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중구의 행정 구역
인천 중구의 행정 구역은 12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천 중구의 면적은 123.07km2로 인천광역시 전체면적의 약 12%를 차지하고 있고, 인구는 2012년 7월 1일을 기준으로 42,372 세대, 93,760명에 달한다.[1]
행정 구역
편집- 인구, 면적 2018년 1월 1일 기준
행정동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
신포동 | 新浦洞 | 1.82 | 3,071 | 6,343 |
연안동 | 沿岸洞 | 5.30 | 3,807 | 8,221 |
신흥동 | 新興洞 | 3.52 | 6,720 | 15,746 |
도원동 | 桃源洞 | 0.26 | 2,260 | 5,198 |
율목동 | 栗木洞 | 0.18 | 2,221 | 4,753 |
동인천동 | 東仁川洞 | 0.63 | 3,478 | 6,810 |
개항동 | 開港洞 | 3.24 | 4,593 | 10,090 |
영종동 | 永宗洞 | 31.58 | 12, 271 | 6.227 |
영종1동 | 永宗1洞 | 1.90 | - | - |
영종2동 | 永宗2洞 | 3.50 | - | - |
운서동 | 雲西洞 | 51.56 | 8,349 | 20,828 |
용유동 | 龍游洞 | 24.69 | 2,455 | 4,406 |
중구 | 中區 | 123.07 | 42,372 | 93,760 |
법정동
편집행정동 | 법정동 | 설명 |
---|---|---|
신포동 | 중앙동1가(中央洞1街) | |
중앙동2가(中央洞2街) | ||
중앙동3가(中央洞3街) | ||
중앙동4가(中央洞4街) | ||
해안동1가(海岸洞1街) | ||
해안동2가(海岸洞2街) | ||
해안동3가(海岸洞3街) | ||
해안동4가(海岸洞4街) | ||
관동1가(官洞1街) | ||
관동2가(官洞2街) | ||
관동3가(官洞3街) | ||
송학동1가(松鶴洞1街) | ||
송학동2가(松鶴洞2街) | ||
송학동3가(松鶴洞3街) | ||
사동(沙洞) | ||
신생동(新生洞) | ||
답동(畓洞) | ||
신포동(新浦洞) | ||
항동1가(港洞1街) | ||
항동2가(港洞2街) | ||
항동3가(港洞3街) | ||
항동4가(港洞4街) | ||
항동5가(港洞5街) | ||
항동6가(港洞6街) | ||
항동7가(港洞7街) | ||
연안동 | 〃 | |
북성동1가(北城洞1街) | ||
개항동 | 〃 | |
북성동2가(北城洞2街) | ||
북성동3가(北城洞3街) | ||
선린동(善隣洞) | ||
송월동1가(松月洞1街) | ||
송월동2가(松月洞2街) | ||
송월동3가(松月洞3街) | ||
신흥동 | 신흥동1가(新興洞1街) | |
신흥동2가(新興洞2街) | ||
신흥동3가(新興洞3街) | ||
선화동(仙花洞) | ||
도원동 | 도원동(桃源洞) | |
율목동 | 유동(柳洞) | |
율목동(栗木洞) | ||
동인천동 | 내동(內洞) | |
경동(京洞) | ||
용동(龍洞) | ||
인현동(仁峴洞) | ||
전동(錢洞) | ||
영종동 | 운남동(雲南洞) | |
운북동(雲北洞) | ||
중산동(中山洞) | ||
영종1동 | 〃 | |
영종2동 | ||
운서동 | 운서동(雲西洞) | |
용유동 | 〃 | |
을왕동(乙旺洞) | ||
남북동(南北洞) | ||
덕교동(德橋洞) | ||
무의동(舞衣洞) |
연혁
편집법률 제1919호 인천시구설치에관한법률 신 행정구역 중구 중앙동1가동, 중앙동2가동, 중앙동3가동, 중앙동4가동, 해안동1가동, 해안동2가동, 해안동3가동, 해안동4가동, 항동1가동, 항동2가동, 항동3가동, 항동4가동, 항동5가동, 항동6가동, 항동7가동, 관동1가동, 관동2가동, 관동3가동, 송학동1가동, 송학동2가동, 송학동3가동, 사동, 신생동, 신포동, 답동, 신흥동1가동, 신흥동2가동, 신흥동3가동, 선화동, 유동, 율목동, 도원동, 북성동1가동, 북성동2가동, 북성동3가동, 선린동, 인현동, 전동, 내동, 경동, 용동, 송월동1가동, 송월동2가동, 송월동3가동
인천시조례 제1075호 이전 이후 중앙·연안·항·관·송학동 중앙동 사·신생·신포·답동 신포동 신흥1·2동 신흥1동 신흥3·선화동 신흥2동 유·율목동 율목동 내·경·용동 내경동 인현·전동 인현동 북성·선린동 북성동
- 1981년 7월 1일 인천직할시 중구로 개칭하였다.
- 1983년 11월 26일: 신흥1동이 신흥동으로, 신흥2동이 신선동으로 행정동 명칭이 변경되었다.
- 1985년 11월 15일: 중앙동에서 연안동을 분동하였다. (11행정동)
- 1988년 5월 1일 자치구제가 실시되어 자치구로 승격하였다.
- 1989년 1월 1일 경기도 옹진군 영종면, 용유면 일원을 편입하였다.[4] 영종동·용유동, 영종출장소·용유출장소를 설치하였다. (13행정동 2출장소)
- 1995년 1월 1일 인천광역시 중구로 개칭하였다.
- 1998년 10월 10일: 중앙동·신포동을 신포동으로, 신흥동·신선동을 신흥동으로, 내경동·인현동을 동인천동으로 행정동을 합동하였다. (10행정동)
- 2001년 8월 13일: 영종출장소 용유지소 설치
- 2003년 10월 13일: 영종출장소·용유출장소를 영종용유출장소로 통합하였다.
- 2006년 6월 5일: 영종용유출장소를 영종출장소·용유출장소로 재분리하였다.
- 2012년 1월 1일 영종동을 영종동, 운서동(구 영종출장소 운서지소)으로 분동하였다.[5] (11행정동)
- 2018년 1월 1일 영종동을 영종1동으로 분동하였다. (12행정동)
- 2021년 7월 1일 : 북성동, 송월동을 개항동으로 합동되었다.
- 2023년 3월 24일: 중구, 미추홀구 간 기형적인 행정구역 갈등에 따른 조정의 일환으로 중구와 미추홀구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에 따라 중구 도원동 일부와 미추홀구 숭의동 일부를 교환하였다.[6]
- 2024년 1월 1일 : 영종1동을 영종2동으로 분동하였다. (12행정동)
각주
편집외부 링크
편집- 인천 중구 통계연보 보관됨 2015-09-24 - 웨이백 머신
- 인천 중구 주민등록인구통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