 |
1호선 편집
계양구의 계양역과 연수구의 송도달빛축제공원역을 잇는다. 1999년 10월 6일에 개통하였으며, 노선 연장은 30.3 km이다. 2005년 일평균 승차인원은 약 14만 3천명, 일평균 하차인원은 약 13만 3천명이다. [1]
2호선 편집
서구의 검단오류역과 남동구의 운연역을 잇는다. 당초에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동일한 중전철로 계획되었으나 경전철로 변경되었다. 2016년 7월 30일에 개통이 되었다.
3호선 편집
2020년에 발표되는 2025년 인천도시기본계획에는 도시 내를 일주하는 대순환선으로 계획되어 있고, 인천대공원~도림동~논현지구~송도국제도시~시민공원을 잇는 남부순환선을 우선 착공한다.
수송 인원 편집
다음 자료는 2017년 7월의 인천 도시철도 수송 실적이다.
노선명 | 노선 구간 | 승차 인원 | 하차 인원 | ||
---|---|---|---|---|---|
한 해 | 하루 평균 | 한 해 | 하루 평균 | ||
1호선 | 계양 - 국제업무지구 | 85,681,999 | ? | 42,527,516 | ? |
2호선 | 검단오류 - 운연 (서창) | 20,311,956 | 0 | 20,324,695 | 0 |
사진 편집
-
인천 1호선 인천시청역
-
인천 2호선 인천시청역
-
인천 1호선
-
인천 2호선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인천지하철 수송실적”. 2007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3월 1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