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왜변(丁亥倭變)은 1587년 음력 2월 왜구들이 전라도 남해안을 범한 사건이다. 1587년 4월 3일(음력 2월 26일) 한양에 보고가 접수되었다. 왜구와 싸우던 녹도권관(鹿島權管) 이대원(李大源, 1566~1587)이 전사했다. 조정에서는 신립(申砬, 1546~1592)과 변협(邊協, 1528~1590)을 방어사(防禦使)로, 김명원(金命元, 1534~1602)을 전라도순찰사로 삼아 방어하게 했다.

정해왜변
날짜1587년 음력 2월 ~ 음력 3월
장소
전라도 남해안
결과 왜구들의 승리
교전국
지휘관
이대원
신립
변협
김명원
심암
원호
이필
사을화동
신사부로
긴지로
마고지로
병력
해적선 18척
피해 규모
포로 130여명

녹도(鹿島)와 손죽도(損竹島, 오늘날 巽竹島)에 왜적 18척이 들어와 행패를 부린다는 급보가 들어오자[1] 당시 전주 부윤으로 있던 남언경(南彦經, ?~?)은 전주에 낙향하여 있던 정여립에게 도움을 청하였다. 정여립은 옛 정을 생각하여 남언경을 도와 대동계원들을 데리고 출병하였다.[2] 당시 왜구는 별로 수가 많지 않아 대동계원이 녹도에 도착하였을 때 이들은 이미 퇴각한 뒤였다.[3] 그러나 손죽도에 정박하고 있던 왜구를 발견하여 기습 공격, 미처 떠나지 못한 왜구들을 전멸시켰다.[4]

사태가 종료된 뒤 4월 17일(음력 3월 10일) 비변사에서는 전라좌수사 심암과 전라우수사 원호에게 책임을 물어 두 사람을 국문하였다. 이때 일본군의 앞잡이를 선 자가 조선인 사을화동(沙乙火同)이다. 3년 뒤인 1590년 4월 2일(음력 2월 28일) 조선 통신사를 파견하는 조건으로 사을화동과 함께 왜구 두목들인 신삼보라(信三甫羅, 신사부로)·긴요시라(緊要時羅, 긴지로?)·망고시라(望古時羅, 마고시로) 를 조선으로 송환, 모두 처형하였다.

'손죽도'(損竹島)에는 정해왜변에서 전사한 이대원 장군의 사당이 있으며, 주민들은 해마다 3월 3일에 제를 지낸다.[5]

각주

편집
  1. 김재영, 조선의 인물 뒤집어 읽기 (도서출판 삼인, 1999) 99페이지
  2. 선조수정실록 23권, 선조 22년 10월 1일 乙亥 5번째기사.....丁亥倭變, 列邑調兵, 全州府尹南彦經, 踈迂不知所爲。 請汝立分軍, 汝立當之不辭, 一號令間, 軍兵皆會, 部分調遣, 不日而辦。 其將領則汝立皆用大同禊中親密武士。 賊退散軍,
  3. 김재영, 조선의 인물 뒤집어 읽기 (도서출판 삼인, 1999) 100페이지
  4. 김재영, 조선의 인물 뒤집어 읽기 (도서출판 삼인, 1999) 101페이지
  5. [네이버 지식백과] 손죽도 [巽竹島]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