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한국대중음악상
제1회 한국대중음악상은 2003년 발매된 음악을 대상으로 2004년 3월 17일에 열린 시상식이다. 문화일보 및 문화연대가 주최하고, KT, 국민체육진흥공단과 케이티프리텔이 후원하였다. 2003년 초부터 대한민국의 대중음악이 위기에 놓여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같은 해 9월 선정위원회를 구성한 뒤 이듬해 2월 23일 시상식의 개최를 발표하였다.
제1회 한국대중음악상 | ||||
---|---|---|---|---|
주최 |
| |||
후원 | ||||
일시 | 2004년 3월 17일 | |||
장소 | 서울시 종로구 성균관대 600주년 기념관 | |||
진행 | ||||
최다 수상 | 2회 이상 수상자 없음 | |||
최다 후보 | (4) | |||
웹사이트 | http://kma2004.org | |||
|
시상식의 후보는 선정위원의 1차 심사를 거쳐 2월 28일 발표되었다. 후보 발표 이후부터는 네티즌의 투표를 받았다. 김광진과 이상은의 사회로 성균관대 600주년 기념관에서 개최된 시상식에서는 최다 후보자 아소토 유니온, 빅마마, 러브홀릭이 네 부문에 후보로 올랐지만, 2회 이상 수상자는 없었다. 오마이뉴스와 뮤직시티에서 생중계를 하였고, 엠넷에서는 녹화된 방송이 송출되었다. 같은 해 4월 2일에는 시상식에 관한 의견을 받기 위해 공개토론회를 열었다. 시상식 및 시상식과 관련된 몇몇 부분에서는 비판을 받았으나, 논공행상적 방송국의 가요 시상식 폐지에 대한 목소리를 내는 데 일조했다는 평도 받았다.
배경
편집방송국의 가요 시상식과는 다른 대중음악 시상식에 대한 논의는 2003년 초부터 이루어졌다.[1] 성공회대학교의 김창남 교수는 시상식이 "우리 대중음악이 문화적으로나 산업적으로 심각한 위기 상황에 처해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고 언급하였다.[2]
2003년 9월 초 대중음악개혁을위한연대(이하 대개련)에서 기존 7개의 음악상[a]에 대한 문제점 등을 이야기하는 자리를 가지고, 많은 시상식이 개최되는 연말에 성명을 내는 등의 방안을 논의했다.[3] 다음 모임에서는 협찬과 매체의 도움을 받아 시상식이 없는 음악상을 제정하자는 이야기가 모아졌고, 시민단체인 문화연대에서 사람을 모아 9월 말 선정위원끼리의 첫 만남이 이루어졌다.[3] 당시 모임에서는 김창남을 위원장으로 하여 평론가, 기자, 라디오 PD 등 17명의 선정위원으로 구성된[1] 선정위원회를 발족하고, 대중음악상의 제정에 합의하였다.[4] 또한 문화일보가 협찬을 찾고 문화연대가 함께 참여한다는 이야기가 오갔다.[3] 당시까지는 시상식의 이름이 정해지지 않았고, 임시로 '한국의 좋은 음악 시상식'(Korean Good Music Awards, KGMA)'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5]
2차 회동에서는 대략적으로 수상 부문과 선정 원칙 등을 정하였다.[3] 하지만 협찬을 구하지 못하며 재정적인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고, 2004년 1월에는 대개련 내에서 심사위원이 뽑은 결과만 언론에 공개하자는 주장이 나왔다.[1] 그러나 KT의 후원이 최종적으로 결정되었고,[6][7] 이에 위원회에서는 한 차례 선정위원회모임을 추가로 가졌다.[3] KT와 더불어 국민체육진흥공단, 케이티프리텔도 후원 및 협찬에 참여하였다.[8] 이후 2월 23일, 문화연대는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3월 17일 성균관대의 600주년기념관에서 미국의 그래미상을 벤치마킹한 한국대중음악상 시상식을 주최하겠다고 발표했다.[9][10] 선정위원장 김창남은 논공행상적 방송사의 가요 시상식에서 벗어나 "음악적인 질을 담보하고 객관적 권위가 설 수 있는 시상식"으로 꾸미겠다고 개최 의도를 설명했다.[9] 후보의 선정에 관해서는 가수 중심의 시상에서 벗어나 음반과 곡 중심으로 시상하며 판매량보다는 작품의 질 중심으로 선정하겠다고 밝혔다.[1] 선정위원이자 기자회견에 참석했던 임진모는 전문가와 팬들 모두 수상자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었던 1980년대와 달리 "이효리가 상을 휩쓰는 가요계 현실은 전문가와 팬 모두에게 공허감을 주고 있다"고 발언했다.[9] 선정위원이자 문화연대 문화사회연구소의 일원인[1] 이동연은 시상식의 취지 중 하나를 "주류 대 비주류, 대중성 대 전문성이란 형식적인 이분법을 극복"하는 것이라고 말하였다.[11]
시상식
