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인천광역시)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의 자치구
동구(東區)는 인천광역시의 구이다. 동구는 1883년 인천항 개항 때부터 중구와 함께 도심을 이룬 인천광역시의 원도심으로, 인천광역시의 10개 기초자치단체 중 면적이 가장 작고 자치구 중에서 인구가 가장 적다. 한 때 화도진구로 개명할 계획에 있었으나 개칭이 무산된 바 있었다. 그러나 인천광역시의 관내 자치구인 남구가 2018년 7월 1일자로 미추홀구로 이름이 바뀐 것과 달리 동구는 아직까지 현행대로 유지되어 있다. 추후 동구가 중구의 육지부[3]와 통합할 계획에 있으며, 추후 중구청이 영종권의 외곽 쪽인 용유도로 이전되면 중구의 육지부와 하나가 될 예정이다.
| |||
인천광역시 동구청 청사 입구 | |||
동구의 위치 | |||
현황 | |||
---|---|---|---|
국가 | 대한민국 | ||
면적 | 7.19 km2 | ||
세대 | 28,681 가구(2021[1]) | ||
총인구 | 61,486 명(2021[2]) | ||
인구밀도 | 8,552 명/km2 | ||
행정동 | 11개 | ||
법정동 | 7개 | ||
구청장 | 김찬진(국민의힘) | ||
국회의원 | 허종식(더불어민주당, 동구·미추홀구 갑) | ||
구청 | |||
소재지 | 인천광역시 동구 금곡로 67(송림동 109-2) | ||
웹사이트 | http://www.icdonggu.go.kr/ | ||
상징 | |||
구목 | 소나무 | ||
구화 | 철쭉 | ||
구조 | 갈매기 |
역사편집
- 백제 시대: 미추홀(동국여지승람의 백제건국 건설에 의함)로 칭함
- 475년: 매소홀현(고구려 남부)
- 신라 경덕왕: 소성현으로 개칭
- 1018년: 수주로 개칭(고려 현종 9년)
- 1096년: 경원군으로 승격(고려 숙종)
- 1123년: 인주로 개칭(고려 인종)
- 1390년: 경원부로 승격(고려 공양왕)
조선 시대편집
- 1392년(조선 태조 원년): 인주로 환원
- 1413년(조선 태종 13년): 인천군으로 개편
- 1460년(조선 세조 6년): 인천도호부로 승격
- 1883년(조선 고종 20년): 한미수호통상조약(고종19년 화진지에서 체결)에 의거 인천항 개항
- 1910년(대한제국 융희 4년): 인천부 설치
일제 강점기편집
해방 후편집
- 1947년 4월 1일: 주안지청 설치(→ 후에 주안출장소로 개칭)
- 1949년 8월 15일: 인천시로 개칭[6]
- 1956년 11월 23일: 중부,북부,동부,남부출장소 신설[7]
- 1963년 1월 1일: 작약도 병합(부천군 관할)[8]
인천 동구 출범 후편집
행정 구역편집
인천 동구의 행정 구역은 11행정동 204통 980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천 동구의 면적은 7.19 km2(시 전체의 0.69%)이며, 인구는 2017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6만9487 명, 2만9870 가구이다.[11]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인구 | 세대 |
---|---|---|---|---|
만석동 | 萬石洞 | 1.15 | 7,714 | 3,312 |
화수1.화평동 | 花水1.花平洞 | 0.30 | 6,902 | 3,044 |
화수2동 | 花水2洞 | 0.61 | 8,650 | 3,800 |
송현1.2동 | 松峴1.2洞 | 0.34 | 11,585 | 4,449 |
송현3동 | 松峴3洞 | 2.21 | 4,216 | 1,998 |
송림1동 | 松林1洞 | 0.19 | 2,751 | 1,234 |
송림2동 | 松林2洞 | 0.29 | 3,287 | 1,725 |
송림3.5동 | 松林3.5洞 | 0.55 | 9,135 | 3,850 |
송림4동 | 松林4洞 | 0.79 | 4,541 | 1,808 |
송림6동 | 松林6洞 | 0.56 | 7,344 | 2,975 |
금창동 | 金昌洞 | 0.29 | 3,362 | 1,675 |
동구 | 東區 | 7.19 | 69,487 | 29,870 |
* 인구·세대는 2017년 12월 31일 기준
인구편집
연도 | 총인구 | ; |
---|---|---|
1985년 | 146,290명 | |
1990년 | 124,163명 | |
1995년 | 100,114명 | |
2000년 | 72,792명 | |
2005년 | 74,285명 | |
2010년 | 72,794명 | |
2015년 | 71,054명 |
구청편집
- 현재 인천 동구청은 인천광역시 동구 송림동에 있다.
교육 기관편집
산업편집
박물관편집
교통편집
철도편집
도로편집
- 국도
- 기타 도로
여담편집
해당 자치구는 한 때 화도진구로 개명을 요청하였으나 이견 차이가 커서 새로운 구의 명칭 변경이 무산된 바 있었다. 또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관내의 중심부인 송현동 삼두1차아파트 구간이 포함되자, 이 일대를 중심으로 균열 문제가 계속되면서, 송현동 삼두1차아파트 주민들이 살기가 힘들다는 이유로 인천시 등에 대책 마련을 요구해달라고 주문하고 있다.
각주편집
- ↑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신포동, 신흥동, 신생동, 항동, 동인천동, 북성동, 경동 등이 이에 해당된다.
- ↑ 부령 제 133호 (1914.9.1. 공포)
- ↑ 인천부 고시 제32호
- ↑ 법률 제32호 (1949.7.4. 공포)
- ↑ 시조례 제144호
- ↑ 법률 제 1175호
- ↑ 인천시구설치에관한법률 (제정 1967년 3월 30일 법률 제1919호)
- ↑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제정.
- ↑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2018년 3월 1일 확인.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일본어/영어/중국어) 인천 동구청 (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