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추홀구의 행정 구역
(인천 미추홀구의 행정 구역에서 넘어옴)
미추홀구의 행정 구역은 21 행정동과 7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추홀구의 면적은 24.85이며, 인구는 2012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173,785세대, 430,535명이다.[1]
행정 구역
편집행정동 | 법정동 | 한자 | 면적 | 인구 |
---|---|---|---|---|
숭의1·3동 | 숭의동 | 崇義洞 | 0.96 | 12,740 |
숭의2동 | 0.52 | 10,325 | ||
숭의4동 | 0.77 | 16,146 | ||
용현1·4동 | 용현동 | 龍現洞 | 1.25 | 20,579 |
용현2동 | 0.53 | 17,273 | ||
용현3동 | 0.45 | 9,582 | ||
용현5동 | 1.82 | 37,079 | ||
학익1동 | 학익동 | 鶴翼洞 | 5.06 | 35,355 |
학익2동 | 0.79 | 23,201 | ||
도화1동 | 도화동 | 道禾洞 | 0.92 | 19,694 |
도화2·3동 | 2.93 | 21,555 | ||
주안1동 | 주안동 | 朱安洞 | 0.61 | 10,522 |
주안2동 | 0.93 | 26,656 | ||
주안3동 | 0.46 | 12,948 | ||
주안4동 | 0.96 | 25,467 | ||
주안5동 | 1.17 | 23,805 | ||
주안6동 | 0.62 | 22,329 | ||
주안7동 | 0.52 | 16,814 | ||
주안8동 | 0.84 | 24,711 | ||
관교동 | 관교동 | 官校洞 | 0.89 | 18,824 |
문학동 | 문학동 | 文鶴洞 | 1.73 | 16,827 |
연혁
편집법률 제1919호 인천시구설치에관한법률 신 행정구역 남구 도화동, 주안동, 구월동, 간석동, 만수동, 장수동, 서창동, 운연동, 남촌동, 수산동, 도림동, 논현동, 고잔동, 우기동, 관교동, 문학동, 선학동, 연수동, 청학동, 동춘동, 용현동, 학익동, 옥련동, 숭의동
개편 전 개편 후 남구 구월동, 간석동, 남촌동, 만수동, 장수동, 서창동, 운연동, 도림동, 수산동, 논현동, 고잔동, 선학동일부,동춘동 일부 남동구 구월동, 간석동, 남촌동, 만수동, 장수동, 서창동, 운연동, 도림동, 수산동, 논현동, 고잔동 (변동없음) 도화동, 주안동, 관교동, 문학동, 연수동, 동춘동, 용현동, 학익동, 옥련동, 숭의동, 선학동
- 1988년 5월 1일 자치구제가 실시되어 자치구로 승격하였다.
- 1991년 11월 4일 구청사를 숭의2동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4]
- 1994년 7월 1일 연수동이 연수1, 2동, 청학동으로 분동하였다.
- 1995년 1월 1일 인천광역시 남구로 개칭하였다.
- 1995년 3월 1일 아래 도표와 같이 남구의 일부를 관할로 하여 연수구가 신설되었다.[5]
개편 전 개편 후 남구 옥련동, 선학동, 연수동, 청학동, 동춘동 연수구 옥련동, 선학동, 연수동, 청학동, 동춘동 (변동없음) 도화동, 주안동, 관교동, 문학동, 용현동, 학익동, 숭의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