편집시상식의 후보는 2004년 2월 28일 공개되었다.[12] 부문별로 5개의 후보가 원칙이나, 올해의 앨범 부문에서는 동점이 발생해 6개의 후보가, 올해의 신인 부문에서는 일부 선정위원의 제안에 대한 전체 선정위원의 찬성으로 푸른새벽이 후보자로 추가 선정되었다.[13] 네티즌 투표는 후보가 발표된 후 시작되어 시상식 전날인 3월 16일까지 이어졌다. 선정위원과 네티즌 투표의 결과는 각각 80%와 20%로 반영되었다.[4] 이동연은 1차후보 심사 대상 후보 중에 상당수가 누리꾼이 추천한 음악가라고 밝혔다.[11]
시상식은 3월 17일 성균관대 600주년 기념관에서 개최되었다. 남성 사회자로는 김광진이 낙점되었으며, 여성 사회자는 이소라나 김윤아 등이 언급되었으나[14] 이상은이 맡게 되었다.[15] 2시간 30분 동안[15] 1부와 2부로 나누어서 진행되었으며,[7] 총 14개의 부문이 시상되었다.[4] 첫 무대 코코어와 마지막 무대 이정선을 포함하여 총 12팀이 모두 노 개런티로 공연하였다.[7] 한대수, 강산에, 안흥찬, 주상균, 전유성, 컬러링 베이비 7공주의 정혜원 등이 시상을 맡았다.[16] 선정위는 최종 점수로 환산한 결과에서 1위 후보와 나머지 후보의 점수차가 1점 이내일 경우 해당 후보들에 한해 재투표를 하는 원칙을 정했는데, 이 원칙에 따라 올해의 앨범(《The The Band》, 《Florist》, 《Like The Bible》), 올해의 가수 – 여자(이상은, 보아, 이수영), 올해의 가수 – 남자(조용필, 휘성), 최우수 록음악(코코어, 넬) 부문에서 투표가 다시 이루어졌다.[17] 선정위원 특별상은 원칙상 한 팀에게만 수여할 예정이었으나, 회의에서 두 팀에게 주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어 아소토 유니온과 전경옥이 공동으로 수상하게 되었다.[17]
시상식에서는 수익을 고려한 사업이 아니라고 이야기하며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선착순으로 신청한 400명 정도에게 초대권을 배부하였다.[14] 오마이뉴스 및 뮤직시티에서 생중계됐으며, 엠넷에서는 녹화중계가 되었다.[7]
후보 및 수상자
편집수상자는 첫 줄에 굵은 글씨로 표시되어 있다.[18]
올해의 앨범 | 올해의 노래 |
---|---|
|
|
올해의 가수 – 남자 | 올해의 가수 – 여자 |
올해의 가수 – 그룹 | 올해의 신인 |
최우수 록음악 | 최우수 힙합&댄스 |
최우수 알앤비&발라드 | 최우수 크로스오버 |
올해의 영화 드라마 음악상 | 올해의 레이블 |
선정위원회 특별상 | 공로상 |
|
여러 부문에 지명된 후보
편집4회
3회
2회
반응 및 이후
편집시상식이 치루어지기 전 오마이뉴스의 주철환은 시상식의 설립 취지는 십분 이해한다고 하면서도, "대중음악의 진정성을 어떻게 심판할 것"에 대해선 의문의 여지가 있다고 주장했다.[23] 김창남은 문화일보에 시상식을 끝내는데 어려움이 많았지만 "적어도 우리의 첫걸음은 분명하게 그리고 성공적으로 내디뎌졌다고 믿는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담은 글을 실었다.[2] 핫뮤직의 조성진 편집장은 선정위원장인 김창남이 대중음악과는 거리가 있으며, 수천 명의 회원이 투표하는 그래미상과는 달리 적은 선정위원의 적은 수나 고르지 못한 성향 그리고 문화연대 및 언론사인 문화일보가 상을 주최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24] 김창남은 인터뷰에서 심사위원의 수 및 언론사의 주최에 관한 비판을 수용하면서, 후자에 대해 "시민단체가 주관하는 시상식에 돈을 지원할 후원자가 있겠느냐"고 답했다. 또한 록 부문에서 모던 록이 다수인 점과 헤비 메탈의 부재를 언급하며 장르를 좀더 세분화하겠다고 밝혔다.[6]
시상식이 치루어지고 4월 2일, 문화연대는 공개토론회를 개최하였다. 토론회에 참여한 주철환은 PD협회 등과의 협의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마스터플랜의 대표였던 이종현은 엄숙한 시상식 분위기가 "운동권 시상식" 같았다고 지적하였다.[25] 서울신문의 박상숙은 한국대중음악상이 "새 바람을 일으켰다"고 언급하며, 가요상의 폐지 목소리에 대한 신호탄이 되었다고 평했다.[26] 연합뉴스의 홍제성과 헤럴드경제의 김고금평 또한 2004년 한국 음악에 대한 결산 기사에서 한국대중음악상의 등장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았다.[27][28]
각주
편집내용주
편집- ↑ KBS 가요대상, MBC 10대 가수 가요제, SBS 가요대전, KMTV 가요대상, 엠넷 뮤직 비디오 페스티벌, 스포츠서울의 서울가요대상, 일간스포츠와 한국음반산업협회의 골든디스크상을 의미한다.
- ↑ 문화일보는 공로상의 후보로 조용필, 이정선, 한대수가 있다고 보도했지만,[19] 한국대중음악상 아카이브에는 수상자 이정선만이 언급되어 있다.[18] 이후 한대수와 조용필은 각각 2005년과 2006년 공로상을 수여받았다.[20][21]
- ↑ 아소토 유니온은 후보 발표 당시 4개 부문의 후보였으나, 시상식에서 선정위원회 특별상을 수상하였다.[22]
참조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박형숙 (2004년 2월 23일). “'이효리 없는' 가요 시상식 열린다”. 《오마이뉴스》. 2023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8일에 확인함 – 네이버 뉴스 경유.
- ↑ 가 나 김창남 (2004년 3월 18일). “<제1회 한국대중음악상>음악적 진정성 고민하는 ‘대안적 賞’ 자리매김을”. 《문화일보》. 2023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박준흠 (2004년 3월 25일). “한국대중음악상, 이렇게 만들어졌다.”. 《가슴》. 2004년 4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다 이승형 (2004년 2월 24일). “작품성 위주로 객관성살려”. 《문화일보》. 2023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8일에 확인함.
- ↑ 박준흠 (2018년 7월 4일). “한국대중음악상 신설 기획서 초안 (2003년 9월)”. 《사운드네트워크》. 2023년 3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31일에 확인함.
- ↑ 가 나 김상만 (2004년 3월 24일). “첫 발 내딛은 자체가 의미 있는 일”. 《미디어오늘》. 2023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이승형 (2004년 3월 12일). “최고권위 ‘올해의 앨범’ 누가 받을까”. 《문화일보》. 2023년 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8일에 확인함.
- ↑ “한국대중음악상”. 한국대중음악상. 2004년. 2004년 8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다 홍제성 (2004년 2월 23일). “대안적 의미의 한국대중음악상 신설”. 《연합뉴스》. 2023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8일에 확인함 – 네이버 뉴스 경유.
- ↑ 이승형 (2004년 2월 24일). “한국의 그래미 ‘대중음악상’ 제정”. 《문화일보》. 2023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이동연 (2004년 3월 12일). “두렵지만 기대되는 17일”. 《문화일보》. 2023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8일에 확인함.
- ↑ 홍제성 (2004년 2월 28일). “제1회 한국대중음악상 후보 발표(종합)”. 《연합뉴스》. 2023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8일에 확인함 – 네이버 뉴스 경유.
- ↑ “제1회 한국대중음악상 각 부문 후보자를 발표합니다.”. 한국대중음악상. 2004년 2월 28일. 2006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박형숙 (2004년 3월 8일). “사회는 김광진, 빅마마·휘성 등 노개런티로 출연”. 《오마이뉴스》. 2023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이승형 (2004년 3월 17일). “제1회 한국대중음악상 17일 시상식”. 《문화일보》. 2023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9일에 확인함.
- ↑ 김남석 (2004년 3월 18일). “<제1회 한국대중음악상>7세 소녀 ‘올해의 신인상’ 시상”. 《문화일보》. 2023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이승형 (2004년 3월 18일). “<제1회 한국대중음악상>더더·러브홀릭·빅마마 1점차 경합”. 《문화일보》. 2023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Korean Music Awards - Archive - 2004”. 한국대중음악상. 2023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8일에 확인함.
- ↑ 이승형 (2004년 3월 1일). “한국대중음악상 1차 후보명단 발표”. 문화일보. 2023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박상숙 (2005년 3월 4일). “클래지콰이 5개부문 후보에”. 서울신문. 2023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김희연 (2006년 3월 15일). “그룹 ‘두번째 달’ 대중음악상 3관왕”. 경향신문. 2023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홍제성 (2004년 2월 28일). “제1회 한국대중음악상 후보 발표(종합)”. 연합뉴스. 2023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8일에 확인함 – 네이버 뉴스 경유.
- ↑ 주철환 (2004년 3월 3일). “'휘성'은 되고 '비'는 안 되는 까닭”. 《오마이뉴스》. 2023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8일에 확인함 – 네이버 뉴스 경유.
- ↑ 안경숙 (2004년 3월 24일). ““선정위원 대표성 등 문제 내포"”. 《미디어오늘》. 2023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8일에 확인함.
- ↑ 이승형 (2004년 4월 5일). ““대중음악賞에 대중이 빠진 아쉬움””. 《문화일보》. 2023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9일에 확인함.
- ↑ 박상숙 (2004년 12월 24일). “[되돌아 본 2004 문화] ⑤ 대중음악”. 《서울신문》. 2023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9일에 확인함.
- ↑ 홍제성 (2004년 12월 15일). “<2004 문화예술결산>-⑬가요”. 《연합뉴스》. 2023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9일에 확인함 – 네이버 뉴스 경유.
- ↑ 김고금평 (2004년 12월 20일). “【대중음악 결산】극심한 음반 시장 불황에도 質은 좋아져”. 《헤럴드경제》. 2023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9일에 확인함 – 네이버 뉴스 경유.